인천광역시 55

강화...강화역사박물관 강화 동종 外

일제강점기의 88 불상은 탐문에 실패하고전시실의 강화동종,선두포축언시말비,고려 청자, 불교문화유산 몇몇 점을 둘러보았습니다.청련사 원통암 감로탱(모본)문화유산청 등재 원통암 감로탱(진본). 1906년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강화읍 대산리 출토금동삼존불. 고려강화 관청리 출토선각불상경(線刻佛像鏡). 고려강화 용정리 출토전면 윤왕좌 수월관음보살좌상. 명문. 鄭氏年二十三共眞후면 아미타여래(관람객은 볼 수 없다)강화 동종강화산성 남문에 걸려있었던 종문화재청 자료에는 1711년 사인비구가 주조한 종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현장 설명문은 모호합니다현장 설명문1688년 강화유수 윤지완 처음 주조1711년 강화유수 민진원이 옛 종을 녹여 새로 주조 옛종. 사인 비구 새로 조성 종. 조신 설명문에 따르면 사인비구는 ..

강화...강화역사박물관 석조여래불두, 석조연화대좌

야외전시장여러 자료에 실려있는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신사국 88 불상을 찾지 못하고 실내 전시물 답사 후 들어가면서 먼발치에서 보았던 야외 석조물을 살펴보았습니다.귀부비신이 망실되었으며, 방형으로 새겨진 귀갑문이 이체롭습니다.석조석조여래불두. 석조연화대좌2015년 하점면 장정리에서 신고된 연화대좌 2기와 2022년 같은 곳에서 추가 신고된 불두입니다.안내문에는 고려시대 절터로 추청 되는 사지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작품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연화대좌(1)상대석과 하대석이 한돌입니다.각각 단판단엽의 연화문과 간엽을 새겼으며 상부에도 복연을 조식하였으며 다소 투박한 상태입니다..안내문 설명처럼 고려시대에 조성된 대좌이면 후기로 추정됩니다.입상의 불보살의 대좌로 불신을 끼웠던 촉공만 남아 있습니다연화대좌(2)연화대..

강화...전쟁기념관 하마비. 금표

전쟁기념관 비림정문 들어서서 우측에 있습니다.개인적으로는 세 차례, 최근에는 2021년에 답사한 것 같습니다.하마비강화 향교에 있었던 하마비 수령이하개하마(守令以下皆下馬)정 3품 이하는 말에서 내려 출입하라는 문구입니다.계묘 하립(癸卯 夏立)계묘년을 현장 안내문에는 1,783년으로 특정하였습니다.설립 연도를 새긴 하마비는 흔치 않습니다.금표(禁標)명문금표(禁標)방목축자장일백(放牧畜者杖一百)기회자장팔십(棄灰者杖八十) 고려궁지 부근에는 가축을 방목하지 말고, 재를 버리지 말라는 경고문입니다.계축 사월 일립(癸丑四月日立)현장 안내문에는 계축년을 1,733년으로 설명합니다우리나라 금표비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9 2024.08.07

강화... 갑곶리 탱자나무.

2004년 문화재청 주관, 답사 이후 첫걸음입니다. 뒤죽박죽인 그때 글이 남아 있습니다. "가을이 농익어 가건만 떠나지 못함의 아쉬움에 병이 깊어질 무렵 답사후기 당선 부상으로 강화도로 답사 간다는 문화재청에서 날아온 낭보에 거의 보름밤을 불면에 시달린 것은 우리 문화를 좋아하면서도 한양의 궁궐을 비롯 경기북부를 답사해보지 못한 나의 컴프렉스를 만회할 절호의 기회에 대한 설렘 때문이었을 것이다.처녀지에 대한 기대는 첫날밤 마누라 가슴을 더듬던 기억 만큼이나 흥분과 감흥으로 가득 차서 오매불망 잠 못 이루며 천재일우의 오늘을 손꼽아 기다렸기에 새벽 5시부터 대구에서 출발한 여정이 오후 2시가 되어서야 강화대교 건너 강화초입에 도착했어도 피로는 고사하고, 점심 식사 때 맛본 게장과 강화특산 순무 깍두기 맛에..

강화...남창포대. 덕진돈대. 해문방수타국선신물과비

2004년 문화재청 문화유산 답사기 공모에 입선하여 강화도를  답사사하였을 때 들렸던 기억이 있습니다.당시에는 사진을 찍지 않을 때지만 글이 남아 있습니다. " 내게는 비가 부슬부슬 내리는 일기에도 피곤하기는커녕 열정이 넘쳐나건만 일행들 특히 문화재청에서 온 직원들은 지친 기색이 역력하다. 강화도는 한말에 서구 열강들이 한양으로 침략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통과해야 하는 지리적 위치기에 어쩌면 군사적 요충지 었다.강화 해안선을 따라 구축되어 있는 군사시설인 진, 보, 돈대가 수도 없이 많아 보여 한말에 축성했을 것이라 지레짐작을 했는데 가이드에 의하면 임란, 병란 후 숙종 재위 시 외세의 침입과 이궁목적으로 축성되었으며 경기도 광주, 개경과 함께 강화도에는 오늘날 2급에 해당하는 관원이 파견되어 있었다 한다..

인천...백운산 용궁사

용궁사. 인천 중구 운남로 199-1 용궁사.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유산"영종도 백운산 기슭 평평한 대지 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문무왕 10년(670)에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백운사(白雲寺)라 하였다고 전하며 일명 구담사(瞿曇寺)라고도 한다. 조선 철종 5년(1854)에 흥선대원군이 중창하여 용궁사라 개칭하고 고종이 등극할 때까지 이 절에서 칩거하였다고 한다.전설에 의하면 영종도 중산 월촌에 사는 윤공이란 어부가 꿈을 꾼 뒤 바다에서 작은 옥불을 어망으로 끌어올려 이 절에 봉안하였다고 하며 현재 그 옥불은 없고 모조 옥불을 모시고 있다. 경내의 관음전(觀音殿)은 맞배지붕, 홑처마 건물로서 옥석(玉石)으로 된 관음상이 봉안되어 있으나 일제강점기 때 도난당하고 현재는 후불탱화를 배경으로 한 관음상이 걸려 있으..

인천...가천박물관 삼층석탑

삼층석탑 2016년 들렸으나 인연 짓지 못하고 발길 돌렸었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5216 삼층석탑 이 석탑을 처음 알았을 때는 통일신라 석탑으로 기록된 글을 보았던 것 같은데 한눈에 시대가 더 떨어진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현장 안내문에는 13~14세기 고려말 석탑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단층기단, 삼층 탑신부, 상륜부를 갖추었으나, 탑신부에 비해 기단부가 안정감이 떨어져 보입니다. 본래는 2중 기단이었을까요? 아니면 기단부와 탑신부가 서로 다른 석탑 부재 일까요? 기단 중석이하는 망실 우주를 새기지 않았으며, 4매 판석을 감입식으로 결구하였습니다. 갑석 얇은 편이며 부연이 생략되었습니다. 갑석 상부 약간의 물매가 있고 추녀마루를 새겼으며 일정하지 않은 2단 굄..

인천...장수동 은행나무

뚜벅뚜벅 시흥 소전미술관. 소래산 마애보살입상. 소래산 정상. 인천 애보박물관. 장수동 은행나무까지 걸었습니다. 언제나 그러하듯, 답사하고픈 대상을 알려주면, 또르 님은 대중교통, 뚜벅이 코스를 연계하여 최적의 동선 수립으로 즐거운 답사를 진행합니다. 또르 님과 답사 철옹성도 열리고, 열려라 참깨도 통하고, 놀란만 한 일을 빈번하게 경험했습니다. 두 사람도 마주보며 언빌리버블!!!!! 장수동 은행나무 장수동은 "장수리는 장자리의 ‘장’과 수월리의 ‘수’를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 1940년 4월 1일 인천부에 다시 편입되었고, 장수정이 되었다가 1946년 1월 1일 장수동이 되었다. 이 장수동은 거마산, 관모산으로 둘러싸여 60% 이상이 산지이며, 옛날부터 만수동과 더불어 장수하는 마을로 유명했다."(남동..

인천...애보박물관

애보박물관 소래산 마애여래입상을 뵙고 소래산 정상을 경유하여 옥외에 전시된 석조유물을 찾았습니다. 애보박물관의 명칭은 사랑할 ‘애’(愛)와 보배 ‘보’(寶)자를 써서 ‘보물을 사랑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애’자는 아이의 줄임말과 동음어로 ‘아이들은 보물’이라는 뜻도 함께 담고 있다고 합니다. "애보박물관을 방문해 주신 여러분께 인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구암 황형택 법무사께서 수십 년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한국의 공예품 및 미술품들을 수집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이제 그 소장품들로 애보박물관을 만들어 여러분들과 만나게 되니 오랜 시간 준비해왔던 일의 결실을 얻게 되는 듯합니다. 도심 속 자연을 느낄 수 있는 인천대공원에 인접한 상아산 자락에 세워진 애보박물관은 선조들이 사용하던 아름다움과 실용..

강화...능내리 석실분

능내리석실분 가릉 뒤편에 위치한 고려 항몽 시기의 지배 계급의 무덤으로 추정되며 인천광역시 기념물 28호입니다. 석실은 남북으로 장방형이며, 봉분에는 호석(추정 12각형), 난간 둘레석, 석수 2기가 있습니다. 석실 앞에는 제사터로 추정되는 건물지가 확인됩니다. 또한, "석실 네 방향에서 진단구로 판단되는 도기 항아리가 출토되었으며, 석실에서는 청자 편, 각종 금은제장식 파편, 유리그릇 편, 구슬류, 상부 통보(祥符通寶, 송(宋) 진종(眞宗) 1008∼1016 제작) 1점, 은제 못, 금박 장식 관재 등 소량이지만 다양하게 출토되었다"라고 합니다. (다음 백과) 제사터 난간 어미 기둥과 동자주에 화문을 새겼습니다 동자주의 화문 어미 기둥의 법수 석수(1) 무덤 수호신으로 2기만 유존합니다. 석수(2) 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