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경숙옹주 태실비 울주군 범서읍 사연리 산 112 내비의 안내는 내가 인지한 동선이 아니고 뒤편에서 멈춥니다. 도로변 주차 후 약 10여 분 소요됩니다. 경숙옹주(敬淑翁主) 1483년 조선 성종과 후궁 숙의 김씨(淑儀金氏) 사이에서 다섯째 딸로 태어났으며, 여천위(驪川尉) 민자방(閔子芳)과 혼인하여 아들 민희.. 울산광역시/울주군 2019.07.14
울산...방기리 알바위 울주군 삼남면 방기리 445-5 하방마을 초입에 위치 소나무 군락이 마치 마을숲(동수)처럼 느껴지는 작은 동산 입니다. 숲속에는 많은 바위 들이 산포하고 있으며 성혈은 거의 대부분 바위에 남아 있습니다 주민들은 알바위로 칭한 듯 합니다. 우리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성혈은 청동기 시.. 울산광역시/울주군 2019.07.14
울산...인내천 각자刻字 작천정 계곡 초입 거대한 암반에 올려진 듯한 바위에 새겨져 있습니다. 1915년 6월 천도교 초대 언양교구장 최해규와 울산교구장 김도경 선생 및 교인들의 정성으로 인내천의 정신을 뿌리내리고저, 시인이며 명필이었던 춘사(春史) 김영걸(金永杰·1876~1947) 글을 쓰고, 삼남면 출신 함석헌.. 울산광역시/울주군 2019.07.14
울주...대원사지 부도 대원사지 大原寺址 조선후기의 고서 범우고에도 기록되어 있어 18세기 경까지 향화를 피웠던 사찰로 추측된다. 폐사 시기와 사적은 전하지 않으며,여러 자료에 부도 4기가 있다고 등재되어 있으나 1기만 내원암 입구에 남아 있다. 대운산 내원암 "대운산 기슭에는 신라 중기 이곳에 대원.. 울산광역시/울주군 2018.08.28
울주...대운산 낙양당 성관 마애부도 일전에 남연님이 포스팅한 부도를 찾고 겸사 대운산 산행. 오늘은 여름내내 지속되던 폭염이 한풀 꺽여 모처럼 가을 날씨처럼 선선하여 산행 환경은 양호하였다. (지도 출처/국제신문.마애부도는 저의 표식임) 마애부도 상대마을 3주차장-대운교-애기소 -갈림길-도통골-구룡폭포로 진입 .. 울산광역시/울주군 2018.08.26
울주...영축사지 진입 동선도 낯설었다. 자유롭게 노닐었던 기억인데, 펜스가 가로막고 있어 먼발치서 사진 몇 장으로 만족해야했다. 영축사지 영축사의 창건 유래는 『삼국유사』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683년(신문왕 3), 온천에서 목욕하고 돌아오던 재상 충원공(忠元公)은 꿩이 매에게 쫓겨 굴정.. 울산광역시/울주군 2017.11.23
울주...서생포 왜성 내성 주출입구 전면 서생포 왜성 조선시대 서생포지역은 경상도의 경주, 안동, 문경 방면으로 진군하기 위한 군사적 요충지로 강과 바다를 접하고 있어 경상좌수영 휘하의 서생포만호진이 설치되었던 곳이다. 서생포왜성(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 8호)은 임진왜란 때 서생포진성이 함.. 울산광역시/울주군 2017.11.21
울주...보덕사 석조관음보살좌상 보덕사 울주군 상북면 덕현리 725-1 불기 2524년 신오스님이 창건하였다고 한다. 관음전 괘불지주를 계단으로... 모르는 것일까? 석조관음보살좌상. 조선후기에 조성된 상으로 전한다. 어? 반가부좌였나? 신장탱. 불기2970년(서기 1943년) 2017.11.15 울산광역시/울주군 2017.11.20
울산...연지사 석등.부도 연지사. 울주군 웅촌면 곡천검단로 112-20 창건에 대한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100여 년 전 작은 암자로 시작되었다고 홈페이지에 실려 있다. 경주 경유 부산으로 이동하는 동선에서 미답처 검색중에 연지사에 문화재자료로 지정된 칠성탱이 있다는 것을 알고, 홈페이지에 들렸더니 뜻밖에.. 울산광역시/울주군 2016.10.07
울산...청송사지 2016년 동호회 첫 답사 집안 행사 때문에 처음부터 둘쨋날 망해사지 답사후에는 귀가 예정이었었다. 하지만 아침 식사중에 우연하게 알게 된 휴람님의 생신 청송사지에서 축하 케이크를 마련하자고 이무기님과 의기투합하여 청송사지로 향했다. 부도전에서 케이크 절단 후 부랴부랴 서두.. 울산광역시/울주군 2016.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