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북도/안동시113

안동...안동 석빙고 오랜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보물 제305호 안동댐 건설로 수몰된 예안면에서 1976년 안동 민속박물관 야외 전시장인 현 위치로 이건하여 낙동강변에 남북으로 경사지게 축조하였으며 출입구를 강 쪽으로 내었습니다. 내부는 출입할 수 없으며, 상부에 환기공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디지털 안동 문화대전에는 진상품인 낙동강에서 잡히는 은어를 보관할 목적으로 지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예안읍지(禮安邑誌)의 乾隆二年 丁巳五月 赴任 庚申 二月 卒 政尙廉簡捐俸 築 石氷庫 以省 每歲 修葺之勞(건륭2년정사5월부임경신2월졸정상염간연봉축석빙고이성매세수즙지노) 기록으로 미루어 당시 현감 이매신(李梅臣) 재임 기간인 1737년(영조 13)에서 1740년 사이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06년 06월) 석빙고 구조 실내 출입.. 2021. 2. 18.
안동...안동민속박물관(야외) 오랜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옛글(2012년) https://blog.daum.net/12977705/8723632 민속박물관인데 대장군, 여장군에 대한 고증이 아쉽습니다. 벅수 설명도 부연하여 설명하였으면. 마애 불망비 이천동 암벽에 있었으나 국도 확장으로 잘라내어 옮겨왔다고 합니다. 훗날 영의정에 오른 두 관찰사의 불망비가 나란히 새겨져 있습니다. 관찰사 김상국 상철 영세불망비 觀察使 金 相國 尙喆 永世不忘碑(1712~1792) 관찰사 이상국 병모 영세불망비 觀察使 李 相國 秉模 永世不忘碑(1742~1806) 석불입상 "폐사지 총람에는 석탑사가 있는 석탑리에서 이건한 불상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박물관 안내문에는 서후면 광평리의 일명사지에서 모셔왔다고 설명하고 있어 자료의 통일이 아쉽다"(2012년 글) .. 2021. 2. 17.
안동...길원여고 석등하대석, 옥개석 길원여고 교정 화단의 석등 하대석, 석등 옥개석 간주석과, 화사석, 상륜부는 망실된 모습입니다. 팔각 하대석 단판 팔 엽의 복련에는 간엽이 표현되었고 간엽, 팔각 간주석 받침, 촉공이 통일신라 전성기보다 넓어, 간주석의 크기가 짐작되며 시대 하강을 의미합니다. 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내림마루를 희미하게 돌출시켰습니다. 복련을 조식한 받침 위에 별석으로 조성했던 상륜부(보주)는 망실되었습니다. 꿈 많은 여고생들을 위해 작은 안내문을 설치하면 좋을 텐데 2021.01.27 2021. 2. 16.
안동...불알바위.치마바위 불알바위와 치마바위 와룡면 태리, 국도 35선을 사이에 두고 두 바위가 마주하고 있습니다. 주지하듯 자웅석은 기자 신앙이며,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거석문화의 일종입니다. 어쩌면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가는 민초들의 기도처이며, 힐링 공간이기도 합니다. 불알 바위 큼직한 두쪽 불알에서 유래된 바위로 지극정성으로 기도하면 아들을 얻는다고 하여 아들바위로 불리기도 합니다. 걸물입니다. 주구장창 변함없이 치켜들고 서 있는. 치마 바위 불알 바위를 향해 있는 여근석입니다. 치마를 두른 듯 펑퍼짐한 너럭바위로 조개 바위로 불립니다. 여성 생식기를 칭하는 조개, 물이 흐르는 와야천(臥野川) 절묘합니다. 자력갱생(自力更生) 치바바위에 새겨진 문구, 어려운 시절에 흔히 보았던 구호 이건만 왜 에로틱하게 다가올까요? 자웅석.. 2021. 2. 15.
안동...가구리 선돌 와룡면 가구리 도로 옆 가구천 너머 밭 가장자리에 위치 일반적인 선돌 보다 크며 남근석 형태입니다. 주지하듯 선돌의 상징성은 다양합니다. 남근석 형태로 기자 신앙, 마을에 사악한 기운이 유입을 방지하는 수구맥이 벅수 기능도 있습니다. 또한, 가구리 선돌은 풍수지리설의 행주형 마을 형국의 비보책이라고 합니다. 즉, 우리나라 많은 도시, 취락에 전하는 비보책과 같이 배가 항해하는 방향에 돛대 역할의 큰 돌을 세워 순항하도록 기원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다른 지방처럼 이 마을에도 큰 우물을 파면 배의 바닥에 구멍을 뚫는 것과 같아 금기로 여겼다는 이야기가 전합니다. 그렇다면 청동기 시대에 조성한 선돌이 아니라 풍수지리 도입 이후에 세웠다는 의미일까요? 측면에 동심원 암각문이 있다고 하는데... 여근석? 선돌.. 2021. 2. 15.
안동...세심사 목조여래좌상 세심사(洗心寺) 서울 삼각산 도선사의 안동 포교당입니다. 정확한 창건 시기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여러 자료를 종합하면 근세에 창건, 2016년 서울 도선사 안동 포교당으로 등록되었으며, 2020년 대웅전 낙성식이 있었습니다. 세심사 목조여래좌상(洗心寺 木造如來坐像) 2013년 경북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조선 후기의 목조여래좌상입니다. 복장에서 발견된 강희(康熙) 59년(1720)의 불상 개금기와 전적류에 의하면, 청량산 옥정사(玉井寺)에서 개금 하였으며, 따라서 조성 시기는 그 이전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불상은 도선사 청담(青潭) 스님께서 모셨던 불상으로 안동 포교당인 세심사로 이안 되었다고 합니다. 목조여래좌상 나발, 중간 계주가 있으며 육계는 낮습니다. 방형 상호, 백호를 새겼고, 목은 짧으며 삼도는 .. 2021. 2. 14.
안동...대곡리 굴참나무 대곡리 굴참나무 대곡리 암각화 2 시간여 헤맨 후 돌아 나오는 길 어? 진입로가 안보입니다. 예전에 카페에 올렸던(스크랩) 글입니다 https://cafe.daum.net/_c21_/bbs_nsread?grpid=dRVf&fldid=377&contentval=000VXzzzzzzzzzzzzzzzzzzzzzzzzz&datanum=1955&searchlist_uri=%2F_c21_%2Fcafesearch&search_ctx=LrpNuZSucOsx.YncUoV2ej_tRpHqkOL1hFNwnK7pMwx2pUU9oYvq-CADq-lzJK_pvUKb7yb4c6zjTiqtpKnSCEU1fpt8MHC8J3nM2sQJ9XcxpbDLWXYMviQV8FGRLgE-ok7tbCatEBJ7zj4s2GnlfYOWpCftlhndV.. 2021. 2. 13.
안동...선찰사 목조여래좌상 선찰사(仙刹寺) 신라시대 초창으로 전하나 사적은 창건에 관한 이야기는 알려지지 않으며, 영가지에 의하면 "임하현에서 6.68㎞ 떨어진 약산(藥山) 동쪽, 물길이 휘돌아 돌고 왼쪽은 절벽으로 막혀 있으며 앞으로는 독산이 마주한 곳에 터를 잡고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임하댐이 건설되기 전 선찰사의 본래 위치는 도연삼절(陶淵三絶)이라 하는 격진령(隔塵領), 도연폭포(陶淵瀑布),선유창벽(仙遊蒼壁)이 이어지는 천혜의 절경을 이루던 안동 8경 중 한 곳이었다고 합니다. 도연 김시온, 숭정처사 유허비 https://blog.daum.net/12977705/8727106 선찰사 대웅전 주불로 봉안되어있습니다. 목조 여래좌상 나발, 중간계주, 정상 계주를 갖추었고 백호가 있습니다. 이목구비가 또렷하며 삼도는 분.. 2021. 2. 12.
안동...숭정처사 유허비 송정(松亭) 길안면 구수리 174번지 숭정처사 유허비 앞쪽에 위치합니다. 표은 김시온(1598∼1669)을 추모하기 위해 적암 김태중이 숙종 5년(1679)에 건립하였습니다. 1988년 임하댐 건설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송정을 중심으로 향우 측 뒤에는 와룡초당, 좌측에는 숭정처사 유허비가 배치되어 있습니다. 출입문 정면 측면 숭청처사유허비각 출입문 비각 숭정처사 유허비(崇禎處士 遺墟碑) 표은 김시온을 기리기 위헤 세운 비석입니다. 대좌 갑석에는 복련을 조식하였고, 중석은 연주문으로 구확하여 안상을 겹쳐 새겼습니다. 비신 사면에는 명문을 돌아가며 기록하였으며, 정면에 숭정처사 유허비를 새겼습니다. 비문은 비신 정면 향우 측에서 시작하여 사면을 거쳐 정면 좌측에서 맺은 것 같습니다. 이수는 상부를 둥글게 마.. 2021. 2. 11.
안동...신석리 석탑 옥개석 신석리 사지 창건과 폐사는 물론이고 정확한 위치도 알려지지 않은 절터 사지로 추정되는 곳 뒤편의 낙동강 지류인 반변천 변 야트막한 야산 정상부에 옥개석 1개가 유존합니다. 본래의 자리에서 도괴된 석탑 부재인지, 옮겨 온 옥개석인지 확인되지 않으나 현재의 위치는 사찰 가람배치에서 어울리지 않은 좁은 능선부에 자리하여 비보 석탑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하지만, 이곳은 용머리에 해당하는 형국으로 용머리에 탑을 세울 까닭은 없습니다. 흔히들 이야기하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혈맥을 끊기 위한 만행이었는지는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옥개석 예상보다 큰 옥개석입니다. 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상부에는 2단 각형 굄을 조출하였고, 층급 받침은 각형 4단, 절수구는 없습니다. 상부의 홈은 사리공이라면 깊이가 얕아 상층 탑.. 2021. 2. 10.
안동...울진 월송리 태함 울진 월송 3리 화구(花邱) 마을 출토 태함 안동대 야외박물관 태함의 주인공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디지털 울진문화대전 울진 국도7호선 확장공사 때문에 부산국토관리청에서 안동대학교박물관에 조사를 의뢰해 2005년 11월 2일부터 2006년 2월 14일까지 시굴 조사가 시행되었다.시굴 조사시 유구 확인되지 았았으나 공사과정 중에 태함이 발견되어 발굴 조사를 시행하게되었다.이미 공사 때문에 유구의 상당 부분이훼손되었으며,0태함도원위치를 이탈한 상태였다. 유구의 평면 형태는 방형으로 그 가운데에 태함을 둔 흔적이 확인되었다. 태함은 기석[몸돌]과 개석[뚜껑돌]으로 분리되었다. 개석은 반구형으로 크기는 지름이 111㎝에 높이가 57㎝이며, 기석은 원통형으로 지름이 112㎝에 높이 89㎝였다. 그리고 기석의 내부.. 2020. 5. 30.
안동....안동대 야외박물관 안동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 2008년이 마지막 방문이었습니다. 오늘은 울진 월송리 태실의 태함을 보기 위해 들렸습니다. 사진 몇 장 올립니다. 안동대 야외전시장(2,008년) http://blog.daum.net/12977705/4802192 벅수 석등 석주 석등 대좌 심초석 임하사 전탑지 출토. 홈 속에 사리기가 있었습니다. 석불좌상 범씨동 출토 부도 용계동 선찰사지 석불좌상 석불좌상. 광배 홈 석불대좌 임동면 마령리 석등 초석 안동부 관풍루 석탑 명륜동 출토 최소 3기의 조합으로 보입니다 돌확 석사자 2020.05.04 2020. 5.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