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안동 / 신세동 전탑과 고택 안동은 성주의 본향 제비원, 봉정사, 개목사를 비롯한 사찰뿐만 아니라 전탑의 고향이며 명문세도가와 유학자, 종택이 어루러진 즉 불교, 유교, 민속이 응축된 고장이기에 여러 날을 두고 구석구석 답사하더라도 끝없이 우러나는 맛에 발길 돌리기가 쉽지 않다. 그 아름다움의 정체, 언제나 느끼는 미..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제비원 석불 제비원 석불을 찿아 갔던 첫 답사 길을 난 아직 잊지 못한다. 79년 군입대를 앞두고 휴학 기간중에 버스를 타고 가서 비를 맞으며 곁에 두고도 찾지 못해 맴돌다 친견한 석불의 미소, 나의 몸에 흐르는 땀과 비에 젖은 옷과 똑같이 석불 위에도 빗물이 땀처럼 두 볼에 흘러내리고 습의도 비에 젖어..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봉정사 봉정사 부석사를 개창한 의상대사가 부석사에서 종이로 만들어 날려보낸 봉황이 내려 앉은 터에 자리 잡았다는 가람으로 길지 임을 쉽게 알 수 이는 절집으로 느낌 좋은 길이었다. 이번 답사길은 예전과 달리 학봉 종택을 먼저 들렸지만 내가 즐기는 코스는 대구에서 국도로 와서 의성 탑리 오층탑, ..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5) 어르신의 노기가 지속되면 말씀이 끝날까 두려워 슬쩍 거들었다 -. 어르신 그래도 용(자)환(자) 어르신의 명예가 회복되지 않았습니까? -.(표정이 풀리시며) 그 어른이 말이야 13(?)세 때 선친이 왜놈에게 수모를 당한 것을 눈으로 목격했거든, 얼마나 한이 맺혔겠어, 그러니 죽으면서도 한마디 말도 없이 ..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4) 윤학준이 누구인가? 그는 경북 예천이 고향으로 학봉종택이 있는 금계가 외갓집으로 그 시대의 풍습에 의해 (맏이는 외갓집에서 낳는다) 외가에서 태어났으니 학봉 집안이 외가의 친척이며 1953년 6.25를 피하여 일본으로 간 후 좌익에 가입 반한 운동을 한 인물로 오랫동안 조총련계에 몸담은 관계로 귀..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3) 다시 바깥마당으로 나오면서도 종손 어른을 뵐 수 있는 묘책이 떠오르지 않아 풍뢰헌 운장각도 눈에 들어오지 않고 초조한 맘 가눌 길 없어 촛점을 잃은 눈동자로 안내문만 응시하고 있는 중에 사랑채 문이 열리면서 무인풍이 역력한 모습의 어르신이 나오신다. 학봉의 14대 종손 김시인 어르신이 분명..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 종택(2) 바깥마당을 거쳐 안마당으로 들어가려는 순간 티없이 순박한 모습의 처자가 중문으로 나오길래 "들어가도 좋겠습니까?" 하였더니 주저함 없이 그러하시란다. 하긴 봉제사 접빈객이 양반 집안의 자랑인데 문전박대 할 수 있겠는가. 종택은 설계도를 먼저 그린 후(설계도가 운장각에 지금도 보관..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
[스크랩] 안동 / 학봉종택(1) 많은 사람들이 내게 던지는 질문의 하나가 고택, 종택을 찾는 이유가 뭐냐는 것이다. "그냥 좋아서요" 라고 궁색한 답변을 하지만 내외구분이 엄격한 배치와 그에 따른 건축부재의 조화, 풍수지리적 양택 조건, 종가집의 내력, 중시조를 비롯한 집안의 선비의 사상, 제례 및 음식 문화 등 전공분.. 경상북도/안동시 2008.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