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산청군 57

산청...(전)구형왕릉

오늘 네 번째 방문은 김해 김 씨 장보암 답사를 위해 들렸습니다.2,001년2,012년2.016년 왕산사지 부도전 답사길 이후 다시 왔습니다. 옛글로 대신합니다. 산청. 구형왕릉(2,012년)https://12977705.tistory.com/8723619 산청, 왕산 사지 부도전(2,016년)https://12977705.tistory.com/8725022            가락국(駕洛國) 구형왕릉 소(仇衡王陵 所)숭정 삼 정묘 삼월 일(崇禎 三 丁卯 三月 日)1,807년 3월   2020.12.06

지리산 통신

지인이 부도 대좌 사진을 보내왔습니다 예전 답사 때에 스님께서 능선에 대좌가 있다고 말씀하셨지만 탑신석만 보고 하산하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산청 내대리 사지 http://cafe.daum.net/moonhawje/DjZP/3432?q=%EC%82%B0%EC%B2%AD%20%EB%82%B4%EB%8C%80%EB%A6%AC%EC%82%AC%EC%A7%80(1) 2020.09.29 화염보주형 부도 이 부도 뒤편 능선에 대좌가 있다고 했는데 대좌가 2기 있습니다. 부도 1기는 망실 되었을까요? 이 부도는 대좌와 별개의 부도로 추정되지만 사지에서 옮겨 왔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 합니다

산청...지리산 장당골 석남암수(石南巖藪)에 대한 짧은 생각

지리산 장당골 석남암수(石南巖藪)로 비정되는 폐사지와 석조비로자나불의 원래 자리인 석남암수(石南巖藪) 관음암(觀音巖)을 답사하였습니다. 현재는 석남암수(石南巖藪)를 석남암사(石南巖寺)로 특정하고 문화재 명칭도 석남암사(石南巖寺) 비로자나불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답사 결과 우리에게 알려진 내용과 다른 생각이 들어 답사기를 겸하여 의견을 밝힙니다. 석남암수 비로자나불에 대한 연구 논문은 몇 편 있으나 석남암수지 또는 석남암사지에 대한 글은 검색되지 않아 조심스럽지만 자유롭게 주장을 펼칠 수 있는 비제도권 무지렁이의 특권으로 일천한 안목을 전개해보겠습니다. 학위도 없고, 전공자도 아니며, 오직 폐사지 답사를 즐기는 사람의 눈에 비친 시각에 대하여 비난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내원사는 대한불교조계종 ..

산청...지곡사지 부도.부도비

지곡사지 두차례 답사에서도 미쳐 몰랐던 부도 1기, 부도재 1기를 뵙기 위해 들렸지만 돌아와서 자료를 보니 전혀 엉뚱한 방향에서 헤매이었다. 우가진 풀 때문에 현장에서도 찾지 못한 석탑재와 부도는 겨울날 훌쩍 다녀와야겠다. 지곡사지에 흩어져 있던 부도를 함께 모셨다. 주변에 석탑재를 찾았지만 인연 짓지 못하고 아쉬운 발길을 돌렸지만 땀을 씻고 한 기 한 기 부도를 살펴보는 즐거움도 누렸다. 비구니 법수당 근자에 모신 부도 﨎明堂大師 玄應 之塔, 壬午 四月 日 立(쌍명당대사 현응 지탑,임오 사월 일 립) 계진대사 영월당탑 戒眞大師 影月堂塔 옥개석은 후보하였다.. 명문을 확인 할 수 없었다 德融大师 含悟之塔(덕융대사 함오지탑) 대석은 후보 당호를 새기지 않았다. 대석은 후보 化主 椘仁 比丘, 明源堂大師 懼眼..

산청...내대리사지(2) 부도

길상사. 시천면 내대리 996 길상사에 주차, 향우측이 위의 사진이다. 왼쪽 돌무더기와 컨테이너 사이로 진입 바로 좌측 시멘트 길로 들어서야한다. 개인 블루베리 농원 출입문으로 진입 농원안 좌측 시멘트길을 5분여 오르면 부도가 보인다. 내대리사지 부도. 길상사에서 10분 정도 거리에 위치한다.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에 등재된 내대리사지 부도(아래 답사기 참조)와는 별개의 부도이다. 스님도, 사찰에 계시는 처사님도 행방을 몰랐지만 우연하게 길상사에 들린 마을 주민이 알려주었다. 상륜과 대좌는 결실되었다. 보주와 탑신이 별석으로 조성되었다. 당호는 새기지 않았다. 답사 후 다시 만난 주민의 말씀으로는 본래 위치는 현재 자리 위쪽 대나무 숲 부근이라고 하였다. 대나무 숲에는 아직도 대좌가 있으며 상부에 방형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