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백월산 산혜암 석불입상 읍내에서 산혜암가는 길은 만만치 않다. 굽이지고 경사가 심한 산길을 제법 올라가면 높은 석축위의 산혜암이 철옹성 같은 모습으로 객을 맞이한다. 다른 사찰 처럼 108계단이겠지만 높은 지대에 위치해 더욱 높게 보인다. 창건과 관련 전통사찰정보에서 자료를 가져왔다. "산혜암.. 충청남도/홍성군 2010.06.08
홍성...용산리 미륵불 홍북면 용산리 용두마을에 위치한다. 광경사지 석불좌상과 내덕리 석불 입상을 경유하여 내쳐 달리면 길옆에 봉안되어 있다. 내덕리 석불 입상 처럼 전면의 일망무제의 넓은 들을 바라보고 있다. 지명으로 미루어 주변 형국이 용의 모습이며 용두마을은 용의 머리에 자리한 것으.. 충청남도/홍성군 2010.06.07
홍성...내덕리 석불입상 홍북면 내덕리 어경마을에 위치한다. 미륵불을 탐문하는 나를 직접 안내해주신 어르신은 할머니 미륵이라고 불렀다. 할머니 미륵 옆에는 애기미륵이 있었는데 한국동란 때 행불되었다고 했다. 석불 옆집이 절터로 현재에도 사지의 흔적이 남아 있고 집안의 우물도 절집의 것이라.. 충청남도/홍성군 2010.06.05
홍성...상하리 미륵불 상하리 미륵불은 용봉산 용도사에 위치한 미륵불이다. 7년전 아이들과 여행중 늦은 저녁에 도착 미처 뵙지 못했었다.오늘은 용봉초교 옆으로 승용차로 올라갔더니 금방이었다. 하산하는 등산객의 눈초리가 곱지 않았지만, 홍성에 거주하시는 한악어(한건택)님의 주선으로 조용한.. 충청남도/홍성군 2010.06.03
홍성...광경사지 석불좌상 홍성읍 내법리 용주사. 개나리가 만개하지 않아도 절집은 무척이나 정갈하다. 아마 비구니 스님이 상주하는 절집같다. 석불좌상은 대교리 광경사지에서 옮겨왔다는 설과 용봉사에서 이건했다는 두 가지 설이 전해온다. 개인집 정원에서 용주사로는1970년대에 모셔왔다고 한다. 석.. 충청남도/홍성군 2010.05.31
홍성...광경사지 석탑 홍성여중 교정 현재는 홍성여중 정문 안쪽에 위치해있다. 광경사지 석탑으로 알려졌지만 본래는 구항면 내현리 탑골에 있었다고 전해온다. 다른지역의 문화재처럼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개인정원에 옮겼고 해방후 그자리에 홍성여중이 개교하여 훗날 이곳으로 학교를 이전하.. 충청남도/홍성군 2010.05.30
홍성...조양문. 대교리 미륵불.동문동 당간지주 홍성읍내는 7년만에 다시 들렸다. 읍내에서 아래의 옛님들을 놓치기 싫어 다시 찾았다. 예전에 떠벌린 답사기가 있어 문화재청, 문화유적총람 자료로 대신한다. 조양문은 홍주성의 동문이며 홍성군의 관문으로 고종조에 목사 한응필이 홍주성을 석성으로 개축하고 동서남북의 문.. 충청남도/홍성군 2010.05.28
홍성...대원군 척화비 네비 아가씨의 고집스런 안내도 허사였고 나의 지레짐작도 엉터리였다. 참 힘들게 찾은 척화비다. 글은 문화재청에서 가져왔다. '척화비란 쇄국정책을 실시하던 흥선대원군이 병인양요, 신미양요를 치르면서 더욱 그러한 의지를 굳혀, 서양세력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경계하.. 충청남도/홍성군 2010.05.27
홍성...구절암 마애불 좁은 농로, 비탈진 산길을 바삐 올라갔지만 텅빈 절집에 멍멍이만 요란을 떤다. "구절암(혹은 칠절사)는 백제시대에 처음으로 창건된 사찰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사찰의 역사는 알지 못한다. 다만 강희(康熙, 1662-1722) 년간에 사용되었던 연호가 새겨진 조선시대 기와편이 발견된.. 충청남도/홍성군 2010.05.26
[스크랩] 꽃샘 추위가 봄을 시샘하는 날에(Photo Only)...홍성 구절암 마애불 구절암 부도 대원군 척화비 동문동 당간지주 대교리 미륵불 조양문 광경사지 3층탑 광경사지 석불좌상 산혜암 보살입상 산혜암 삼존불 상하리 미륵불 내덕리 미륵불 용산리 미륵불 용봉사 마애불 용봉사 부도 용봉사 석조 신경리 마애불 봄은 봄인데... 2010.04.10~04.14 충청남도/홍성군 2010.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