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안동시

[스크랩] 안동 / 신세동 전탑과 고택

임병기(선과) 2008. 6. 5. 10:22
728x90
안동은 성주의 본향 제비원, 봉정사, 개목사를 비롯한 사찰뿐만 아니라 전탑의
고향이며 명문세도가와 유학자, 종택이 어루러진 즉 불교, 유교, 민속이 응축된
고장이기에 여러 날을 두고 구석구석 답사하더라도 끝없이 우러나는 맛에 발길
돌리기가 쉽지 않다.


그 아름다움의 정체, 언제나 느끼는 미완의 답사라는 공허함, 더 이상의 실체는
없으리라 생각하고 무심코 스쳐가는 길에 만났던 해질무렵의 제비원 석불을 넋
놓고 바라보아야만 했던 앎의 허기짐, 자괴감...., 안동댐의 행정구역이 城谷洞임을
알고 나의 크나큰 발견인양 뿌듯했던 겁 없었던 사치스런 사고의 유희......
(계곡 谷에 성 城을 쌓았으니 그것이 바로 댐이라고 생각하는 나의 해석)


제비원 식당에서 수육과, 쇠주 한잔을 걸치면서도 가야할 방향이 쉽게 잡히지
않지만 안동에서 전탑 사진 한 장은 남겨야한다는 나의 욕심으로 상감님을 신세동
전탑으로 안내한다.


여느 답사 책에서도 빠지지 않고 언급한 전탑의 신세(?)는 여기에서 더 이상 말하고
싶지않지만, 북방불교 전래의 단초로 여겨지고, 중국을 비롯 동양 삼국의 탑의 양식과
대비 및 조탑의 가운데에 자리잡고 있으면서도(나의 답사기 송림사 참조 요), 유교에
밀리고, 일제강점기의 허울 좋은 개발논리에 짓밟힌 전탑의 위상은 우리를 슬프게하고,
온몸에 상흔을 안고 있어도 바라보기만 해도 전신을 옥죄는 숨막히는 氣의 근원을
난 언제나 즐긴다.


안동고을 사또보다 권위가 있고 위상이 높았다는 향교의 우두머리를 많이 배출했고,
이동영(?)을 비롯 독립운동가가 나온 고성 이씨 종택은 그나마 사람이 살고 있기에
퇴락한 고택의 을씨년스런 분위기는 아니라도 보수를 하고 있다지만 방문 자체를
원천 봉쇄하는 님들의 자세가 뒷맛이 개운치 않다.

중앙선 철길을 달리는 철마에서 품어낸 기름때에 절은 고택 지붕의 모양새와 오버랩
되면서....


누구 탓을 하랴?
나의 욕심이고, 바램인 것을..., 스쳐 가는 중생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아픔, 어려움,
소란함을 어찌 알리랴! 고 중얼거리며 임청각으로 발길 옮긴다.


본디는 99칸의 집이었으나 중앙선 개설로 인해 반으로 줄어든 영남 반가의 ㅁ자
형태의 임청각은 약관의 나이에 퇴계가 쓴 현판, 백사 이항복, 농암 이현보가 글이
있었고, 근세의 건축가 김수근이 "인간적인 치수를 반영하여 지은 집"이라 극찬했다지만
사람의 흔적이 없어 마당엔 잡초가 우거지고, 사랑채 별당인 군자정마져 쇠락의 기미가
눈에 보여 씁쓸하다.

그나마 고운 담장이 있기에 몇 번이나 뒤돌아보며 아쉬움을 달랬다.

2003.05.11
출처 : 저 산길 끝에는 옛님의 숨결
글쓴이 : 선과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