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명도사 석탑재 고암면 명도사. 고암은 이런저런 이유로 여러번 지나 다녔지만 명도사? 금시초문인 절집이었다. 큰길에서 좁은 소로 산길을 제법 올라가니 멍보살이 먼저 반긴다. 그래도 정겨웁다. 대가집 안채 느낌이다. 대가집 안채에는 정원을 조성하지 않는다고 엉터리라고 하지 않았으면,,, 절집 분.. 경상남도/창녕군 2014.09.24
창녕...대동리 금헌묘역 석상 금호재 대합면 대동리 265번지. 석상 답사를 위해서는 금호재를 목표지점으로 하면 된다. 날씨가 좋은 날은 묘역 앞까지 진입 가능하지만 금호재에 주차후 대동지를 우측에 두고 걸으면 10분 미만 소요된다. 금호재. 조선 중종때 병조판서를 지낸 금헌琴軒 이장곤李長坤의 재사齋舍로 용.. 경상남도/창녕군 2014.09.23
창녕...통도사 포교당 목조여래좌상 통도사 창녕포교당의 창건에 대한 기록은 '불찰 통도사본 말사 창녕 포교당 창건대시주공덕기'에 나와 있다. 공덕기에 따르면 불기 2966년(1939) 7월 7일에 포교사 춘담스님께서 인왕경을 교화하기 위하여 당시 창녕의 대지주였던 하준석의 슬하에 자녀가 귀하여 득남원을 발원하여 세운 절.. 경상남도/창녕군 2014.09.22
창녕...용선대 마애부도.석조여래좌상 용선대 부처님을 뵙기 위해 산길을 오른다. 사바에서 지은 죄가 많으니 살아 생전에라도 반야용선에 승선하고 싶은 마음에 발걸음을 바삐 움직인다. 잠시 발품을 팔면 오르는 반야용선 길인데도 인간의 간사한 욕망 탓인지 데크 공사가 진행중이다. 용선대 직전에 예전에 인식하지 못했.. 경상남도/창녕군 2014.09.20
창녕...구룡산 관룡사 그렇게 자주 들렸어도 사진 한 장 남아 있지 않다. 그렇다면 사진을 찍지 않았던 2005년 이전에 들렸다는 이야기다.2002년에 올렸던 풋풋한(?) 글이 보인다. 토요일만 다가오면 아침부터 괜히 바쁘고 손에 일이 잡히지 않는다.익숙해 질만한 기간이 지났지만 가족이 있는 둥지가 그리운 탓인.. 경상남도/창녕군 2014.09.19
창녕...청연사 부도. 목조아미타삼존불 계성면 사리 852번지. 삼성암 반대편으로 생각하면 된다. 나름 창녕을 아주 잘 알고 있다고 자부했는데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총람에서 대흥사지를 검색 중에 처음으로 청련사를 알게 되었다. 청련사에는 부도, 아미타삼존불, 후불탱, 반자(창녕박물관) 등의 문화재가 유존하는 사찰이지만.. 경상남도/창녕군 2014.09.18
창녕...삼성암 목조관음보살좌상 삼성암. 사리 광배를 지나 관룡사 못미쳐 좌측 산 중턱에 자리한 절집이다. 차량으로 끝까지 진입이 가능하지만 경사가 매우 심한 끼닭에 아래 주차장에 파킹하는 것이 좋다. 삼성암은 583년(진평왕 5)에 창건되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사적은 전하지 않는다. 그후1838년(헌종 4) 해운우홍(海.. 경상남도/창녕군 2014.09.17
창녕...법화암 다층청석탑 2007년 우리카페 광해대왕과 마지막으로 다녀왔으니 벌써 7년이 흘렀다. 옛글로 대신하다 소조지장보살. 삼성각에도 석조보살좌상이 있으나 놓치고 왔다.. 2014.08.15 =================================================================================================== 예전 관룡사 용선대에서 노신사에게 들었던 이.. 경상남도/창녕군 2014.09.16
창녕...보림사지 부도 많은 답사객들의 창녕 영산 답사 코스는 천편일률적이다. 도천의 관음사. 보림사지 석탑. 만년교.영산 석빙고.영산향교, 구계리 석불좌상. 법화암 다층청석탑 순위다. 물론 그중의 몇몇 답사객들은 영산초교 교정의 보림사지 석탑과 더불어 보림사지 부도를 찾았을 것이다. 나 역시 법화.. 경상남도/창녕군 2014.09.15
창녕...구계리 석불좌상 정자에 앉아 마누라가 준비한 도시락으로 오찬(?)을 즐기며 화왕산 가고 싶다는 마누라의 바람을 한순간에 창녕 답사로 유도한 기막힌 나의 순발력과 통찰력을 내심 뿌듯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마누라의 피니스 블로가 나를 그로키로 몰아 간다. "언제 철들래?!!!" 점심 식사 도중.. 경상남도/창녕군 2014.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