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령...성황리 삼층석탑 2006년 마을회관 앞에 주차 후에 골목길을 걸어 갔었다. 고샅 담장 너머에는 주렁주렁 오디가 달려있었고, 석탑 주변은 개망초가 지천이었다. 지금은 녹슨 철제 울타리도 석재로 바뀌었고 주변 정리가 되었다. 성황리 그 옛날에는 성황재 도는 동구밖 성황당에서 유래했을 지명이다. 조산.. 경상남도/의령군 2015.03.07
의령...신덕산 수도사 2006년 수도사에 들렸으나 불사 중이어서 석조 아미타 삼존불, 칠성탱, 감로탱을 뵙지 못하고 석탑만 뵈었다. 다시 인연 짓기 위해 들렸지만 허무르질듯했던 만세루는 준수한 청년으로 바뀌었고 기억속의 극락전 축대, 파초는 돌아오지 않을 만행을 떠났다. 주전각인 극락전 중정 파란 잔.. 경상남도/의령군 2015.03.06
의령...칠정려 칠정려 의령읍 동리 1134-1 진양 강씨 문중 7인의 충忠, 효孝, 열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으로 도로변에 6동이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2인은 쌍효정려를 받아 6동이다. 삼강문三綱門이라고도 불리는데 삼강이란 충·효·열을 이르는 말이라고 한다. 모암공. 매곡공 정려 모암공慕菴公 .. 경상남도/의령군 2015.03.05
의령...백련사 목조보살좌상 가례면 자굴산로 자굴산 중턱에 자리한 백련사 백련암은 1317년(고려 충숙왕 4)에 창건, 1893년(고종 40) 주선周善스님이 중창하였다는 기록만 남아 있을 뿐 그 외의 연혁에 대해서는 전하지 않는다. 근래에 들어 여러 차례 당우를 중수하였고, 최근 법련스님이 대웅전 불사를 하였다고 한다... 경상남도/의령군 2015.03.04
의령...운암리 소나무 가례면 운암리 상촌마을 입구에 자리한 소나무로 반송이다. 1982년 군지정 보호수 지정당시 420년 수령이지만 생육상태가 아주 양호해보인다. 세갈래로 갈라진 가지. 수피는 거북등 같다. 청춘이다. 노익장인가? 2015.02.14 경상남도/의령군 2015.03.03
의령...신포리 입석 칠곡면 신포리 마을을 중심으로 7개 선돌이 큰 원형을 그리면서 서 있고, 그 중 2개의 선돌이다. 7기는 칠성 신앙의 의미 아닐까? 선돌은 부족의 경계, 벽사, 기자, 다산, 무병장수의 상징물이다. 2015.02.14 경상남도/의령군 2015.03.02
의령...내조리 성황당 천지사 길 노변에 숲이 보인다. 300여년 수령의 팽나무 내조리 마을숲의 어르신이다. 단순히 마을숲으로 생각했는데 좌우에 조산이 보인다. 당산임에도 당집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는다. 의령군청홈 마을 유래를 검색해 보았다. "아래땀」조금 위에는 길 양쪽에 조산이 있고 수백 년 묵은 .. 경상남도/의령군 2015.02.27
의령...천지사 석조여래좌상.독성탱 의령 답사매니아들도 여러번 들린 경험이 있을거다. 나역시 그러하다 하지만 옛님은 화수분 아니던가? 차일피일 게으름 피운 사이 몇 년이 흘러 버렸다. 마침 10년전 부터 알고 지내던 아리스님이 한 번 다녀가라고 기별이 왔다. 겸사겸사 인연 짓지 못했던 님들을 뵙고 왔다. 대웅전 향우.. 경상남도/의령군 2015.02.26
의령...문산사 칠층탑 단지 문산사에 칠층석탑을 보러 갔었다. 좁은 산길을 오르면 산문은 보이지 않고 칠층탑이 먼저 보인다. 당연히 처음부터 이곳에 세워진 탑으로 생각했다. 허나 다른 절터에서 이건해온 탑이라고 확신한다. 그것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문산사를 둘러 본 후 나의 느.. 경상남도/의령군 2009.12.04
[스크랩] 의령 / 수도사...극락전 앞 파초 신덕산 수도사는 662년 통일신라시대 문무왕 2년에 고승 원효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하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으나 그 뒤 송운대사 유정이 다시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내문에 의하면 절 뒷산에 흡사 병풍처럼 둘러선 바위가 있어 사람들은 이 바위를 병풍바위라 하는데 당시 원효대사.. 경상남도/의령군 2008.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