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원도/삼척시

삼척...영은사 부도전

by 임병기(선과) 2017. 8. 9.
728x90
728x90

 

 

 

부도전

2010년 답사시에 놓쳤던 부도이다.


일주문 통과후 다리 건너기 전 우측 밭 위쪽에 자리한다.


 

월파당대선사사계지도 月波堂大禪師思戒之圖

(강원대 홍성익박사가 보내준 자료에 등재된 부도 명이다.)


思戒之圖

무슨 의미일까?


육안으로는 확인 불가지만 명문이 있으며 그 또한 흥미롭다


선사능파당법균제자先師凌波堂法均第資

상좌 손제 선숙.선정 上佐 孫第 先淑 先正

건륭삼십오년경인칠월일 립 乾隆三十五年庚寅七月日立


월파당의 법제자 능파당의 제자(월파당의 손제) 선숙,선정 스님이 1770년 7월에 조성한 부도로 이해하면 될까?


 

탑신에 부도비를 새겼다.


 



 

 

당호를 새기지 않은 부도

하대석은 매몰되었고, 팔각 탑산위에 복련이새겨진 상대석을 올렸으며 그위에 팔각옥개석과 일석인 보주를 올렸다.

옥개석 상부에는 복련이 있으며,보주는 파손된 상태이다.


 

중대석,상대석


 

탑신.옥개석

 

 


역시 당호를 새기지 않았으며

위의 부도와 거의 동일하다.


동일한 인물이 조성한 부도 아닐까?

 

 

 

 


영곡당대선사탑 靈谷堂大禪師塔 건륭사십오년경자삼월일 乾隆四十五秊庚子三月日


설화당 우운 근지 雪華堂 雨芸 謹誌

동옹당 보경 근서 東翁堂 寶璟 謹書


1780년 설화당이 글을 짓고 동옹당이 글을 썼다.

부도비 대좌에 부도와 비를 함께 조성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작례로 생각된다.

 

 


오늘은 누가 올까?

멀리서 오가는 참배객을 바라보는 듯하다.


2017.08.02


아래는

 2010년 8월에 작성한 글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아마 공양왕으로 인해 지명이 유래된 듯 하다. 여기가 태백산인가? 영주 부석사도 태백산이라 하니 태백산 줄기를 의미하는지 모를일이다. 부도와 대웅전, 팔상전을 보기위해 들렸지만, 스님이 출타중인 텅빈 절집에서 부도는 끝내 찾지 못했다. 대웅전과 팔상전도 근래에 불사를 이룬듯 고풍스런 모습은 아니었다. 하지만 기대도 못했던 해강의 글씨 두 점을 만난 행운을 얻었다.

 

금연루

 

금연루의 의미는 창건설화를 보면 알 수 있다. 『삼화사사적』에 의하면, "삼화사 숲속에 삼층보탑이 있는데 약사삼불인 백·중·계 삼형제가 서역에서 돌로 만든 배를 타고 유력하다가 동해안에 이르러 제일 맏이는 흑연화(黑蓮花)를 들고 지금의 삼화사로 오니 흑연대(黑蓮臺)라 하고, 둘째는 청연(靑蓮)을 들고 지금의 지상사(지향사)로 오니 청연대(靑蓮臺)라 하고, 막내는 금연(金蓮)을 들고 지금의 영은사로 오니 금연대(金蓮臺)라 하였다."고 하는 창건 설화가 전한다.

 

그러나 역사적으로는 신라 진성여왕 5년(891), 혹은 892년에 범일 국사가 궁방산 아래 마전평에 절을 창건하여 궁방사(宮房寺)로 한 것을 영은사의 최초 창건으로 보고 있다. 명종 22년(1567)에 사명대사가 궁방사와 다소 거리가 있는 현위치에 절을 옮겨지어 운망사(雲望寺)라 하였다가 임진왜란으로 전소되자, 인조 19년(1641) 벽봉 스님이 중건하고 절 이름을 영은사로 바꾸었다. 그 후 순조 5년(1805) 봄에 화재로 인해 대웅보존을 비롯한 10여동의 건물이 전소되어 다음해에 당시 삼척 부사 심공저의 지원을 받아 중건하였다. 순조 10년(1810)에 학송스님이 석가여래삼존불을 봉안하였으며, 철종 6년(1855) 서암스님이 괘불을 조성하였다. 그 뒤 고종 1년(1864)에는 심검당을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3칸 겹처마 다포계 맞배지붕이다. 초석은 덤벙주초이고 기둥은 민흘림이다. 내부 바닥은 우물마루를 짜았고 가운데의 2개의 고주가 대들보를 받 치고 후불벽과 불단을 조성하였다. 천장은 가운데로 우물반자를 짜고 주위는 빗천정을 이루었다.  조선 후기 건물로 알려져 있다.

 

 

삼존불. 여러자료에는 1810년에 조성한 석가모니불를 주존으로 보현,문수보살을 협시로 모셨다고 했지만, 무슨 사연이 있었는 듯 대웅보전 현판과 맞지않게  비로자나불을 주존으로 모셨다

 

 

해강의 글씨다.

 

 

역시 해강의 글씨이다.

 

팔상전

 

조선 인조 19년(1641년)에 세웠다 하나 건물의 짜임과 두공형식으로 보아 조선 후기의 형식을 보이고 있다. 자연초석 위에 정면 3칸 측면 2칸 맞배지붕의 간결한 건물이다. 지붕의 전면은 부연을 달고 후면은 부연없이 홑처마로 처리하였다. 

 

 

건륭 25년(1760년)에 제작된 팔상도 탱화가 있었지만 도난 당하고, 근자에 새로 조성한 탱화가 걸려있다. 

2010.08.04 


728x90
728x90

'강원도 > 삼척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척...역둔리 철비  (0) 2017.08.11
삼척...대평리사지 석탑재  (0) 2017.08.10
삼척...매원리 성황당  (0) 2017.08.08
삼척...태백산 신흥사  (0) 2017.08.07
삼척...흥전리사지 석탑재  (0) 2017.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