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252

서울...목인박물관 석불

일제강점기 88개 영장소 불상 검색하면서 목인의 88 야불을 인지했습니다.이후 야외에 석탑 등의 석조유물을 알게되었고 탁경백 박사, 송봉주 박사와 함께하였습니다. 석불우리에게 익숙한 불상은 몇 분 없었고 일본 불상이 대부분이었습니다.그 또한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불상이지 최근에 들어온 상인지 구분할 수 없었습니다.문자가 새겨진 불상이 많이 있었으마 번호가 있는 불상만 88야불로 집계하였습니다. 불상 여부도 모호한 상이 있으나 조성시기와 더불어 읽는 분의 판단에 맡기며 사진 올립니다.민불?백호가 있습니다.불두일제강점기일제강점기중국중국중국중국일제강점기. 50번벅수석조여래입상승상석조야래좌상승상. 목탁을 들고 있습니다.석조여래입상석불나한상꼭두 전시장 앞많은 일본 불상이 전시되어 있지만 접근이 어려웠습니다.일제강점..

서울...목인박물관 석탑 부재

목인 박물관에는 여러 기 석탑 부재가 있습니다.하지만, 몇 기 석탑 부재의 조합인지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야외전시장옥개석 2기를 쌓은 부재. 탑신석 1기. 탑신석 1기와 5기 옥개석을 올린 석탑 부재석탑부재(1)탑신석 1기. 옥개석 5기1,2층 옥개석은 동일 부재, 3~5층 옥개석은 각각 다른 부재로 추정됩니다.5층 옥개석 상부 부재는 탑신석과 일석 또는 노반석으로 추정됩니다.즉, 목인박물관 야외 석탑 부재는 몇 기 석탑의 조합인지 불분명합니다.탑신석. 우주 모각초층탑신석절수구 생략, 3단 층급받침이 깊습니다초층 옥개석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1단 각형 굄2층 옥개석3단 각형 층급받침2층 옥개석낙수면 물매 급하고, 상부 1단 굄 조출3층 옥개석, 4층 옥개석4단 층급 받침, 전각의 반전4층 옥개석 하부3단..

서울...목인 박물관 문석인. 동자석.벅수

몇 기 석탑 답사 목적으로 찾았는데예상외로 다양한 석조물이 가득했습니다.사진으로 감상하길 바랍니다. 목인박물관 홈페이지http://www.mokinmuseum.com/중국중국중국중국벅수무인석벅수 같습니다. 망주석 귀부비석. 1959년봉황과 용계룡산 불암사신랑 신부신랑 신부제주 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동자석술잔을 든 동자석술병을 든 동자석동자석벅수벅수삼신할머니벅수벅수벅수제주도 동자석2024.04.10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스투파의 숲 展

동국대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탕탕평평 전, 위창 오세창 전을 관람하고 우리 답사 동호회원들과 만나 스투파전, 그리고 송년회에 참석한 작은 기록입니다. 불자拂子 권위를 상징하는 깃털. 저도 불자라는 표현보다 깃털이라고 해야겠습니다. 물이 가득 찬 풍요의 항아리 기원전 2세기 후반 일향 강우방선생님이 떠오르고, 하루 종일 이곳에 머물렀다는 무애 김승도 님의 얼굴이 스쳐갔습니다. 개인적으로 스투파에 대하여 지식과 답사 경험이 없어 큰 기대없이 들렸는데, 설명 카드에 기록된 익숙한 문구 때문에 기대가 배가되었습니다. 풍요로운 이야기는 김승도 님의 이야기 외에 나의 이야기는 우수마발 사족에 불과할 것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720 끝없이 이어지는 연꽃 기원전 2세..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위창 오세창 展

위창.오세창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6a0936a 1940년 간찰. 추사 김정희 오경석은 추사 김정희金正喜(1786~1856)의 문인 이상적李尙迪(1803~1865)의 제자로 김정희에게 금석문을 익혔습니다. 이 간찰은 60대의 김정희가 과천에 머물 때 20대의 오경석에게 보낸 것으로, 오경석이 김정희의 글씨와 신라·고려의 시문을 요청하자 김정희가 답한 내용이 있습니다. 오경석의 옛 문물에 대한 관심과 수집 취향은 오세창에게도 이어졌습니다. 추사-이상적-오경석-오세창 오경석은 위창의 아버지입니다. 기미독립선언서. 1919년 오세창 외 상형문자로 쓴 魚車舟. 1929년 오세창은 출옥 후 서예 활동에 힘썼습니다. 오세창은 어魚·거車·주舟 세 글자를 상형문자로 ..

서울...국립중앙박물관 탕탕평평 展

안목이 없어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탕평비 탑본. 1742년 영조 글. 글씨 1746년 영조의 명으로 그린 그림 글. 영조, 글씨 윤급 남송의 주의가 푸젠성 장저우 지사로 있을 때 그 후원의 모습을 상상한 그림입니다 영조는 이 그림을 인간의 욕심을 버리고 순수한 마음으로 돌아가 공정함에 힘쓰는 뜻을 함께하고자 그렸다고 적었습니다. 바위그림 1746년. 영조 그림 영조가 청계천 준천 사업을 살피는 그림. 1760년 김희성 작 어제 수윤음. 1774년 여자종이 납부하는 공물을 줄이고 느낀 바를 표현한 시 윤음綸吟 백성을 향한 영조의 의지와 정책 삽살개. 1743년 글. 글씨 영조. 그림 김두량 탕평에 반대하는 신하들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이라고 합니다. 무신친정계도.1728년 을사친정계병. 1785년 이조 관원..

서울...동국대박물관 상설전시장

특별전을 들린 후 1층 상설전시장을 찾았습니다. 옛 사진과 비교하면서 전시품이 많이 교체되었구나라고 생각했는데, 그 당시에 사진 촬영을 허락하지 몇몇 장만 허락받고 찍은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2019년 사진) 2019년 글 https://12977705.tistory.com/8726578 https://12977705.tistory.com/8726579 2023년 12월 13일 촬영이 허용되어 기록으로 남깁니다. 답사 때 참고하시길 비라며... 금동보살입상. 통일신라 금동보살입상.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금동여래입상. 신라. 황룡사 출토 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비천상. 고려 금동여래좌상. 고려 금동 불좌상. 금동삼면명왕상 고려 청동관음보살입상. 고려 통일신라 느낌이었는데... 청동여래좌상. 고..

서울...동국대 특별전

미루다 미루다가 동호회 송년 모임과 국립박물관 스투파전 관람을 겸해 상경하였습니다. 석조불두. 통일신라 석조여래좌상. 조선 목조나한 배면. 조선후기 석조나한상. 조선 후기 소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선 후기 소조불 기법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청자 불상. 불두. 고려 철조여래좌상 철조불두 영산회상도. 1777년 대구 용연사 봉안 아미타여래설법도.1759년 진주 청곡사 남암 봉안 목조 나한상. 조선 목조나한상. 조선 나한상 대좌 금동 탄생불. 금동여래. 금동 나한상. 고려 영산회상도. 조선후기 목조 문수동자상. 조선 비로자나불 번幡. 근대 번은 처음 본 것 같습니다. 목조아미타삼존불감. 1637년 조각승 현윤 아미타 지장 관음 금동약사여래입상. 통일신라 석조약사여래좌상. 고려 목조관음보살좌상. 금동관음보살좌상..

서울특별시 2024.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