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249

서울..국립중앙박물관 남계원 칠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동호회 서울 답사, 첫날 마지막 코스는 국립중앙박물관 자유 답사로 진행했습니다.남계원(南溪院) 칠 층 석탑. 국보남계원 절터에서 1915년 경복궁으로 옮겨왔고 2005년 다시 지금의 위치에 세운 이층기단의 칠층석탑입니다.또한 탑 안에서 1283년(고려 충렬왕 9)에 봉안한 것으로 여겨지는 쪽물을 들인 종이에 은물로 글씨를 쓴 금지은니사경(紺紙銀泥寫經) 일곱 축이 발견되었습니다.. 즉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탑입니다.기단부상층기단, 하층기단은 훼손, 망실 등으로 완전한 형태는 아닙니다.하층기단 저석 겸 지대석, 중석, 갑석으로 구성여러 매로 결구된 중석에는 우주, 탱주 1주 모각, 갑석은 물매가 없으며 좌측면은 1개 부연이 있으나, 우측면은 2개 각형 부연을 조출하여 갑석 부재가 아닌 ..

서울...공간 사옥 삼층석탑

공간사옥 삼층석탑예전에는 까치발로 담 너머 바라보았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165 지금은 카페가 성업 중이며 출입이 자유롭지만, 그렇다고 저 의자를 들어내고 싶지는 않았습니다.삼층석탑2층 기단의 삼층석탑으로 본래 위치는 전하지 않으며 1977년 이건 하였다고 합니다.하층기단부, 상층기단 일부가 복원되었고, 탑신부도 보완된 부재가 있었는데 기록하지 않은 탓에 사진으로는 구분되지 않습니다. 나말여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기단부하층기단저석, 중석이 일석이며 탱주 1주, 우주 모각, 2매의 갑석은 물매가 있으며 각호 2단 굄 조출상층기단탱주 1주, 우주 모각, 4 매석, 엇물림 결구. 갑석 하부 부연이 깊고, 상부에 2단 탑신굄이 있습니다.갑석은 통일신라 ..

서울...창경궁의 향나무

동호회 답사 때 만난나무 몇몇 그루 나무 사진입니다.향나무동궐도에도 그려져 있으며, 19세기 초에 심어진 것으로 추정합니다.답사지에서 만났던 향나무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94 더불어카메라에 잡힌 몇 장면 포스팅합니다.회화나무향나무 옆주목18세기 식재 추정. 2023년 고사백송답사지에서 만난 백송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4주목반송 2025.01.18

서울...창경궁 대온실

대온실(大溫室)1909년(융희 3)에 완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로, 철골구조와 목조가 혼합된 구조체를 유리로 둘러싼 서양식 온실이다. 일본 황실 식물원 담당자였던 일본인 후쿠바 하야토가 설계하고, 프랑스 회사가 시공을 담당하였습니다. 일제가 지은 건물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대온실만큼은 철재와 목재의 뼈대, 유리창을 설치한 최초의 시설물로서 건축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철거가 되지 않았지요.창경궁 대온실은 일제가 창덕궁에 계신 순종을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동물원과 함께 지은 것입니다. 당시 우리 땅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열대지방의 관상식물을 비롯하여 각종 희귀 식물을 전시하였습니다. 1986년 창경궁 복원 이후에는 국내 자생 식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2004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창경궁 홈. ..

서울...창경궁 풍기대.관천대

관천대에서 바라본 창경궁풍기대. 국가지정 보물https://12977705.tistory.com/8725258 2016년에는 놓쳤던...전체가 1석으로 조성한 것 같습니다.운족형(상다리) 기단부불로초인 영지버섯을 새겼습니다.덩굴문. 구름문풍기대. 앙부일구 풍기대는 1770년(영조 46)에 측우기와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며, 원래 창덕궁 통제문 안에 설치되었던 것을 일제강점기 때 이곳으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합니다. 관천대https://12977705.tistory.com/8725259 서울...창경궁 관천대관천대觀天臺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 천문기구인 소간의小簡儀를 놓았던 대臺 상부에 돌난간이 둘려 있고, 돌계단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는데, 대의 한가운데에는 다시 돌대가 놓여있어 그 위12977705.t..

서울...창경궁 오층석탑

2013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167옛글에 창경궁 조성용이라고 기술했었는데, 본래 위치는 자료가 전하지 않습니다.다만 일제강점기 시절 창경궁에 이왕가박물관을 만들면서 이전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이층기단지대석하층기단저석 상부 1단 각형 굄, 중석의 탱주 우주 안상 2기, 면석 상부 횡선의 돋을대는 무엇인지. 갑석의 높은 내림마루, 상부 2단 각혈형 받침 조출상층기단중석의 큰 안상, 우주, 하부 깊은 부연, 낙수면 물매, 높은 내림마루, 상부 각호 2단 탑신 굄탑신부4층 이상 탑신부와  상륜부는 후보전층 탑신석 우주 모각, 전층 옥개석 3단 층급, 절수구, 2단 각형 탑신 괴임, 상하처마 반전, 높은 내림마루초층탑신석 남면 여래좌상소발, 육계..

서울...창경궁 전각

창경궁1418년(세종 즉위) 세종이 상왕 태종을 위해 창건한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자리이다. 이후 1483년(성종 14) 성종이 세 명의 대비(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를 위해 수강궁을 크게 확장하고 궁의 이름을 창경궁이라 하였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궁궐 영역이었으며 주로 왕실 가족들의 생활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창경궁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 중건하였으며, 1830년(순조 30) 대화재로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었다가 4년 뒤에 중건하였다.그러나 1907년 순종이 황위에 오른 후 창경궁 내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조성하면서 궁궐로서의 모습을 잃기 시작하였다. 1911년에는 일제에..

서울...창경궁 성종 태실비

성종 태실비(成宗 胎室碑)일제강점기인 1928년 이후 전국에 있던 태실을 서삼릉으로 옮겼고, 이 과정에서 경기도 광주시 태전동(胎田洞)의 태봉산 정상에 있었던  성종(1469~1494)의 태실 석물과 비석을 이곳에 옮겨놓았습니다. 그런 배경과 관련된 우리 카페 회원인 이순우 님의 오마이뉴스 기사를 가져왔습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00435312013년 포스팅https://12977705.tistory.com/8725257태비처음에는 아기비를 세우고 왕으로 즉위하면 가봉태비를 세웁니다.가봉비(加封碑)는 귀롱대석(龜籠臺石). 비신. 이수로 구성됩니다.전면성종대왕태실 (成宗大王胎室) 후면성화 7년 윤 9월 일립(成化七年閏九月 日 立, 1471년, ..

서울...창경궁 팔각칠층석탑

창경궁 춘당지와 석탑동호회 2025년 첫 정기답사,  창경궁을 오랜만에 다시 들렸습니다.팔각칠층탑. 보물창경궁 춘당지 북서쪽에 있는 팔각칠층석탑입니다.우리나라에 있는 유일한 중국 명나라 석탑으로 1911년 일제강점기 초에 일본사람들이 창경궁에 ‘李王家博物館’을 만들면서 세운 석탑으로 전합니다.기단부방형지대석, 팔각기단부는 저석, 중석, 갑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단저석팔각 저석 하단석에는 운족(雲足)을 새기고, 상단석에는 목조 난간의 궁창 모습의 안상을 새겼습니다.기단중석복련을 새긴 호형 중석 받침, 팔각 중대석은 죽절문 기둥으로 구획하고 안상과 화문으로 조식했습니다.기단갑석중석 받침과 대칭 형의 앙련 받침을 새기고 팔각 갑석을 올렸습니다. 갑석 각 면에는 안상을 마련했습니다.탑신부1~6층의 옥개석과..

서울...김주영 검오일 사진전

용어도 생소한 검오일 사진전 검오일 프린트?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2649 김주영 작가. 마고안 님을 만났습니다한 곳을 바라보았다는 까닭만으로도 첫 만남이었지만 마치 오랜 친구처럼 회포(?)를 풀었습니다2025년에도 충청도를 비롯 몇몇 지방에서 사진전을 열 예정이라고 합니다. 전시 사진 중 개인적으로 인연 짓지 못한 곳입니다.순천. 낙안면 가정마을 미륵곡성. 오산면 청단리 유정마을 벅수내 티스토리에는 청단리 초현마을로 기록되어 있습니다.동일한 벅수인지. 유정마을에도 있는지 확인해야겠습니다.장성. 유탕리 유탕마을 당산무안. 청계면 도림리 입석마을 미륵 바우진도 해언사 마애불 20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