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 252

서울...간송박물관 승탑(부도)

외사리 승탑. 팔각 승탑 두 기 승탑만 사전에 인지하였으나, 또 다른 승탑이 있었습니다. 장독 유형의 선공당 탑 어깨에 복련을 새기고 보주 받침과 보주가 일석입니다. 鮮空堂 선공당으로 읽었습니다. 본래 자리 선공당에 대한 행장은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종형 부도 방형 대좌, 종형(구형) 탑신, 상륜부는 본래 부재 여부가 불투명합니다 승탑 부재로 추정됩니다. 승탑처럼 보입니다. 구형 승탑? 승탑 맞을까요? 바람, 인연 기회가 다시 올 것으로 확신합니다. 2023.09.08 *** 논문, 책 저술 목적으로 사진을 게재할 때는 간송미술관과 사전 협의하여야 합니다.

서울...석조 팔각 승탑(간송미술관)

석조팔각승탑 팔각원당형으로 1975년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본래 자리와 주인공은 전하지 않습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에는 통일신라시대 작품이라고 등재되어 있으나, 이후에 조성된 승탑 같습니다. 현장 안내문에는 통일신라말기~고려초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지대석 2 매 부재로 결구된 팔각형입니다. 모든 자료에 지대석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일견 하대석 하단부 같습니다. 갑석, 중석, 저석이 일석이며 상부에 1단 굄을 넓게 조출했습니다 기단부 팔각 하대석 중석과 갑석이 한돌입니다 단판 복련으로 장식하였으며 귀꽃이 있습니다., 상부에는 2단 중대석 굄을 마련하였습니다. 중대석 아무런 장식이 없으며 둔중한 느낌입니다. 상대석 앙련을 표현하지 않아 본래 부재일까라는 의문이 듭니다. 상부에는 2단 탑신굄이..

서울...괴산 외사리 승탑(간송박물관)

충북 괴산군 칠성면 외사리에 있었으며, 일제강점기에 일본으로 반출 위기에 쳐했으나 간송 선생이 이곳에 봉안하였습니다. 주지하듯 외사리에는 당간지주가 절터를 지키고 있습니다. 외사리 당간지주 2008년 글에 반출 경위가 소상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DjZP/867 괴산 외사리 승탑 고려 전기에 조성된 전형적인 팔각 원당형 승탑입니다 한국전쟁 때 무너졌으나 1964년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방형 지대석 기단부 하대석 하단석, 상단석 중대석, 상대석, 옥개석, 상륜부가 비교적 완형으로 남아 있습니다. 하대석 팔각하단석 각 면에는 2구 안상, 귀꽃을 새겼습니다. 상대석에는 복련과 모서리에 귀꽃을 큼직하게 표현했습니다. 하대석 상단석 상부에는 5단..

서울...석조비로자나불좌상(간송미술관)

1975년 서울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된 고려시대 석불로 전합니다. 본래 봉안되었던 곳은 전하지 않습니다. 불신에 비해 불두가 다소 큰 느낌입니다. 나발, 육계가 큼직합니다. 발제선이 분명하고 이마가 좁은 느낌이며 상호는 희미하지만 입가에 미소가 보입니다. 삼도를 표현하였고, 통견의 법의, 옷주름이 촘촘합니다. 지권인 수인, 길상좌입니다. 대좌 서로 맞지 않아 본래 부재가 아닌 것 같습니다. 방형 중대석 각면마다 테두리를 내고 불상을 새겼습니다. 연화좌, 두광, 신광을 갖추었습니다. 석가여래 약사여래로 알았는데. 지장보살? 지물은 금륜일까요? 사방불에 지장보살이 자리한 작례가 또 있는지요? 아미타여래 비로자나불? 오래전에 뵈었지만 머리는 하얀 상태이었으며, 방형 중대석의 지장보살이 오래 기억될 것 같습니다..

서울...간송미술관 석탑부재

석불좌상 기단부에 석탑부재로 추정되는 사천왕상이 새겨진 부재가 있습니다. 주지 스님도 모르는 사천왕상 ... 1. 칼을 든 동방 지국천(남방 증장천) 2. 삼지창(?), 탑을 든 서방 광목천(북방 다문천) 3. 3층 석탑 옆에 광배와 대좌를 갖춘 석불이 새겨진 3매 부재가 있습니다. 분명 모두 촬영했는데 1장은 보이지 않습니다. 연꽃 줄기를 표현하였습니다, 이런 사례는 갓바위 부처 지근의 경산 원효암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경산 원효암 마애여래좌상 4. 석탑부재로 추정 3층 석탑 옆, 광배와 대좌를 갖추었습니다. 석조비로자나불좌상 5. 비로자나불좌상 중대석과 하대석 두광, 신광, 육계가 높고 뾰족합니다, 삼도를 새겼고, 우견편단, 연화대좌는 연접형처럼 보입니다. 아래 부재도 탱주, 우주를 모각한 탑신석 ..

서울...간송미술관 오층석탑

오층석탑 최소 3기 이상 석탑 부재의 조합입니다. 기단 중석 이하는 수풀에 덥혀 있으나, 걷어내지 않았습니다. 기단 갑석은 물매가 없으며, 부연은 생략되었고, 1단 탑신굄이 있습니다. 기단 중석처럼 보이는 부재에는 사방불을 새겼으나 갑석과 균형이 맞지 않으며, 오히려 초층 탑신석 부재 같습니다. 각각 불상에는 연화대좌와 두광과 신광을 새겼습니다. 초층 탑신석 문비 액자처럼 구획 후 이중으로 문비를 새기고 자물쇠를 걸었습니다. 1~3층 옥개석 낙수면 물매는 급하지만 각각 다른 부재 같습니다. 초층 옥개석은 3단 층급, 넓은 절수구 2층 옥개석은 2단 층급, 음각 추녀, 절수구 생략 3층 탑신석은 1단 층급, 절수구 생략 전각의 반전도 각각 다릅니다. 4~5층 옥개석 각각 다른 부재 느낌입니다 2층 옥개석,..

서울...간송미술관 삼층석탑

간송박물관 삼층석탑 예전에 보았지만 기억나지 않았습니다 최소 2기의 탑부재 조합으로 느꼈습니다. 2중 기단의 상륜부를 갖춘 석탑입니다. 조성시기는 의미가 있는지. 하층 기단 갑석(?) 이하는 망실된 상태입니다. 갑석 상부에는 굄이 있습니다 상층기단 중석 탱주와 우주를 거의 선각에 가깝게 모각했습니다. 갑석 하부에는 깊고 낮게 부연을 새겼습니다 상층기단 갑석 약간의 물매가 있고, 각형 3단 굄을 느슨하게 두었습니다 탑신부 동일부재는 아닌 것 같습니다. 전층 탑신석에는 우주를 모각하였고, 옥개석 낙수면 물매는 급격합니다. 전층 4단 옥개석 층급받침, 절수구 표현 2층 옥개석은 다른 석탑 부재 같습니다. 안타깝게도 초층 탑신석은 뒤집힌 상태입니다. 층급받침, 절수구 전각 반전은 미미합니다. 상륜부 석탑부재가 ..

서울...삼층석탑(간송미술관)

삼층석탑 1975년 '삼층석탑'으로 서울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 왜 간송미술관 삼층석탑으로 지정되지 않았는지, 지금도 명칭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 중인지 궁금합니다 이 석탑은 전시관 옆에 위치하여, 봄, 가을로 열렸던 간송 미술관 특별전에 들렸던 사람이라면 바로 옆 석조비로자나불좌상과 더불어 이미 인연을 지었을 탑입니다. 삼층석탑 이른바 불대좌형 기단을 갖춘 삼층석탑으로 본래 위치는 전하지 않는 고려시대 작품입니다. 우리나라 불대좌형 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24 지대석 후보 기단부 하대석의 복련과 귀꽃, 2단 중대석 굄 방형 중대석에는 우주 모각 상대석 하부 앙련과, 1단 받침, 상부의 2단 탑신 굄이 있습니다. 마모 때문인지 상대석보다 하대석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