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41

서울...국립중앙박물관 갈항사지 동서삼층석탑

동서삼층석탑. 국보경상북도 김천시 남면 오봉리금오산 서쪽 기슭의 갈항사터에 동서로 세워져 있던 탑으로, 1916년 경복궁으로 반출되었다가 다시 이곳으로 이건 되었습니다.. 갈항사지 여러 번 순례하였으며 가장 최근에는 2024년 11월 동호회원들과 답사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613 김천...갈항사지 석조여래좌상앞선 서너 차례 답사는 혼자이었는데오늘은 동호회 30명이 넘는 회원들과 함께 했습니다.갈항사지는 익히 아실 테고, 사진 몇 장으로 대신합니다.석조여래좌상. 보물등에는 광배홈이 있습니다12977705.tistory.com 갈항사지(출처. 국립중앙박물관)갈항사지 동탑2층 기단, 삼층석탑, 758년에 조성했다는 석탑기가 발견되어 편년 연구에 귀중한 석탑입니다..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

보제존자 사리탑. 보물원주 영천사에 조성했던 보제존자 사리탑으로 1388년(우왕 14)에 조성하였으며, 1915년 경복궁으로 반출 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건 하였습니다. 탑을 옮길 당시에 각 각의 탑에서 사리 장치가 발견되었는데, 그 중 한 탑에서 지석(誌石)이 발견되어  탑을 세우게 된 과정을 알 수 있게 되었다고 합니다. 보제존자 사리탑은 입적한 여주 신륵사와 양주 회암사지, 문경 묘적암에도 남아 있습니다.여주 신륵사(1)https://12977705.tistory.com/8728088여주 신륵사(2)https://12977705.tistory.com/8728089양주 회암사지(1)https://12977705.tistory.com/8723323양주 회암사지(2)https://12977705.tist..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안흥사 오층석탑

안흥사 오층석탑安興寺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경기도 이천 갈산동과 안흥동 경계지역에 위치하였다고 전합니다. 신동국여지승람에는 이천도호부 동서 쪽 4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1757년 여지도서와 1799년 편찬된 범우고에는 이미 폐사되었다고 실려 있습니다.경복궁(출처. 국립중앙박물관)오층석탑은 1916년 경복궁으로 반출되었으며, 2005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겼습니다.이층 기단의 오 층 석탑으로 대부분 부재가 남아 있으며, 나말여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전합니다.지대석하층기단 저석처럼 느껴집니다.하층기단면석 갑석이 1석으로, 면석에는 탱주 1주, 우주 모각, 4 매석으로 결구된 갑석은 평박하며 1 단 각형 중석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 상층기단중석은 감입식 결구, 탱주 1주, 우주 모각, 우주에 면석인 물..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천수사 오층석탑

천수사 오층석탑1916년 원주 천수사에서 반출되어 경복궁을 거쳐 이곳으로 옮겨 왔습니다.반출 전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2 기단으로 추정되지만 하층기단 망실상층기단중석에는 우주 모각, 갑석은 옥개석에 비해 좁고 평박, 하부 부연 각출, 상부  2단 호각 괴임 조출탑신석. 전층 우주 모각, 특별한 장식 없음옥개석낙수면 물매 깊이 않음. 상처마선 전각 반전, 전층 3단 층급받침, 절수구 생략, 1단 각형 탑신석 괴임, 풍탁공 있음상륜부 망실기단부지대석은 후보물탑신부3단 층급받침. 풍탁공원주 천수사지에서 삼층석탑과 함께 반출된 고려시대에 조성된  2층 기단의 오층석탑입니다.하층기단과 상륜부는 망실되었지만, 상승감과 더불어 안정감 있는 석탑이었을 것입니다. 천수사 삼층석탑, 천수사 오층석탑은 비지정 문화유산..

서울...국립중앙박물관 천수사 삼층석탑

천수사 삼층석탑2층기단의 삼층 석탑으로 상륜부는 노반석만 남아 있습니다.1912년.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사리탑과 천수사 삼층석탑(사진. 원주 투데이)일제강점기인 1916(1915년?)년 경복궁으로 반출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있습니다. 영전사로 알려졌지만 영천사 오기로 밝혀졌으며, 천수사 삼층석탑도 영천사에서 이건한 탑으로 전합니다.국립중앙박물관 도판노반 위 보주가 남아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현재 석탑과 차이가 없습니다.지대석여러 점으로 결구하층기단저석, 중석은 1석, 엇물림 결구. 갑석은 2 매석, 물매가 없고 2단 받침 조출상층기단감입식 결구. 우주, 탱주 1주 모각, 부연이 깊고, 상부 2단 굄조출탑신석전층 우주, 1.2층 별석 탑신받침옥개석평박, 상, 하처마선 전각 반전, 4단 층급받침. 절수구 생..

서울...국립중앙박물관 고달사 쌍사자 석등

고달사 쌍사자 석등. 보물경기 여주 고달사지에서 반출되어 1959년 경복궁을 거쳐 이곳으로 옮겨왔습니다. 높이가 거의 3미터(2.43)에 이르며 2000년 발굴 조사에서 옥개석이 추가로 발굴되어 복원하였습니다. 현장 안내문에는 고달사(高達寺)가 우리나라 3대 선원의 하난인 고달원(高達院)으로 명성을 떨치던 고려초기의 작품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주 고달사지는 2019년 마지막으로 답사하였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311 여주...혜목산 고달사지서문재 석탑부재, 박물관 부도 뵈러 가는 길 오랫만에 다시 찾았지만 귀가 시간에 쫒기어 사진 몇 장으로 만족해야 했습니다. "사적 제382호. 전신은 봉황암으로서 764년(경덕왕 23) 창건되었다고12977705.tisto..

서울...국립중앙박물관 홍제동 오층석탑

홍제동 오층석탑. 보물홍제동 사현사지(沙峴寺址)에 있었던 탑으로 경복궁을 거쳐 이곳으로 옮겼습니다.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비문에 의하여 사현사터에 있었던 탑으로 밝혀졌으며, 창건 연대 또한 을유세(乙酉歲)를 고려 정종(靖宗) 11년, 즉 1045년으로 비정할 수 있게 되어 창건 때 조성된 탑으로 추정합니다.기단부 망실(후보)탑신부탑신석 옥개석이 별석 단일 부재초층 탑신석에는 우주, 탱주가 없고 상위 탑신석과 다른 재질로 추정되어 후보물 같습니다.상륜부 망실탑신석전층 탑신 받침과 탑신석이 1석, 방형 받침 하부에 각호각 3단 각호각 층급 각출, 상촉하관 느낌의 탑신석에는 우주 탱주를 모각하고 액자를 마련하였습니다. 옥개석 낙수면 물매는 급하지 않고 얇은 편이며, 상처마선의 반전이 뚜렷합니다. 옥개석 하부 ..

서울..국립중앙박물관 남계원 칠층석탑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동호회 서울 답사, 첫날 마지막 코스는 국립중앙박물관 자유 답사로 진행했습니다.남계원(南溪院) 칠 층 석탑. 국보남계원 절터에서 1915년 경복궁으로 옮겨왔고 2005년 다시 지금의 위치에 세운 이층기단의 칠층석탑입니다.또한 탑 안에서 1283년(고려 충렬왕 9)에 봉안한 것으로 여겨지는 쪽물을 들인 종이에 은물로 글씨를 쓴 금지은니사경(紺紙銀泥寫經) 일곱 축이 발견되었습니다.. 즉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탑입니다.기단부상층기단, 하층기단은 훼손, 망실 등으로 완전한 형태는 아닙니다.하층기단 저석 겸 지대석, 중석, 갑석으로 구성여러 매로 결구된 중석에는 우주, 탱주 1주 모각, 갑석은 물매가 없으며 좌측면은 1개 부연이 있으나, 우측면은 2개 각형 부연을 조출하여 갑석 부재가 아닌 ..

서울...공간 사옥 삼층석탑

공간사옥 삼층석탑예전에는 까치발로 담 너머 바라보았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165 지금은 카페가 성업 중이며 출입이 자유롭지만, 그렇다고 저 의자를 들어내고 싶지는 않았습니다.삼층석탑2층 기단의 삼층석탑으로 본래 위치는 전하지 않으며 1977년 이건 하였다고 합니다.하층기단부, 상층기단 일부가 복원되었고, 탑신부도 보완된 부재가 있었는데 기록하지 않은 탓에 사진으로는 구분되지 않습니다. 나말여초에 조성된 석탑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기단부하층기단저석, 중석이 일석이며 탱주 1주, 우주 모각, 2매의 갑석은 물매가 있으며 각호 2단 굄 조출상층기단탱주 1주, 우주 모각, 4 매석, 엇물림 결구. 갑석 하부 부연이 깊고, 상부에 2단 탑신굄이 있습니다.갑석은 통일신라 ..

서울...창경궁의 향나무

동호회 답사 때 만난나무 몇몇 그루 나무 사진입니다.향나무동궐도에도 그려져 있으며, 19세기 초에 심어진 것으로 추정합니다.답사지에서 만났던 향나무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94 더불어카메라에 잡힌 몇 장면 포스팅합니다.회화나무향나무 옆주목18세기 식재 추정. 2023년 고사백송답사지에서 만난 백송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4주목반송 2025.01.18

서울...창경궁 대온실

대온실(大溫室)1909년(융희 3)에 완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온실로, 철골구조와 목조가 혼합된 구조체를 유리로 둘러싼 서양식 온실이다. 일본 황실 식물원 담당자였던 일본인 후쿠바 하야토가 설계하고, 프랑스 회사가 시공을 담당하였습니다. 일제가 지은 건물은 모두 철거되었지만 대온실만큼은 철재와 목재의 뼈대, 유리창을 설치한 최초의 시설물로서 건축사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철거가 되지 않았지요.창경궁 대온실은 일제가 창덕궁에 계신 순종을 위로한다는 명목으로 동물원과 함께 지은 것입니다. 당시 우리 땅에서는 보기 힘들었던 열대지방의 관상식물을 비롯하여 각종 희귀 식물을 전시하였습니다. 1986년 창경궁 복원 이후에는 국내 자생 식물을 전시하고 있으며, 2004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습니다.(창경궁 홈. ..

서울...창경궁 풍기대.관천대

관천대에서 바라본 창경궁풍기대. 국가지정 보물https://12977705.tistory.com/8725258 2016년에는 놓쳤던...전체가 1석으로 조성한 것 같습니다.운족형(상다리) 기단부불로초인 영지버섯을 새겼습니다.덩굴문. 구름문풍기대. 앙부일구 풍기대는 1770년(영조 46)에 측우기와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며, 원래 창덕궁 통제문 안에 설치되었던 것을 일제강점기 때 이곳으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합니다. 관천대https://12977705.tistory.com/8725259 서울...창경궁 관천대관천대觀天臺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 천문기구인 소간의小簡儀를 놓았던 대臺 상부에 돌난간이 둘려 있고, 돌계단으로 올라가게 되어 있는데, 대의 한가운데에는 다시 돌대가 놓여있어 그 위12977705.t..

서울...창경궁 오층석탑

2013년 이후 다시 찾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167옛글에 창경궁 조성용이라고 기술했었는데, 본래 위치는 자료가 전하지 않습니다.다만 일제강점기 시절 창경궁에 이왕가박물관을 만들면서 이전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이층기단지대석하층기단저석 상부 1단 각형 굄, 중석의 탱주 우주 안상 2기, 면석 상부 횡선의 돋을대는 무엇인지. 갑석의 높은 내림마루, 상부 2단 각혈형 받침 조출상층기단중석의 큰 안상, 우주, 하부 깊은 부연, 낙수면 물매, 높은 내림마루, 상부 각호 2단 탑신 굄탑신부4층 이상 탑신부와  상륜부는 후보전층 탑신석 우주 모각, 전층 옥개석 3단 층급, 절수구, 2단 각형 탑신 괴임, 상하처마 반전, 높은 내림마루초층탑신석 남면 여래좌상소발, 육계..

서울...창경궁 전각

창경궁1418년(세종 즉위) 세종이 상왕 태종을 위해 창건한 수강궁(壽康宮)이 있던 자리이다. 이후 1483년(성종 14) 성종이 세 명의 대비(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를 위해 수강궁을 크게 확장하고 궁의 이름을 창경궁이라 하였다. 창경궁은 창덕궁과 경계 없이 동궐(東闕)이라는 하나의 궁궐 영역이었으며 주로 왕실 가족들의 생활 공간으로 사용하였다. 창경궁은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것을 1616년(광해군 8) 중건하였으며, 1830년(순조 30) 대화재로 대부분의 건물들이 소실되었다가 4년 뒤에 중건하였다.그러나 1907년 순종이 황위에 오른 후 창경궁 내에 동물원과 식물원을 조성하면서 궁궐로서의 모습을 잃기 시작하였다. 1911년에는 일제에..

서울...창경궁 성종 태실비

성종 태실비(成宗 胎室碑)일제강점기인 1928년 이후 전국에 있던 태실을 서삼릉으로 옮겼고, 이 과정에서 경기도 광주시 태전동(胎田洞)의 태봉산 정상에 있었던  성종(1469~1494)의 태실 석물과 비석을 이곳에 옮겨놓았습니다. 그런 배경과 관련된 우리 카페 회원인 이순우 님의 오마이뉴스 기사를 가져왔습니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00435312013년 포스팅https://12977705.tistory.com/8725257태비처음에는 아기비를 세우고 왕으로 즉위하면 가봉태비를 세웁니다.가봉비(加封碑)는 귀롱대석(龜籠臺石). 비신. 이수로 구성됩니다.전면성종대왕태실 (成宗大王胎室) 후면성화 7년 윤 9월 일립(成化七年閏九月 日 立, 1471년, ..

서울...창경궁 팔각칠층석탑

창경궁 춘당지와 석탑동호회 2025년 첫 정기답사,  창경궁을 오랜만에 다시 들렸습니다.팔각칠층탑. 보물창경궁 춘당지 북서쪽에 있는 팔각칠층석탑입니다.우리나라에 있는 유일한 중국 명나라 석탑으로 1911년 일제강점기 초에 일본사람들이 창경궁에 ‘李王家博物館’을 만들면서 세운 석탑으로 전합니다.기단부방형지대석, 팔각기단부는 저석, 중석, 갑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단저석팔각 저석 하단석에는 운족(雲足)을 새기고, 상단석에는 목조 난간의 궁창 모습의 안상을 새겼습니다.기단중석복련을 새긴 호형 중석 받침, 팔각 중대석은 죽절문 기둥으로 구획하고 안상과 화문으로 조식했습니다.기단갑석중석 받침과 대칭 형의 앙련 받침을 새기고 팔각 갑석을 올렸습니다. 갑석 각 면에는 안상을 마련했습니다.탑신부1~6층의 옥개석과..

경산...경산시립박물관 소월리 展

실내전시장 동자상을 확인 후마침 전시 중인 소월리 특별전을 관람했습니다. 다른 문화유산도 마찬가지지만 토기와는 별로 친하지 않아 사진 몇 장 올립니다. 그래도얼굴형 토기 앞에서는 한참 머물렀습니다.청동거울. 경산 대학리. 고려철제가위. 경산 대학리. 고려은제동곶(串). 경산 대학리. 고려현장 설명문에는 '동곳'이라고 표기 개원통보. 경우원보. 경산 대학리. 고려상평통보. 경산 소월리. 조선청동합. 경산 대학리.(고려. 조선)청동접시. 경산 대학리/경산 소월리. 조선청동 수저. 경산대학리. 고려청동 사발. 경산 대학리. 조선청동접시. 경산 소월리. 조선벼루. 경산대학리(1,2). 경산 서하리. 조선백자 명기(明器). 경산소월리. 조선경산 소월리경산 소월리경산 소월리시루. 소월리 76호 구덩이. 삼국시대자귀..

경산...경산시립박물관 동자석 外

경산시립박물관 야외전시장그간 여러 차례 답사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6793 오늘은며칠 전 동호회 하늘사랑 님이 포스팅한 석조 동자상 때문에 들렸습니다. 동자상 맞는지.동자상오히려 벅수처럼 느껴집니다.아니면민불 같습니다.동자상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반전. 대반전!등뒤로 길게 땋은 댕기머리 동자상 맞습니다.경산 임당동에서 발견된 조선시대 상이라고 합니다.측면실내관심 있는 불교문화유산을 찾았습니다.시무외인, 여원인 수인의 금동여래입상만 진품입니다.꼭두. 조선시대사람얼굴 무늬 수막새. 고려경산 양지리 고려시대 기와 가마에서 출토  경산의 미소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화조도. 일제강점기(?)8폭 병풍산수도. 조선시대2025.01.11

경주...국립경주박물관 야외전시장 석조부재

경박 야외전시장노루꼬리만큼 짧은 하루가 지칠 무렵의 몇몇 장면장항리사지. 낭산분황사분황사탯자리는 어디인지. 수많은 전시물 가운데 어떤 석조물의 부재인지 궁금 궁금한..어떤 부재?승탑일까요?불국사 사리탑처럼...불국사 사리탑경주읍성에서 출토된 8~9세기의 나한상으로 추정되는 부재라고 합니다.방형 돌기둥은 어떤 석조물의 부재인지.상부에 연화문?배례석을 다른 용도로 사용했는지.이 부재는 석탑 옥개석으로 확인되었나요?천관 사지 석탑 옥개석은 아니고?천관사지 삼층석탑(복원) 맏형은 자리만 지키고 있어도 듬직하고고선사지승소곡 삼층석탑2014년 1월 17일 동호회 하늘사랑님 사진출입금지보다는 작은 탐방로를 개설하면 승소곡 삼층석탑 기단부의 큼직한 안상도, 초층 탑신석의 사천왕도 가까운 벗이 될 텐데.그냥음력 섣달 초..

경주...국립경주박물관 신라관 금동.청동불

신라관 석조불.보살상(2019년)https://12977705.tistory.com/8726374 금동불 사진 몇 장 올립니다.금동여래입상. 금동보살입상. 통일신라 8세기금동여래입상.통일신라수정과비취탄생불입상.신라 7세기금동반가사유상. 신라.7세기금동반가사유상. 신라. 7세기금동탄생불.신라 7세기금동보살입상.신라. 7세기금동보살입상.신라 7세기금동보살입상.통일신라 8세기금동보살입상.통일신라 8세기금동여래입상.신라 7세기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8세기금동여래입상. 통일신라 8세기금동비로자나불입상.통일신라 9세기금동약사여래입상. 통일신라 8세기금동여래입상.통일신라 9세기금동여래입상.통일신라 9세기금동비로자나불입상.통일신라 9세기금동여래입상.통일신라 9세기소조불상조각(발). 통일신라 7세기(능지탑 터). 청동 ..

대구...국립대구박물관 향의 문화사 특별전(3)

백제금동대향로부여에서 두어 번12월 20일 국립대구박물관,  12월 27일 김규동 관장 특강 참석하면서 다시 만났습니다. 사진  몇 장과 함께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글과 휴암 스님 글 링크하였습니다.백제 금동대향로 " 백제 나성과 능산리 무덤들 사이 절터 서쪽의 한 구덩이에서 450여 점의 유물과 함께 발견된 백제의 향로이다. 높이 64㎝, 무게 11.8㎏이나 되는 대형 향로로, 크게 몸체와 뚜껑으로 구분되며 위에 부착한 봉황과 받침대를 포함하면 4 부분으로 구성된다.뚜껑에는 23개의 산들이 4∼5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풍경을 보여주고 있다. 피리와 소비파, 현금, 북들을 연주하는 5인의 악사와 각종 무인상, 기마수렵상 등 16인의 인물상과 봉황, 용을 비롯한 상상의 날짐승, 호랑이, 사슴 등 39마리의..

대구...국립대구박물관 향의 문화사 특별전(2)

(1편)에 이어 사진 자료입니다.12월 17일 약속 시간 때문에 모두 둘러보지 못하고 아래 포스팅한 사진은 12월 27일 관람하였습니다.매향비가 발견된 지역지도에 표기 안된 지역 포함 모든 곳 답사했습니다.https://cafe.daum.net/moonhawje/MebK/54청자 기린장식 향로. 고려청동 사자장식 향로. 고려청동 정형 향로. 고려매향목. 고려청백자 향꽃이. 중국 원청동박산향로. 청백자 정형 향로원나라청동 사자모양 향로. 원나라병향로금동 향로. 통일신라금동 자물쇠. 통일신라금동 풍탁. 통일신라쇠솥. 금강사가 새겨진 광명대고려청동 향완. 남만 오천이 새겨진 청동 향완고려청동 대좌. 청동 경상(鏡像)고려송림사 출토. 1342청동 은입사 향완. 고려청동 금은입사 향완. 고려청동 수각 향로. 고려..

대구...국립대구박물관 향의 문화사 특별전(1)

향공양 돌기둥. 통일신라경주 석장동 금장대 출토박산향로를 새긴 불상 연화대좌 탁본. 중국 북주 573년청동 박산향로. 평양 출토.낙랑청동 두형(豆形) 향로. 중국녹유 박산 향로. 중국 후한비천 무늬 암막새. 통일신라경주 출토나한도나한도오백나한도 147 혜군고존자. 보물. 고려.1236년향완을 옆에 두고 있다.나한도오백나한도 제427원원만존자. 보물 1236년오른손에 병향로를 들고 있다.백단향. 원산지 인도사향.개구 약령시 한의약박물관용연향(龍涎香)향유고래 소화기간에서 추출화산 침향목팥꽃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에서 만들어진 수지덩어리. 아열대지방이 원산지청자상감 모란동자무늬 합과 향조각. 고려.보물칠곡송림사 오층전탑 출토 사리장엄구청동사리합. 향낭. 고려안성 장명사 오층석탑 출토 사리기토제향로. 고려 / 토제..

부산...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야외전시장

석당박물관 야외전시장 문화유산은 여러 번 포스팅하였습니다.가장 최근의 글, 사진으로 대신하며 사진 몇 장 올립니다. 상하기단갑석 연화문 조식 석탑재(2018년)https://12977705.tistory.com/8725692 석탑, 승탑(2014년)https://12977705.tistory.com/8724270승탑군 부산지역 승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21김해 감로리사지 석탑승탑감로사지 승탑. 귀부합천 상천리사지 삼층석탑아미동 오층석탑동성로 오층석탑 2024.12.17

부산...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실내전시장

동아대학교 박물관실외전시장은 자주 답사하였지만, 실내는 오랜만에 다시 관람했습니다.전시된 많은 문화유산 중에 관심 있는 몇몇 점입니다.태화(太和) 13년 명 석조불상. 469년기단 중석의 향로. 공양상(?). 사자. 뒷면에는 명문 135자중국 산시성 원강석굴의 태화13년감 내용과 거의 비슷하다고 합니다.목조보살좌상. 부산 유형문화유산. 조선후기(17세기)중품하생 수인, 불신에 비해 불두가 크고, 보관 중앙의 수정으로 된 장식이 눈에 들어옵니다.상주 상안사지 출토 석조여래좌상. 고려불두 훼손, 수인을 감춘 모습상안사지에는 현재 용화사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5951목조동자상. 조선 후기목조나한상. 조선 후기원력으로 호랑이를 굴복시키는 복호(伏虎) 나한..

부산...부산대학교 박물관 실내전시장

여름에는 공사 중이었는데 재개관(2024.10.28) 하였습니다.재개관 특별전명품 수장고를 나서다 展금동십일면관음보살좌상. 부산 유형문화유산우리에게 익숙한 문화유산입니다.조성시기가 누락되었습니다.홈페이지에는 고려 중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의흥. 순창. 경산양산. 동래. 김해. 경주내섬(內蟾)왕실 내 관사?9. 내자(內資) 10. 공안부(恭安府) 11. 예빈(禮賓) 12. 선산 장흥 13. 선산 인수아미타래영도. 부산 유형문화유산검은색 바탕. 상호와 불신에만 색을 칠하고 그 외에는 금니(金泥. 금박가루에 아교풀에 갠 것)를 선각으로 표현하였습니다.1813년. 성총(性總)칠성도. 부산 유형문화유산상단치성광여래. 월광. 일광보살. 칠성동자하단 칠원성군. 자미대제... 해운당 익찬대흥사 송광사 선암사 화어사 쌍계..

부산...부산대학교 박물관 야외전시장

부산대박물관작년 여름에 들렸을 때는 공사 중이었는데, 옹색했던 공간에서 벗어나서 넓은 터에 자리 잡았습니다.두어 번 포스팅하여 옛 글을 올립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23https://12977705.tistory.com/8728424 오늘은 동호회 부산 송년회 참석하기 위해 일찍 내려와 잠시 둘러보았습니다.그런데못 보던 부재가 보입니다.갸웃갸웃용도가 뭘까?아랫면입니다. 불현듯 예전에 답사했던 연화문 층급받침 옥개석이 떠올랐습니다.예전 사진예전사진 다시 살펴보니 인연 지었던 옛 부재가 뒤집혀 있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425 제 사진의  연화문이 잘 보이지 않아 동호회 시나브로 님 사진을 가져왔습니다.분명해 보입니다.석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