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창경궁 팔각칠층석탑

임병기(선과) 2025. 2. 4. 08:48
300x250
300x250

 

창경궁 춘당지와 석탑

동호회 2025년 첫 정기답사,  창경궁을 오랜만에 다시 들렸습니다.

팔각칠층탑. 보물

창경궁 춘당지 북서쪽에 있는 팔각칠층석탑입니다.

우리나라에 있는 유일한 중국 명나라 석탑으로 1911년 일제강점기 초에 일본사람들이 창경궁에 ‘李王家博物館’을 만들면서 세운 석탑으로 전합니다.

기단부

방형지대석, 팔각기단부는 저석, 중석, 갑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단저석

팔각 저석 하단석에는 운족(雲足)을 새기고, 상단석에는 목조 난간의 궁창 모습의 안상을 새겼습니다.

기단중석

복련을 새긴 호형 중석 받침, 팔각 중대석은 죽절문 기둥으로 구획하고 안상과 화문으로 조식했습니다.

기단갑석

중석 받침과 대칭 형의 앙련 받침을 새기고 팔각 갑석을 올렸습니다. 갑석 각 면에는 안상을 마련했습니다.

탑신부

1~6층의 옥개석과 탑신석은 각각 1매, 7층은 옥개석과 탑신석이 1석, 팔각입니다.

상륜부. 노반석과 보주가 일석이며 후보 한 것 같습니다.

3단 탑신 괴임

복련을 새긴 1단, 화문이 없는 2단, 앙련으로 장식한 3단

 

초층탑신석

항아리 모양으로 4단(?), 옥개석 아래 둥근 단일 부재는 층급받침 같습니다.

초층탑신석 명문

‘遼陽重, 開山都, 綱挻玉, 巖壽塔’, ‘大明成化六年庚寅歲秋七月上澣吉日造’

요양중,개산도,강연옥,암수탑, 대명성화육년경인세추칠월 상한길일 조

 

앞 문장은 탑 본래 장소를 의미하는 것 같으며, 성화육년은 1470년입니다.

옥개석

낙수면 기왓골, 하단에는 음각 추녀를 새겼습니다.

옥개석 처마 끝에는 막새기와까지 새겼습니다.

층급받침은 1단입니다.

탑신부 리뷰

얼핏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의 상륜부

함양 지리산 삼불사에 있는 국내 유일의 옥개석에 기왓골을 새긴 현대에 조성한 석탑이 생각납니다.

마곡사 오층석탑 

함양 삼불사 삼층석탑 옥개석 기왓골

팔각칠층석탑은국가지정 보물로 우리나라에 유일한 중국 명나라 때인 1470년에 세운 석탑입니다

석탑에는 다양한 문양과 운족, 궁창 모습의 안상을 비롯 여러 형태의 안상, 화문을 새긴 기단 구성과 항아리 모양의 초층탑신석, 팔각 옥개석의 기왓골, 막새 기와 등을 새긴 석탑입니다.

참고로 현장 설명을 해 준 우리 동호회원이며 인도 불탑을 집필한 송봉주 박사는 인도 간다라 스투파의 영향을 받은 원나라 라마탑을 이은 명나라에서 조성한 탑으로 말씀하였습니다.

2025.01.18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