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부안 석불산 두방 묘역에 고려시대에 조성된 문석인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지만 이제야 인연 지었습니다.
묘역은 고희 장군을 배향하는 효충사 홍살문 향 좌측으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가면 금방 닿을 수 있습니다. 묘역 위에는 두방과 부인 남평문씨 합분. 아래에는 손자인 병마절제사 두영의 묘가 있습니다.
두방 묘역
만경(萬頃)을 본관(本貫)으로 하는 두릉두씨5세조이다. 관직은 정2품재상인 중서문하시랑(中書門下侍郞)평장사(平章事)이다. 아들은 고려 명종조에 삼한후벽상공신에 제수되고,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두경승이다. 배(配)는 정부인(貞夫人) 남평문씨(南平文氏)이다.
묘비
한 때 묘역과 문석인이 훼손되었으며 후에 발굴하여 제자리를 잡았다고 합니다. 그러한 사연의 진위는 확인하지 않았으며, 위 본문 내용과 아래 글은 위키백과에서 옮겨 온 자료입니다.
" 두 방 [ 杜 邦 ]은 1110년 경인(庚寅) 보문각 진사(寶文閣進士)을 역임하였고, 고려 예종(睿宗)17년 정2품 재상인 중서문하시랑(中書門下侍郞)평장사(平章事)을 지냈다. 별세로 인하여 고려 조정에서 국내 4위산지(局內四圍山地) 석불산을 사패(賜牌) 평장관각으로 예장하였으나 이조 선조조 임진왜란 공신 고희에게 사패로 매몰되어 1615년경-1775년경까지 160여 년 동안 년례형사(年例亨祀) 못하고 망배(望拜) 하다가 1780년 두시화공 등이 매몰된 석물(3점) 등을 발굴하고 이장하였고 185년 후 1965년 炳根 熙宣 俊昌 承澤 炳辰 洪錫 玉均 日均 등 임원과 鎭烈공이 재각건립 취지서 작성 통보하여 성금으로 고희사당을 매입하여 재각(遠感齋)를 建立하고 宗畓을 마련했다. 그러나 후손들이 묘지를 빼앗긴 이유를 몰라 2018년 8월 鎭天공이 史學者 대동하여 조사하여 보니 고려 때 사패한 묘를 이조조 임진왜란 공신 고희에게 사패[高犧 杜思順 杜廷蘭 配 모두 坡平尹氏 사돈간] 고희 후손들이 매몰하여 묘 발굴 때 고씨 측에서 고소하여 시화공 진필공 기무공 등 40명이 현감 소환에 응한 문서를 고희 기념관에서 2019년 후손들이 찾아냈다. "
나는 흔치 않은 고려 문석인을 뵈러 찾아왔으며, 위 글은 참조로 등재하였습니다..
문석인(우)
우리에게 익숙한 문석인과는 사무 거리가 있습니다.
마치 벅수 느낌이 들며, 하반신이 땅에 묻혀 크기는 알 수 없지만 얼굴이 매우 큽니다.
지물은 무엇인지
홀?
문석인(좌)
![]() |
![]() |
두방 묘(뒤)
두릉군 휘 경영 지단
두방 묘 뒤편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두방은 송(宋)나라에서 병부상서를 지낸 두경령(杜慶寧)은 5세손입니다. 두경령은 두릉 두씨 시조입니다.
"두릉杜陵은 중국 장안(산서성)에 있는 지명으로 당나라 시성 두보杜甫 선조들이 살았던 곳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두릉두씨(杜陵杜氏)의 시조 두경령(杜慶寜)은 북송 병부상서를 지냈는데 왕위 계승문제로 미움을 사 소주자사로 좌천됐으며, 임지로 가던 중 풍랑으로 1004년(목종) 궁지도(고군산 열도)에 표착했다. 고려 조정에서는 궁지도를 식읍으로 하사하고 두릉군으로 봉했다."(조봉오 기자.부안 인터넷신문. 2022.01.13)
두영 묘
두영 묘비
평장사 두방(두릉 두씨 5세손)의 손자
고려 병마절제사 두영(7세손). 아버지 고려 문하시중 두경승(6세손) 장군 묘는 영종도에 있다고 합니다.
문석인(우)
두방 묘역과 대동소이합니다.
문석인(좌)
![]() |
![]() |
두영 묘(뒤)
고려 시대로 추정되는 묘 앞 문석인은 아주 귀한 사례입니다.
희귀성뿐만 아니라 유교 체제 하의 묘에 배치된 조선시대의 문석인과도 차이가 많이 납니다.
강화도에 있는 고려 왕릉의 문석인, 왕릉 문석인으로 추정되는 강화 청수암 미륵불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강화 가릉
https://12977705.tistory.com/8726926
강화 홍릉
https://12977705.tistory.com/8726918
청수암 미륵불
https://12977705.tistory.com/8726915
2025.04.27
'전라북도 > 부안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안...동문안 장승 (0) | 2025.07.03 |
---|---|
부안...용화사 석불입상 (0) | 2025.07.01 |
부안...고홍건 신도비. 효충사. 반송. (3) | 2025.06.29 |
부안...쌍조석간雙鳥石竿 (0) | 2025.06.29 |
부안...개암사 탑신석, 수조 명문 (0) | 2021.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