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안성시

안성...서운산 청룡사

임병기(선과) 2024. 8. 3. 22:50
300x250
300x250

칠장사

올봄에도 은적암지 승탑 한 기를 답사하며 스쳐지나왔지만, 마지막 답사는 마지막 답사는 2018년이었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5961

2018년 보수 공사 중이었는데 불사가 완료된 대웅전과 중정

고풍스러운 맛은 사라지고 낯설고 따뜻한 느낌도 없었습니다.

소조석가여래삼존

만력 31년(1603). 금어 광원(廣圓) 외

대웅전 후불도를 비롯 대부분 불화는 모사본이며, 원본은 유물전시관(?)에 보관 중입니다.

유물전시관은 관람을 요청하였으나 개방하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동종

1674년에 제적된 사인 비구 작품입니다.

복제?

 

사인 비구 제작 동종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37

명부전

목조지장보살 외. 조선 후기

불화는 모사본

삼층석탑

하층기단 갑석 이하 매몰, 상륜부 망실

고려전기에 조성된 석탑으로 전합니다

기단부

기단갑석 오목 부연

안성지방 대부분 석탑에서 볼 수 있습니다.

상하기단 갑석의 3단 각호각 굄 조출, 상층기단 중석 혼합식 결구, 탱주 1주, 우주 모각하였습니다.

예전에 탑구 옆에 있었던 하층기단 중석을 복원했으면 좋았을 텐데

기단 중석은 묻어 버렸는지.

2018년 사진

하층기단 중석이 있었습니다.

탑신부

탑신석 우주 모각. 2,3층 탑신석의 급격한 체감

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며, 전층 4단 층급받침, 1단 탑신 굄이 조출되어 있습니다.

상륜부 망실

3층 옥개석에 찰주공이 있습니다.

괘불지주

청동관음보살좌상

14세기 고려시대 작품으로 추정합니다.

유물전시관 개방이 시급해 보입니다

몇몇 유명 사찰 전철을 밟지 않을는지.

 

2024.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