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덕동 삼층석탑 마지막으로 들린 지가 언제인지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 특히 사진이 없다는 것은 2005년 이전일 것이다. 옛기억과 달리 마을에서 추원재追遠齋로 들어가는 진입로가 넓어졌으며, 재실 앞쪽에 두서너대 승용차 주차가 가능하다.
관덕리사지 관덕리사지는 사운사지獅雲寺址라고 전해지고 있으나 기록이 확인되지 않는다. 일제강점기의 조사자료에 의하면 삼층석탑과 불상이 있고, 주변에 기와편과 막새편이 산재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사지 내에 있는 삼층석탑은 1931년 불법으로 매각되어 반출될 위기에 있었는데 이때 발견된 약40㎠의 황색견포에 문자가 적혀있다고 하나 어떤 내용인지는 전하지 않는다.한편 삼층석탑은 일제강점기에 ‘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 지정 요청의 건’으로 인해 조사되었고, 조사 이후 석탑과 상층기단갑석 위에 올려져 있었던 4구의 석사자가 보물로 일괄지정되었다. 이후 1940년 경에는 사자 2구를 도난당했다고 한다.현재 2구는 대구박물관에 있다.
석탑앞 배례석 정,후면 3개, 측면 2개 안상이 새겨져 있다.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에 의하면 석탑과 불상의 제작년대를 비정할 단서가 되는 광계光啓라는 명문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2009년 조사시에는 이 석재에서 “光啓四年歲次申 ◯◯◯成白乎文 ◯心檀越 ◯◯ 白士◯◯◯ ◯◯◯”라는 명문이 확인되었는데, 여기서 “光啓”는 당 희종의 말년 연호이며 885년부터888년까지 사용하였다고 한다. 조사자는 이 연대를 석탑제작시기와 유사한 것으로 보아 석탑과 관련있는 석재로추정하였다. 또한 이 석재의 원위치는 석탑 뒤쪽이고, 정비사업 때 석탑 앞쪽으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언급했다."
관덕동 삼층석탑
하층기단 저석,중석,갑석으로 구성되었고, 중석에는 양우주와 1주의 탱주가 있으며, 각 면에는 2구 비천상이 새겨져 있다. 갑석은 4매로 구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각호형 2단 받침이 있다.
상층기단 엇물림으로 결구된 중석은 양우주와 탱주 1주를 모각하였고, 각 면에 사천왕상,범천,제석천상 그리고 신장(?)상을 조각하였다. 갑석은 1단의 부연과각호형의 2단 탑신괴임이 있다. 모서리에는 석사자상을 새로 조성해 놓았다. 갑석 모서리와 각 처마에는 장식구를 치장하였던 홈이 남아 있다.
탑신 전층 탑신에 양우주를 모각하였고, 초층 탑신의 각 면에 보살입상(?)을 새겼다.
옥개석 낙수면 물매는 급하며, 전각의 반전이 뚜렷하다. 절수구가 있고, 위로부터 3.4.4.층급받침을 새겼으며, 상부에는 2단 층급 괴임이 있다. 처마에는 장식공이 남아 있다.
상륜 노반이 남아 있다.
남면 북방 다문천.000 비천(?)
비천상
서면 사천왕.금강저를 들고 있는 제석천 비천(?)
동면 사천왕.불자를 든 범천 비천(?)
북면 사천왕.000 비천(?)
석사자.후보물
장식공
장식공
남면
서면
북면
동면
탑신.옥개석
옥개석 처마에 장식공이 남아 있다.
석조보살좌상
석조보살좌상 광배와 대좌는 결실되었다.
불두는 도난당했던 것을 1992년 회수하였다고 한다. 상호는 심하게 훼손되었고, 귀는 작으며, 삼도가 보인다.
상우견편단의 법의, 상반신에 낙액珞腋을 착용하였다. 가슴 윗부분과 허리부분에 영락을 둘렀고, 양 팔과 팔목에는 완천腕釧과 팔찌를 차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까지 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무릎 위에 얹고 있다. 등에는 광배 꽂이 홈이 있다.
석탑과 동시대에 조성된 상으로 가정하면 9세기 후반 작품으로 추정된다.
상호
영락장식
낙액.완천.팔찌.영락장식
2018.10.09 |
'경상북도 > 의성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성...탑리리 오층석탑 (0) | 2018.10.23 |
---|---|
의성...불출산 주월사 (0) | 2018.10.23 |
의성...등운산 고운사 (0) | 2018.10.22 |
의성...용요산 지장사 (0) | 2018.10.15 |
의성...쌍호동 삼층석탑 (0) | 2018.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