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포초교에서 출발하여 임도를 오르면 멀리 전망대가 눈에 들어온다. 발산봉수지는 전망대 아래 동해면 발산리와 흥환리와의 경계 지점에 있는 봉우재에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다.
봉우재烽宇재일까?
봉수대터. 돌담장만 지난 날을 지키고 있다.
안내문에 의하면 봉수대의 둘레 409 미터, 높이 4.5미터로 조선중기에 설치 유지하였으나 고종31년 (1894년) 철폐되었고, 조사결과 담장. 봉돈烽墩, 연대煙臺, 숙소, 우물지 등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발산봉수는 남쪽 뇌성산 정상에 있는 뇌산磊山 봉수대에서 연결되어 북쪽의 대동배大冬背 봉수대를 거쳐 최종적으로 서울 목멱산木覓山:지금의 남산)으로 연결된 루트였을 것이다.
조선시대 봉수망은 그 중요성에 따라 5주봉主烽(직선 봉수) 24간봉間烽(내지 봉수)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정확히 찾아보지는 않았지만 발산봉수는 제 2로의 내지 봉수대로 추정된다.
제 1로 : 함경도 경흥 → 강원도 → 경기도 → 양주 아차산봉수 제 2로 : 동래 다대포 → 경상도 → 충청도 → 경기도 → 성남 천림산 봉수 제 3로 : 평안도 강계 → 황해도 → 경기도 → 서울 무악 동봉수 제 4로 : 평안도 의주 → 황해도 → 경기도 → 서울 무악 서봉수 제 5로 : 전남 순천 → 충청도 → 경기도 → 서울 개화산 봉수
최종 봉수는 한양의 목멱산(남산) 봉수대이었다. 제1로, 3로, 4로는 몽고, 여진, 중국 등 북방 민족의 침입을, 제2로, 5로는 일본의 침입을 경계하여 이에 대비한 것이었다.
포항지역의 봉수대는 복길 봉수대(포항시 남구 장기면 두원리), 뇌산 봉수대(장기면 모포리), 대곶 봉수대(구룡포읍 석병리),사지산 봉수대(대보면 강사리),장곡 봉수대(대보면 구만리),발산 봉수대(동해면 발산리),동을배 봉수대(대보면 대동배리).사화랑산 봉수대(동해면 석동리),지을산 봉수대(북구 흥해읍 우목리),오산 봉수대(흥해읍 오도리),월포 봉수대(청하면 월포리),도리현 봉수대(송라면 방석리) 등 12 봉수대가 조사 되었다고 한다.
2016.04.02 |
'경상북도 > 포항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항...비학산 무제등 (0) | 2016.12.19 |
---|---|
구룡포...박바위.주상절리 (0) | 2016.04.27 |
구룡포...장기목장석성 (0) | 2016.04.25 |
구룡포...윷판재 암각화 (0) | 2016.04.22 |
포항...운제산 오어사 (0) | 2015.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