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상남도/거제시

거제...거제현 관아. 질청

by 임병기(선과) 2011. 9. 18.
728x90
728x90

 

 

 

장날인가? 작은 면소재지(?) 좁은 골목에 연세 드신 노인들이 삼삼오오 자리잡고 있다. 오랫만에 만난 이웃 동네 친구들과 시집간 딸 자랑, 아들 자랑 등등 아직도 시골 문화의 교류의 장이 시장인 것이다. 대형 유통센터가 이제는 시골까지 진출하여 영세 상권의 몰락을 초래하는 실정이지만 그보다 더 안타까운 전통 장시에서 면면히 이어져 오던 마을 공동체의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한 것이 아닐가?

 

 

거제면 동상리 546 거제현 관아. 거제현의 관아는 배산구조와 안산, 관아 배치와 진입로 구조가 시각적으로 뚜렷한 축을 형성하여 한양의 광화문-경복궁-백악산의 축과 매우 흡사한 시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동헌이 위치했던 자리에는 면사무소가 들어섰지만 객사이었던 기성관과 외삼문 건너에 부속 건물이었던 질청이 남아 있다.

 

 

기성관 비석림. 임진왜란으로 고현성이 함락되어 1663년(현종4년) 고현에서 거제로 현아를 옮겨 거제부까지 설치된 곳이다.  기성관, 질청, 향교 등 많은 유적 유물이 모두 고현에서 이건하였다. 많은 송덕비가 있었으나 사라지고 흩어져 있던 비석 14기를 현재의 기성관내에 옮겨 비군을 만들었다. 앞쪽의 비석 6기는  철비이다.

 

 

기성관.선조에 거제현에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하여 옥포, 조라, 가배, 영등, 장목, 지세포, 율포 등 7 진(鎭)을 두었다. 성종 원년(1470)에 거제현은 거제부(巨濟府)로 승격 개편되고 문무를 통할하게 하였으며 지리적 요충지인 고현성 에 거제 7현의 통할영으로 기성관을 건립하였다.

 

건립 당시 기성관은 거제부의 행정과 군사를 통괄하는 국가기관의 중 심 건물이었던 셈이다. 임진왜란 중 고현성이 함락되었고 이로 인 하여 현종 4년(1663)에는 폐성하고 사람이 살지 못하게 하였으 며 거제 현아와 기성관은 거제면으로 옮기게 하였다.

 

이후 320 년 동안 기성관은 현 위치에 보존되었으며, 한산도에 삼도수군통제영의 설치로 이 건물은 거제현의 객사(客舍)로 사용되어 왔다. 한일합방 이후 이 건물은 초등학교 교사로 사용되어 오다가 1974년 유형문화재로 지정받아 노후된 건물을 전면 해체하고 1976년에 오늘의 기성관으 로 준공 복원하였다.

 

 

지붕을 분할하여 맞배지붕의 중앙부를 더 높히고 양단부를 낮추어 팔작지붕 으로 처리한 것이다.  이러한 것은 중앙부분을 높게하여 왕의 전패를 모시는 객사의 전형이다.

 

 

기단은 매끈하게 다듬은 장대석 기단이지만 주초는 막돌을 그대로 사용한 덤벙주초여서 기단이 개축이나 이전시에 장식된 것이 아닌가 의심된다. 배흘림 두 리기둥을 세워 주두를 두었으며 주두 위에만 포작을 둔 주심포형식의 건물이다. 기둥 바깥 쪽으로 외목도리를 설치하여 중앙부에서 두 개의 높은 기둥과 7개의 도리를 갖 는 2고주 7량의 구조를 갖추어 장대한 규모의 구조체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 이 건물은 정면 9칸, 측면 3칸의 장대한 규모에 창호나 벽체가 없이 통간으로 된 마루바닥을 갖 추고 있어 대루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기성관은 규모상으로 볼 때 통영의 세병관, 진주의 촉석루, 밀양의 영남루와 더불어 경남의 4대 고건축물로 지칭되어진다고 한다.

 

 천정은 서까래가 노출되고 산자널에 치받이 흙을 발라 마감한 연등천정이다. 궁궐 또는 사찰을 제외하고는 단청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거제 기성관 내부가 절집 이상으로 화려하게 단청을 한 까닭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왕의 전패를 모셨기 때문인가?

 

기성관에서 바라본 거제질청

거제 질청

 

거제동헌()의 부속건물로 관헌들의 집무실로 사용된 건물로 육방을 비롯한 하급 관리들이 사무실이나 서재로 이용했던 건물로 작청(作廳) 또는 연청(椽廳)이라고도 한다.

 

 

문 닫힌 질청은 객에게는 화중지병

 

                                                                              2011.08.01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