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300x250
합천박물관은 옥전고분군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개글은 홈페이지에서 소개한다. 소장품은 앞글 옥전 고분군에서 언급하여 외부 전시장 석조물을 여기서 소개한다. 박물관 뒷편이 옥전고분군이다.
가야시대 다라국의 지배자 묘역으로 알려진 옥전고분군의 유물 중 사료적 가치가 높은 용봉문양고리자루큰칼과 금제귀걸이를 비롯한 각종 장신구, 철기류, 토기류 등 다라국의 역사와 문화를 알 수 있는 유물 350여 점을 상설 전시하고 있으며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실물 크기로 복원한 가야시대 다라국 지배자의 무덤과 다라국 도성(都城)의 미니어쳐 및 다양한 영상 자료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상설 전시실의 다라국 관련자료와 함께 기획전시실에는 신석기, 청동기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합천의 유구한 역사를 알리는 자료를 전시하고 있습니다. 향후 합천박물관은 지속적으로 합천의 문화유산을 수집 보존 연구하면서 아울러 관람객들이 직접 참여하여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그 기능을 다하겠습니다.
옥전고분군 M3에서 출토된 용봉문양환두대도를 형상화 한 듯하다.
출처:합천박물관
문무인석
불상대좌. 적중면 죽고리 삼존석불 본존불의 대좌를 복원하기전에 중대석을 받치고 있던 부재라고 한다.
죽고리 삼본석불
연좌방아
불상 대좌로 여겨지는 부재. 팔면에 안상을 새기고 그 안에 꽃.불상, 향로 등을 그렸다. 출토지와 설명이 아쉬웠다.
용문양?
향로?
불상
향로
석등옥개
복원한 삼층탑. 옥개석과 안상이 새겨진 기단 일부가 본디의 부재로 보였지만 낙수면 기울기가 초층과 상위층의 차이가 심해 확신은 없다.또한 세월의 흔적을 제거한 것으로 보여 오히려 정감이 떨어진다. 옥개 받침은 3단이며 고려시대 탑으로 보였다.
박물관 정원에 전시된 문화재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설명문은 물론이고 출토지 또는 어디서 옮겨온 것인지 등의 이력을 담은 안내문이 있었으면 좋겠다. 눈으로 스쳐가는 행보 보다는 글을 읽고 바라보는 시각은 감정과 다를 뿐 아니라 여운도 오래 갈 것으로 확신한다. 2011.06.05 |
300x250
300x250
'경상남도 > 합천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중촌리 부도전 (0) | 2011.07.12 |
---|---|
합천...압곡리 석불입상 (0) | 2011.07.10 |
합천...옥전 고분군 (0) | 2011.07.08 |
합천...옥전서원 (0) | 2011.07.07 |
[스크랩] 마음은 아득하고...해인사(사진) (0) | 2011.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