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구리 석탑 맞은편에 위치하는 약산당은 장례원(掌隷院) 판결사(判決事) 조광의(趙光義)(1543∼1608) 선생이 학문을 연구하던 곳이라 한다. 영양군청 홈에서 자료를 가져왔다.
선생은 한양 조씨 증참판(贈?判) 조원(趙源)선생의 둘째 아들로서 1543년(中宗 38) 원당리(元塘里)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께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광인(光仁), 광의(光義)형제의 우애는 소문이 날 정도로 독실하였다. 풍모가 엄정하고 국향이 넓고 학식이 일찍이 깨쳐졌었다. 젊을 적에 음사(蔭仕)로 수의부위(修義副慰)를 지나 분순위(奮順位)와 적순위(迪順位)를 거쳐 1582년에 내금위(內禁慰)로 옮기니 옛날 궁내삼처(宮內三處)는 문벌과 재예(才藝)를 봄으로써 피선된 것이다.
1577년(宣祖 10) 청계 김진(淸溪 金璡)과 더불어 영산서당(英山書堂)을 창설할 때에 형제 함께 참가하였다. 1592년(宣祖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나라에 군량이 넉넉지 못함을 걱정하여 자진(自進)해서 다량(多量)의 곡물(穀物)을 보급하였다. 1593년 군자감판관(軍資監判官)을 제수(除授)하더니 통전대부에 오른고 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제수하였다.
잠긴 대문을 스쳐 얕은 담장 너머로 보이는 건물은 관리 소홀로 어지럽지만 고풍스르움도 간직한 건물이다. 조선 인조(300여년전)때 건물로 추정되며 정면3칸, 측면2칸으로 홑처마 팔작지붕 이다.
가운데 칸은 마루방이고 좌․우측은 온돌방인데, 마루방의 정면은 4분합 들어 열개문으로 만들어 필요에 따라 공간이 연속될 수 있도록 하였다. 창호는 복합형문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전면에 둥근 퇴주를 내고 툇마루를 설치하였으며, 정면에 평난간을 내어 측면에서 마루로 오를 수 있는 구조가 이채롭다.
전국 여느 마을처럼 탑이 있어 탑구마을, 탑구동으로 칭해지는 동리의 노송(老松)이 나를 슬프게한다. 예전에는 주민들이 정월 열나흘 날 동제를 올리고 마을의 안녕을 기원했던 당산이었다.
이제는 침엽수의 늘푸른 기운과 활엽수의 철따라 되살아나는 힘찬 기세를 물끄러미 바라볼 여력도 없는 고사목 신세가 되었다. 마치 우리 시골마을의 현주소를 상징하는 듯 하다.
2009.06.13 |
'경상북도 > 영양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서부리 삼층탑. 척화비 (0) | 2009.07.06 |
---|---|
영양...현리 삼층탑.당간지주.모전석탑 (0) | 2009.07.05 |
영양...신구리 삼층탑.석불 (0) | 2009.07.02 |
영양...봉감 모전석탑 (0) | 2009.06.30 |
[스크랩] 영양 / 주실 마을과 조지훈 (0) | 2008.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