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리동 옛님도 예전에 글을 올려 문화재청 자료로 대신한다.
경북 영양군 현일동에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탑신의 1층 몸돌에는 각 면마다 사천왕상(四天王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다. 각 층의 지붕돌 밑면에는 물을 뺄 수 있도록 홈이 파여 있고, 4단의 받침을 두었다. 이 탑은 전체적인 구성이나 조각수법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경에 세워진 것으로 짐작된다.
아래층 기단12지신상(十二支神像)을 한 면에 3구씩 새겼다.
위층 기단은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고, 기둥으로 나누어진 각 면마다 8부중상(八部衆像)을 조각해 두었다.
초층 탑신 사천왕상
초층 탑신 사천왕상
현일동 삼층석탑
현동 당간지주
당간지주의 뿌리 안쪽 면에 붙여서 별도의 돌로 다듬은 간대(竿臺)가 남아있다. 간대는 상면에 원형의 주좌(柱座)를 조각해 두었다.
절 이름(寺名)과 연혁이 전하지 않은 채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幢竿支柱)의 한쪽만이 남아 있다.
멀리 삼층탑이 보인다. 반변천 건너 모전석탑과 동행하는 도반 처럼 보인다. 상처 입고도 오랜 세월을 침묵으로 일관하시는 옜님들을 지켜주지 못하는 우리가 미울 뿐이다. 길을 우회해서 건설했으면 좋으련만...
현이동 모전오층석탑
영양읍 현2리에 서 있는 5층 석탑으로, 돌을 벽돌모양으로 다듬어 쌓아 올렸다. 전탑(塼塔: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모방하였다 하여 모전석탑(模塼石塔)으로 분류되며, 나즈막한 1층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탑신의 1층 몸돌 동쪽면에는 감실(龕室:불상을 모시는 방)을 설치하였고, 그 입구 양 기둥에는 덩굴무늬를 장식하였다. 탑신의 2층까지만 남아 있던 것을 새로이 복원해 놓은 것으로, 꼭대기에는 노반(露盤:머리장식받침),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보주(寶珠:꽃봉오리모양의 장식)가 차례로 얹혀져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탑은 흑회색의 점판암 재질과 둔탁한 겉모습이 어우러져 육중한 느낌을 자아낸다.
탑신의 1층 몸돌 동쪽면에는 감실을 설치하였고, 그 입구 양 기둥에는 덩굴무늬를 장식하였다.
우연히 산신각 문을 열었더니 두마리 호랑이를 거느린 산신이다. 귀한 산신도 아닌가?
반변천 다리 아래에서는 안동 김씨 영양 화수회 행사 진행중이어서 밤새 준비한 쇠고깃국 내음이 배고픈 나를 자극했지만, 역시 젊음은 좋은 가보다. 동행한 님들은 뙤약볕도 아랑곳 않고 다양한 포즈로 사진 찍기에 분주하다. 내게도 저런 시절이 있었던가?
젊음에 기 죽고, 봉감부터 뒤따라 오는 '박사회' 관광버스 답사팀에 힘 빠진다. 가끔 아주 가끔은 사면초가의 답사 환경이 나를 돌아보는 계기가 된다. 아~ 막걸리 한 잔 했으면 좋겠다.
2009.06.13 |
'경상북도 > 영양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양...용화리 삼층탑. 일월 폐광산 (0) | 2009.07.08 |
---|---|
영양...서부리 삼층탑. 척화비 (0) | 2009.07.06 |
영양...약산당 (0) | 2009.07.04 |
영양...신구리 삼층탑.석불 (0) | 2009.07.02 |
영양...봉감 모전석탑 (0) | 200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