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군위군

[스크랩] 군위 / 선방산 지보사...마누라와 둘이서

임병기(선과) 2008. 6. 5. 10:48
300x250
300x250
군위읍내에서 소보면의 법주사로 방향을 잡으려다 어부인에게 자문을 구했더니
돌아올 길은 참배하지 말고 한 방향으로 가자고 하명하신다.
네네네!!! 할 수 없이 예전에 세 가지 보물, 즉 큰 가마솥, 단청물감의 재료인 흙
그리고 맷돌이 있어 선방산 지보사(持寶寺)로 이름 지어진 절집으로 가는 길은
매미의 영향에서 벗어난 탓인지 가을 들판에 풍년가가 울리는 듯하다.


좁은 소로를 따라 산길을 올라가며 차창에 비치는 시각적 즐거움만으로는 만추의
저무는 향을 가슴에 담지 못함이 아쉬운지 마누라는 창문을 열고 농익은 내음을
마음껏 포옹한다.


신라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알려진 가람은 근래에 쌓은 석축마저 싫지
않는 것은 오래된 두 그루의 은행나무의 노란 은행잎이 먼저 눈에 들어온 까닭도
있겠지만 계단을 오르다 말고 돌아 본 주차장 저편의 소박한 석종형 부도, 사람을
억누르기 보다는 감싸 앉는 느낌의 ..루, 아담한 3층 탑과 절집 가장자리에 가득한
꽃들이 마치 여염집 같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일 것이다.


들어낸 것이, 그 자리에 서 있는 것이 부끄러운 듯 마치 첫 선을 보는 그윽한 맵시를
풍기는 한 복을 갖춰 입은 자태의 애기씨 처럼 3층탑은 참배객을 맞이하고 있다.
하지만 가까이 다가서면 한껏 멋을 낸 애기씨의 치맛자락을 보는 느낌으로 다가온다.


즉 하기단을 1탱주로 양분하여 동물상, 상기단의 신중상, 1층 몸돌에는 문비가 새겨져
있으며 옥개석 받침이 4단으로 줄어든 것으로 보아 일견 신라 탑으로도 보이나 1층
탑신의 판석 괴임이 있어 오히려 고려초기의 탑이라 여겨진다.


꽃밭이 조성된 탑지 한켠에 짝이 맞지 않는 맷돌이 뒹굴고 있어 옛 시절의 3대 보물이
아닐까 라고 생각도 들지만 그 맷돌은 이미 물 건너 왜놈 손에 넘겨간 지 언제인데,
오락가락 절집을 소요하고 있는 나를 버려두고 마눌은 대웅전에 들어간 지 오래이다.


마눌의 손짓 따라 대웅전에서 삼배올리고 뜰을 나왔건만 객도 승도 보이지 않는 적막
강산이기에 절집 공양간을 기웃거려본들 무엇하랴!!!
다시 찾고 싶은 가람으로 메모리하면서 산길을 내려오는 도중에 마누라가 급히 소리친다.
“잠깐만! 저기 사과 좀 사가지고 가자”

2003.10.26

출처 : 저 산길 끝에는 옛님의 숨결
글쓴이 : 선과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