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81

강진...월남사지 석탑부재

퍽 낯섭니다.그렇다고 옳고 그름을 판단할 위치에 있지도 않고.답사객이라면 여러 차례 인연 지었을 월남사지 삼층석탑https://12977705.tistory.com/8727061 몇 년 전 삼층석탑 외에도 월남리 마을에 석탑부재가 있었다는 자료를 확인하고 마을을 방문했었으나 인연 짓지 못했습니다.오늘은 먼저 다녀온 송봉주 박사로 부터 정확한 위치를 알고 쉽게 찾았습니다.2012년 사진이때 월남사에서 석탐부재를 보았던 기억이 있습니다.옥개석 2기민가 주인은 월남사지에서 옮겨왔다고 말씀하셨습니다.2012년 내가 보았던 그 석탑부재인지는 불분명합니다.민가에는 석탑부재 외에도 치석 한 석조 유물이 다수 있었으며, 월남사지에서 반출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옥개석(1)방형 찰주공으로 미루어 맨 위층 옥개석으로 추정됩..

영암...두억리 석탑부재

오래전마을입구 고갯마루 정자까지 찾아왔었던 기억이 생생합니다.결국 불과 50여 미터를 앞두고 인연 짓지 못하고 발길 돌렸더군요..한국의 사지에는정자 주초로 활용되었다고 하는데 이렇게 길 옆 논둑에 뒤집인 상태로 방치되어 있었습니다.3단 층급받침상처마선 반전현수곡선이 뚜렷합니다각형 1단 탑신 받침본래 위치는 전하지 않지만,도난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가까운 절집이나 대학 박물관으로 옮겼으면 좋겠습니다. 2025.03.29

진도...해언사 마애보살입상

금골산오층석탑네번째 답사?금골산 오층석탑https://12977705.tistory.com/8727541해언사 석탑부재https://12977705.tistory.com/8724437금골산 마애여래좌상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마애불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438마애여래보살입상해언사 뒤편에 있습니다.가시덤불이 우거져 접근이 곤란하며 사진 촬영 공간도 협소합니다.일견 지장보살상처럼 보이지만 보관을 착용한 것 같습니다.통견?오른손은 아미타 수인이며, 왼손은 길게 널어 떨인 상태입니다.코는 훼손되었지만, 두툼한 입술을 비롯 상호는 양호합니다.보관이 맞을까요?상호를 제외하고 선각이며. 마모가 심해 하반신은 명확하지 않습니다. 마애불을 알려주었으며현재 충남 검오일 사진전을 준..

진도...한산사지 석탑부재

군내면 분토리 한사마을마을회관을 경유하여 찾은 절터. 작은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는 뒤쪽으로 들어갔더니 석탑부재가 있었습니다.한산사지"창건과 폐사에 관한 기록은 전하지 않지만, ‘寒山寺’ 혹은 ‘寒寺’로 전해지고 있다. 한산사에 관련된 문헌기록은 조선 영조대 기록인 沃州誌에 ‘마령 남쪽에 寒山寺가 위치한다.’라고 되어 있다. 한산사는 이 기록에 의해 18세기 경에도 운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한사리사지로 보고되어 있는 한산사지는 마령산 남쪽 구릉에 위치하고 있고, 군내면사무소에서 약 700m 정 도 진입하면 확인할 수 있다. 1987년 조사에서는 석탑 하층기단석, 기단면석, 탑신석, 보주석 1매씩과 옥개석 3매, 삼각형 판석에 조각한 불상이 있었다고 하나, 현재는 하층기단석과 기단면석이 1매씩 확인된다경작지..

해남...대흥사 삼층석탑

대흥사나뿐만 아니라 답사를 즐기는 사람이면 최소 서너 차례는 순례했을 가람입니다.아쉽게도 국내 사찰 중 유일하게 성보박물관 사진 촬영을 금지하고 있지만 빠른 시일 내에 허용하면 좋겠습니다. 2018년? 그 이후도 순례한 것 같은데...https://12977705.tistory.com/8726097대웅보전불단아미타. 석가. 약사원교 이광사유홍준 교수 글을 통해 원교와 추사 글씨에 관한 내용은 익히 아실 테고...완당 김정희해사 김성근삼층석탑오늘은 하나의 특징을 살펴보려 왔습니다.보일 듯 말 듯부연이 깊습니다.보이시나요?우주에 중석이 물려 있습니다.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41탑신부옥개석 상처마선 반전. 각형 2단 탑신 받침. 절수구도 뚜렷합니다.상륜부노반 복발 ..

해남...대흥사 승탑원(2)

대흥사 승탑원(1)에 이어 사진 올립니다.주인공은?취운당탑 翠雲堂塔경허당탑 鏡虛堂塔. 1927년불기 2954년원응탑 圓應塔.1929년불기 2956년포룡당탑 褒龍堂塔. 1826년불기 2853년?범해당탑 梵海堂塔청우당탑 聽雨堂塔 영송탑 靈松塔완호화상응진탑 玩虎和尙應眞塔. 1828년완호대사탑비 玩虎大師塔碑동방제십오조연파대사비 東方第十五祖蓮坡大師碑. 1855년의암당탑 義庵堂塔초의탑 艸衣塔. 1871년백련당탑 白蓮堂塔응성당탑 應星堂塔. 1799년진봉당탑 珍峯堂塔현해탑 懸海塔영곡당탑 靈谷堂塔연해당탑 燕海堂塔만화당탑 萬化堂塔지월당탑 智月堂塔벽해당탑 碧海堂塔정암당탑 靜岩堂塔백화당탑 白華堂塔중봉당탑 中峰堂塔무송당탑 撫松堂塔구암당탑 龜岩堂塔정월당탑 定月堂塔양악탑 羊岳塔. 1841년유심히 살폈지만그래도 놓친 승탑이 있습니다..

해남...대흥사 승탑원(1)

대흥사 승탑원2002년?박필우. 김성후랑 자유롭게 들어갔다가, 혼 줄난적이 있었습니다.그러하니 최소 20년 만에 이번에는 아주 자유롭게 즐기며 순례하였습니다.사진 남깁니다.승탑 주인공에 대한 행장은 천천히 공부하겠습니다.참!대흥사 승탑원의 승탑은 당호를 위패에 새긴 것이 큰 특징으로 생각되었습니다. 2029.03.29 *당호는 국가유산청 발간.한국의 사찰문화재 전남 편을 참고하였습니다.승탑원"부도전은 일주문을 막 지나 오른편에 자리하고 있다. 나지막한 담장 안에 다양한 모습을 갖춘 부도(浮屠)와 탑비(塔碑)가 모두 80여기(부도 54기와 탑비 27기 )에 이르고 있다. 부도의 배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지 않고 3~4열을 이루고 있어 무질서하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무질서 속에서 조화로움을 느..

완도...수효사 침향 삼불상. 수향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수효사. 대한불교매향불 본찰완도군 고금면 고금로 667-105진도 향토문화유산 침향 삼불상을 봉안하고 있습니다.극락보전 불단법당 안이 향기로 가득했습니다.침향으로 조성한 삼불상미륵불을 주존으로. 아미타여래. 약사여래를 협시불로 모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우리나라에 조성된 매향비를 공개하지 않은 한 곳만 제외하고 모두 답사했었으나, 이곳 수효사 침향 삼불에 대한 소식은 최근에 접했습니다. 매향(埋香)매향.수효사 안내문조성 배경2011년 8월 12일 전남 진도군 군내면 녹전리 해변 양식공사 중 정용운. 윤선정 님이 발견2017년 지금으로부터 1600~1700년 전의 매향 침향목으로 확인2017년 국가중요무형문화유산 목조각장 목아 박천수 선생이 침향 삼불 조성2013년 진도 향토문화유산으로 지정발견 당시 침향길..

완도...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고금면 세동84번길 86-31 (덕동리)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극가지정 사적하마비대소인원개하마비병오칠월일 중건. 언제인지 정확지 전하지 않습니다.홍살문외삼문관찰사 이공규현 영세불망비https://www.grandculture.net/ansan/dir/GC02500647중삼문내삼문 동재. 서재동재서재내삼문충무사충무공. 영정동무이곳에는 우수영 전진도첩이 소장되어 있으며, 가리포진 56대 첨사로 노량해전에서 함께 전사한 이영남을 배향하고 있습니다. 우수영전진도첩 (右水營戰陳圖帖). 문화유산자료전라우수영의 군사 조직과 운영실태를 알 수 있는 자료이며, 어떤 작전을 수행하고 있었는지도 알 수가 있다. 수록된 내용은 적과 만났을 때 대처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묘사한 예진도와 직진도 등 1..

완도...당목마을 당제

당목마을 당숲약산면 당목리 51-1당산으로 인해 마을 이름이 유래된 것 같습니다.당제. 완도군 향토유적매년 음력 1월 8일?완도군청 홈페이지에는 음력 정월 보름에 당제를 올린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바닷가에 위치하여 방풍림. 방조림을 조성하고 당할머니를 모셨습니다.금년에도 당제(동제)를 모신 듯 금줄이 걸려 있습니다.사당둥근 돌 2개를 봉안하고 있다고 합니다. 완도군청 홈페이지에는 당산을 모시게 된 두 가지 배경을 싣고 있습니다. ①약 500년 전 당섶 부근 개울에서 논물작업을 하고 있던 사람이 괭이로 땅을 파던 중 괭이에 찍힌 돌 하나에서 피가 많이 묻어 나와 이상하게 생각하고 또 다른 돌 하나를 발견, 역시 피가 묻어 나오자 이돌 2개를 죽담 지푸라기 당을 만들고 그 당안에 넣어두고 매년 제사를 지내 ..

완도...생일도 소나무

생일도 해송 생일면 유서리 442서성항 뒤편에 위치. 관광객들에게 포토존으로 자리잡음보호수수고 1미터. 나무둘레 2.5미터수령 200살 이상 추정아름답고. 당당하며 마을을 내려보고 있습니다.역시마을 당목이었습니다.상당신으로 추정되며, 하당은 마을에 있을 것 같습니다.금줄도 걸려 있고당산에 12지(호랑이?)를 모신 경우는 첨 접합니다.마을 수호신 답게바닷바람에 지지 않을 만큼 힘찬 기운이 느껴집니다..귀항하는 어민들에게 큰 위로가 되었을 것입니다.당산목힘든 바닷일에 시달리는 어민을 위무하고, 마을을 수호하며고향 떠난 사람들에게는 아련한 추억의 대상의로 자리 잡고 았을 것입니다.그렇게 어울렁 더울렁 영원히 민초들과 함께 살아가길 기원합니다.2025.03.29

완도...생일도 학서암 석조여래좌상

당목항 일출어제저녁 이경호 님과 쇠주 한 잔을 즐기며 학서암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습니다.생일도완도 당목항에서 생일도 서성항까지 25분 여 소요되며 2시간 간격으로 운행된 것 같습니다, "생일도는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에 있는 섬이다. 완도(莞島)에서 동쪽으로 21.6㎞ 지점에 있다. 생일면의 주도로서, 북쪽에는 평일도(平日島) · 금당도(金塘島) 등이 있다. 면적은 13.8㎢이고, 해안선 길이는 28.0㎞이다. 주민들의 본성이 착하고 어질어 갓 태어난 아기와 같다 하여 날 생(生) 자와 날 일(日) 자를 빌려 생일도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3991&cid=46617&categoryId=46617서성항 조형물생일날 입항하는 분..

장흥...옥룡사지 석불좌상.옥당리 석탑부재

옥룡사지 석불좌상5번 답사. 2번은 못 뵈었고, 오늘까지 3번째 인연 짓습니다. 예전과 다르게 지금은 진입공간도 확보되어 있었습니다.아래의 석탑부재도 인연 지었던 님들입니다.2015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4690광배도 그대로... 그런데 불두가 조선시대에 훼손되었을 것이라고 막연히 추정했었는데, 동행한 위성 선생님이 88년에 찍은 사진 한 장을 보내주었습니다.촬영 일자. 1988년. 9월 12일소발. 육계가 높고. 백호, 원만한 상호, 삼도가 있습니다.석탑.상층기단 갑석석불좌상 아래편에 있습니다.2단 받침물매 미미. 부연이 있습니다.당동리 영모재이곳에도 기단부에 석탑 면석이 여러 점 있습니다.당동리 백련사이곳에도 옥개석 한 점이 있습니다.옥개석낙수면 물매 급하고2..

장흥...오헌고택.석탑 옥개석

오헌고택오래전 들렸으나 문이 잠겨 대문간 옆 담장 너머 까치발로 주초로 활용된 옥개석을 본 적이 있었습니다. 오늘은 장흥에 거주하는 이경호 님 덕분에 위성 선생님이 직접 문을 열어 주었습니다.오헌고택. 전남 민속자료"조선후기 원취당공(휘 도순, 1748~1816년)이 처음으로 집터를 잡고 오헌공(휘 계룡, 1870~1948년)에 의해 완성되었다. 1918(戊午)년에 안채와 사당이 축조되었고 사랑채는 1923(癸亥)년에 지어졌으며 그 이외의 건물은 그 보다 후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남도 대농(大農) 반가(班家)의 대표적 고택이다. 방촌마을의 대표적인 상류주택으로 안채‧사랑채‧사당‧문간‧연못 등 축조 당시 공간 구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며 다양한 민속생활사 관련 유물과 자료를 소장하고 있어 지역 양반문..

고흥...관리 오층석탑

법성사(도양읍 관리 1152-6) 뒤편에 위치.폐교된 도양초교 정문에 있었는데 환경이 변해 당황스러웠습니다.옛글에는 초층 몸돌, 1~2층 옥개석만 본래부재로 판단했었는데, 지금은 구분이 모호합니다.안목이 없는 탓도 있겠지만, 기술의 발전도 한몫했겠지. 2009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847기단부예전 모습인지, 그때는 풀숲에 가리어져 있었습니다.탑신부후보물을 찾을 수 있는지요?탑신석 우주옥개석 4단 층급, 1단 탑신 받침. 낙수면 물매 급하고, 상처마선 미미하게 반전본래 부재로 추정되는초층 탑신석, 1~2층 옥개석2009년 본래 자리인지, 옮겼는지 알 수 없지만 주변정리가 되어 답사 환경이 좋아졌습니다.어쩌면 우리 비지정 문화유산 관리의 모범답안일지도 모르겠습니다.2..

고흥...신호리 석당간

춘흥에 겨워 어떤 표현도 사족일 것 같아 옛글로 대신합니다. 신호리 당간(2009년)https://12977705.tistory.com/8722991탑동. 탑성동민초들은 그렇게 부르며, 백제 때 "한자사(寒子寺)" 또는 "한사(寒寺)"터로 구전된다고 합니다.방형 기단석에 석주를 끼운 상태입니다.방형 같지만 부등변 팔각석주입니다.석불의 보개 같습니다.석당인지솟대인지비보 목적의 돛대인지...... 나는 왜?나로도 우주센터가 연상되는지.2025.03.28

고흥...상림리 삼층석탑

상림리 삼층석탑. 풍양면 상림리 577번지 야산에 있었던 것을 일제강점기에 풍양면사무소로 옮겨왔으며, 저도 2009년 풍양면사무소에서 뵈었습니다. 지금은 도원면 고흥분청문화박물관 홀 중앙으로 이건 되어 있었습니다. 상림리 삼층석탑(2009년)https://12977705.tistory.com/8722993현재는 세척하여 유의하지 않으면 본래부재와 후보물이 쉽게 구분되지 않습니다.2009년 사진을 확인하면 확연히 구분됩니다.기단갑석. 옥개석 3기가 본래부재 같습니다.(2009년 사진)기단갑석하부 부연 생략. 중석에 명문이 남아 있습니다.명문천희오년 신유십일월(天禧五年 辛酉十一月)동심동원위성수천장국태민안법륜상전(同心同原爲聖壽天長國泰民安法輪常轉) 석탑(石塔) 동량(棟梁) 천희 [天禧] 5년은 고려 현종12년..

광양...백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백운사촬영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도촬 한 1장도 폰을 확인하며 삭제를 요청했습니다.맨 아래는 동호회 최석훈 님. 다른 사진은 법안님 사진입니다.아미타 삼존 백운사가는 길이 여간 녹록하지 않았습니다.눈에 담았지만 마음으로 담지 못하여 기억을 되새겨 봅니다.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불상은 청도 장연사 목조관음보살 답사하면서 두 불보살상이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는 글을 읽고 알게 되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220 인조 21년(1643년) 금어 인균(仁均)을 비롯한 6명 화사의 작품입니다.복장유물(문화재청)동일한 내용의 발원문을 한지와 비단에 각각 기록하였습니다.스님 말씀에 의하면 조만간 보물로 지정된다고 하셨습니다.2025.03.28

광양...불암사 성보박물관

석조약사여래입상. 고려불두는 후보?범종. 고려목조동자상. 조선당체목물해태조각상?당채(唐彩)가 맞겠지요?청동 불기. 조선은제 도금잔과 잔대. 고려귀면 화로. 고려은제 금도금 표주박형병 및 받침. 고려쌍사자 광명등. 고려해치. 나무조각촛대. 조선삼존 청동불감업경대업경대당채봉황목조각. 조선석조비로자나불좌상. 고려곱돌부적판. 조선곱돌부적판 조선곱돌부적판. 조선곱돌원형화로. 조선곱돌화문원형화로곱돌연화문 원형화로용머리조각목?. 조선조선 동종개금목불과 복장유물(후령통). 조선약사여래금동입상불. 고려석재부처연화문사리함. 조선동경 외. 고려김정호 상산수짐승문전돌. 원삼국(백제)전돌. 원삼국전돌. 원삼국초의선사칠성도. 함풍 3년영조대왕. 광무 2년나옹화상2025.03.28 *지정명칭과 시대는 박물관 기준입니다.

광양...불암사 석조약사여래입상

불암사.다압면 백운3로 635-18오래전 성보박물관이 개관되었다는 소식을 접했지만 이제 찾았습니다.그런데도착하고 보니 예전에 답사했던 무등암이었지만, 사찰명이 바뀐 연유는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무등암 목조대세지보살좌상https://12977705.tistory.com/8724408석조약사여래입상무등암 답사 때는 뵙지 못했던 불상입니다.연화대좌는 후보물, 불두도 접합(?), 상호도 보수 문제인지 눈 부분이 기괴한 형태입니다.낮은 육계, 나발, 긴 귀, 상호는 본모습을 잃었습니다. 삼도 표현, 통견의 법의, 사선의 승각기. 오른손은 시무외인, 왼손에는 약함을 지물로 들고 있으나 후대에 조각한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법의는 가슴부터 무릎 아래까지 파문을 이루며 흘러내렸습니다. 군의 아래로는 발을 함께 표현..

제주...추자도 처사각.산신당.순효각

추자도 순례 목적이 최영장군 사당 금표 답사이었으며, 18-1 올레길 주변에 있는 문화유산도 살펴보는 것이었습니다. 그렇게 검색하여 인지한 처사각, 산신당, 순효각을 마지막으로 트레킹과 더불어 짧은 시간에 주만간산으로 둘러본 추자도 일정을 마무리합니다.처사각. 제주시 유형문화유산처사각 내부영모재와 밀양박씨 호남시조처사각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대부분 자료에는 태안 박씨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1975년 제주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처사(處士) 박인택(朴仁宅)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건립한 사당이다. 박인택은 태인(泰仁) 박씨로 조선 중기에 추자도에 유배된 것으로 전해오고 있으나 그의 행적에 대해 상세한 것은 알 길이 없다. 당초에는 지금의 사당이 있는 뒤편 산기슭의 석간수..

제주...추자도 쌍룡사.최영장군 사당 금표

쌍룡사나바론 하늘길을 하산하여 최영장군 사당 가는 길에 사전에 인지 못했던 사찰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추자도의 유일한(?) 사찰로 대웅전, 삼성각, 요사채를 갖추고 있습니다.. 대웅전 현판한석봉의 낙관이 눈에 들어옵니다.불단아미타여래. 석가여래. 약사여래 삼존을 모셨습니다.단청용꼬리를 비롯 채색하지 않았습니다.용두봉황. 포작삼성각용왕신을 중앙에 모셨습니다.우 독성. 좌 칠성여래삼성각 벽화실내 배치에 준하여 외벽에도 중앙에 용왕도를 그렸습니다.좌 칠성도우 독성도 쌍룡사 참배 후 최영장군 사당으로 향합니다.오늘 추자도를 찾은 가장 큰 목적인 금표가 이곳에 있습니다.최영장군 사당. 제주시 기념물목호(牧胡)역사에 문외한인 탓에 익숙지 않습니다."고려(高麗) 때 제주도(濟州道)에서 말을 기르던 몽고인(蒙古人)을 ..

제주...추자대교. 추자등대. 나바론 하늘길

추자교하추자도를 지나 상추자도로 들어갑니다.추자교1993년 4월 11일 오후 1시 25분쯤 15톤 덤프트럭이 건너는 순간 상·하추자를 연결하는 추자도다리가 하중을 견디다 못해 붕괴됐다. 이 추자교는 1972년 총연장 156m, 폭 3.4m로 완공된 것으로서 1989년에 안전 진단을 실사한 결과 노후하여 붕괴 위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국은 그해 10월부터 4.5톤 이상의 차량 운행을 금지하고 1990년 8월부터 2개월여에 걸쳐 보수 공사를 실시했었다. 이날 다리 붕괴 사고로 차에 동승했던 현장 직원 2명이 현장에서 숨졌고 운전자는 추락 직후 헤엄쳐 나와 생명을 건졌다. 경찰 수사 결과 당시 사고 차량은 다리가 노후해 4.5톤 분량의 시멘트 골재 8개를 실어 무려 15톤의 무게로 영흥리에서 묵리 방..

제주...추자도 예초리.엄바위 장승.추자교

예초리(禮草里) 하추자의 동쪽에 위치한 어촌 마을이다 예로부터 예의범절을 잘 지키는 마을이라 하여 ‘예초’(禮草)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약 300여 년 전 함안조씨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된 것으로 전해진다.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지도에 예초리가 나타난다. 2006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북제주군이 없어지면서 제주시에 편입되었다. 2007년 현재 면적은 1.29㎢이며 총 86세대에 17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주민의 대부분은 어업에 종사하며 일부는 농사를 짓는다. 현재 본동과 추포도 등 2개의 자연마을이 있다. 어종으로는 삼치·조기·고등어·방어 등이 많이 잡히며 특히 해초류인 참몰(모자반)을 많이 채취한다. 예초리는 일반 여객선이 기항하는 관문 역할을 담당한다. 예초리 방파제는 낚..

제주...추자도 황경한 묘

황경한 묘모진이 해수욕장에서 예초리로 가는 도중에 있습니다.황경한?황사영 백서의 주인공 황사영과. 정약용의 맏형 정약현의 딸 정남주 사이에 태어난 아들황사영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5169황경한은 추자도에 입도한 첫 창원 황 씨이며, 아기 황경한을 발견하여 키운 사람은 오 씨 부인그래서 두 집안은 혼인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황경한의 눈물가뭄에도 마르지 않는다고 합니다.신대해안길 우측 바닷가 끝에 사랑의 십자가가 자리합니다. 아래는 묘소에서 눈물의 십자가로 가는 도중의 뷰 신대해수욕장사랑의 십자가제주도로 끌려가던 황사영의 아내 정난주가 2살 난 황경한을 내려놓고 떠난 곳이라고 합니다.국가폭력에 희생된 황사영 가족https://www.joongang.co.kr..

제주...추자도 모진이 해수욕장

추자도에 있는 최영 사당 금표 답사를 위해 여러 번 도모하였으나 4전 5기 만에 추자도에 입도하였습니다. 대구에서. KJ 산악회 주최로 02:30분 출발 아침에 완도항에서 08시 추자행 산타모니카호 승선하여 약 45분 상추자도 추자항에 닿았습니다.추자도 추자면이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에 대해서는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서기 662년 신라의 문무왕 때와 백제시대에 탐라가 예속되어 조공이 있었던 점을 미뤄 제주에서 육지를 왕래하던 선박들이 해상의 중간지점인 추자도를 후풍지점으로 삼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조선조 성종때에 편술한 〈신 증동국여지승람〉제38권 〈제주목〉편에 추자도 부분이 나오는 데 거기에 추자는 제주목의 북쪽 바다에 있는 주위가 30리이며 수참(水站)의 옛터가 있다고 했다.이로 미..

화성...홍법사 석조비로자나삼존. 오층석탑

홍법사2013년 이후 첫 답사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965 축대 아래에 있었던 석탑을 대웅전 앞으로 이건 하였습니다.불대좌석탑으로 추정되었던 대좌는 빼내고 오층석탑으로 복원하였습니다. 옛글로 대신하며 사진 몇 장 올립니다.바로자나삼존석조철조보살입상철조보살입상오층석탑2013년 칠층석탑이었습니다.2013년 불대좌(?)를 옥개석으로 활용하여 칠층석탑으로 조성불대좌아래위가 바뀌지 않았나?기단갑석탑신부초층 옥개석, 탑신, 상륜부 복원옥개석 전층 3단 층급받침, 탑신받침 생략상륜부 복원2025.03.15

경기도/화성시 2025.04.20

화성...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봉림사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이다. 신라 진덕여왕 때 고구려의 침략을 불도(佛道)의 힘으로 막기 위하여 창건하였다. 절 이름은 창건 당시 궁궐에서 기르던 봉황새가 절 주위의 숲에 와서 앉았으므로 봉림사라 칭하였다고 전한다. 1621년(광해군 13) 안모(安暮)·자현(慈賢)이 대웅전·망양루(望洋樓)·봉향각·범종각 등을 중수하였다. 1708년(숙종 34)에 중건이 있었다. 1884년(고종 21) 무렵에도 중건하였으며, 1979년에 아미타여래상의 복장(腹藏)에서 나온 사리를 봉안한 사리탑을 근래에 세웠다. 1998년 삼성각을 건립하고, 1992년에는 요사를 개축하여 오늘에 이른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비롯하여 삼성각·봉향각(奉香閣)·망양루·범종각·요사채 등이 있다. 대웅전은..

경기도/화성시 2025.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