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41

서울...이화여고 석등 外

심슨기념관 후면. 국가등록문화유산정동길을 걸으면서 한 번쯤 눈길 주었을 건물입니다. " 이곳은 미국인 사라 심슨(Sara J. Simpson)이 죽을 때 위탁한 기금으로 1915년 이화학당에 세운 건물이다. 이화학당은, 1886년 감리교 여 선교사 스크랜턴(Mrs. M. F. Scranton)이 정동에 있는 그의 자택에 세운 학교다. 처음에는 한옥교사(韓屋校舍)를 사용하다가 1899년 양옥교사(洋屋校舍)인 메인 홀(Main Hall). 심슨 기념관(Simpsom Memorial Hall), 프라이 홀(Frey Hall) 등을 지어서 본격적인 캠퍼스의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메인 홀은 한국 전쟁 때 파괴되고 프라이 홀은 1975년 화재로 소실되어, 옛 건물 중에는 이 심슨 기념관만 남아있다. 이 건물..

서울...이화여고 석탑

삼층석탑2기 이상 석탑 부재의 조합으로 원래 위치은 확인되지 않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탑입니다. 복원 전에는 아래의 석탑 옥개석이 초층 옥개석. 탑신석이 초층 탑신석, 기단석이 맨 아래에 위치하여 4층 탑처럼 쌓여 있었습니다.옛 부재초층 탑신석, 기단부, 상륜부는 후보입니다.지대석. 기단부엇물림 결구부연이 깊습니다탑신부3층 탑신석과 옥개석은 1석입니다.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881~2층 옥개석 상면 받침과 3층 옥개석 받침이 다릅니다.복원된 상륜부우리나라 여러 곳의 후보 된 상륜부와 동일합니다, 즉 특정 업체, 특정 인물이 조성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원 소재지를 알 수 없어 아쉬움이 큽니다.위 3층 석탑을 복원하고 남은 부재입니다.복원 전에는 기단~초층 옥..

청도...남양리 유천수도 액석 . 석탑옥개석

청도향토사학회보(2025년 봄)에 실린 사진을 보고 김환대 님이 알려 주었습니다.이후 청도 문화원을 방문하여 위치를 알고 있는 전임 회장님과 통화 후 현장을 찾았습니다.유천수도(楡川隨道). 석탑 옥개석예전 경부선 유천터널(상동 터널)에 설치되어 있었던  액석(額石)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광무 8년 1월 일1904년입니다.그런데 일본 연호가 아니라 대한제국 연호를 새긴 것이 이채롭습니다.옥개석2단 탑신 받침. 낙수면 물매가 급합니다하부절수구 생략층급받침4단처럼 보였으나 흙을 들어내니 5단입니다.측면본래 2개 부재?아니면 반파되었는지.소장하고 있는 분을 만나지 못해 본래 위치를 확인 못했습니다.2025.03.06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서예. 도자)

서예전언감생심 해석은 엄두도 못 내고 설명문만 열심히 읽었습니다.혜경궁(1735~1815). 1789년 주상이 지극히 애통한 가운데 한 달여를 심려하시며 지내시고 자주 편안하지 못하셔서 성체를 손상함이 이를 데 없사온데, 관을 꺼내는 일을 보시게 하기가 차마 절박하고, 지극한 애통을 겸하여 병이 일어 위중할 뿐 아니라 성궁을 위하는 염려가 간절하여 붙들고 못가시에 하였으나, 이제 즉시 가려하시니 지극한 정성을 생각하여 거동하기 전에 빈소를 차리게 하고 아뢰게 하십시오정혜공연시연시(靖慧公延諡宴詩)정조 어필. 1792년 정조가 정명공주의 맏고손자인 홍상한에게 시호를 내리고 직접 지은 어제시 2 수더. 혜경궁 홍씨의 당숙으로 정조에게는 외가댁 큰할아버지에게 해당한다. 정조는 세손 시절부터 역대 명가의 서체를 ..

대구...간송미술관 상설전시(회화)

서울 특별전. 대구 개관전 등 여러 전시회에서 만났던 작품이 많았습니다.안목보다는 눈에 익히고 즐기고 왔습니다. 작품 몇몇 점 사진으로 남깁니다. 한문을 해석하지 못한 부끄러움도 숨기지 않겠습니다. 고사한거(高士閑居).이징(1581~1653 이후)금니산수도(金泥山水圖) 17세기 중반 강산청원(江山淸遠) 정선. 금강전도(金剛全圖)정선(1676~1759). 1752년 경심사정(1707~1769). 고사은거(高士隱居). 17세기 중반이인문(1745~1824). 총석정(叢石亭)김홍도의 동갑내기 친구. 화원화가김홍도(1745~1806). 환선정(喚仙亭) 총석정 맞은편 정자김홍도. 현종암(懸鐘巖)고성 영랑도 동쪽에 있는 바위. 종을 메단 형상두 명의 선비가 해금강을 바라보고 있습니다.장승업(1843~1897). 귀..

포항...구룡포 근대거리 여행

중학 동기와 트레킹동대구역-포항역 KTX-구룡포터미널(시내버스) 예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841https://12977705.tistory.com/8723842도가와야스브로 송덕비일제강점기, 구룡포 방파제, 도로 건설에 관여한 인물1944년 일본에서 규화목을 가져와 건립. 해방 후 시멘트로 비문 덧칠일본인이 세운 일본 육군비 기단해방 후 충혼 탑을 세웠다가 철거함일본 신사 주초일본 신사 부재.신사 참배 전 손 씻는 곳?대정 2년 5일. 1913년부동명왕우리나라 일제강점기 88 영장소 불상 및 관음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56구룡포 공원 돌계단그리고구룡포 씨푸드에서 만찬2025.02.26

담양...창평초교 석탑

창평초교 석탑분위기가 바뀐 것 같습니다.2009년 사진내 기억이 맞습니다.이렇게 연 못안에 있었습니다. 근접하지 못한 탓에 옛글에는 옥개석 층급받침을 전층 3단으로 기록했습니다.석탑. 비지정옥개석 5기가 중첩되어 있습니다.맨 아래 부재와 맨 위 부재는 석탑재가 아닙니다..현장 안내문입니다. 그런데, "이 탑은 구 창평 관아의 객사였던 용주관이 있었다는 역사적 가치이며, 물리적 상징이다."라고 맺음 했습니다.월봉산에 대자암이 있었다는 사실을 강조해야 하지 않나요?일견, 전층 4단 층급 받침의 오층 석탑 같습니다.맨 아래 부재는 석탑재가 아닙니다. 주초석 같습니다.그런데, 다시 보았더니1~2층 옥개석 상면에는 탑신 받침이 조출되어 있습니다.낙수면 물매는 급하지만 현수곡선은 보이지 않습니다.반면3~5층 옥개석..

담양...분향리 석불입상

분향리도 2009년 이후 첫 순례입니다.주변 정리가 되어 있었으나 기억을 되살릴 수 없었습니다.입구를 놓쳐 열려있는 대문을 열고 들어가 주민에게 위치를 물은 후 찾았습니다.감이 떨어지는 것은 부인 못하지만 전혀 기억할 수 없는 게 오히려 이상하게 느껴졌습니다.2009년 글https://12977705.tistory.com/8723000분향리 석불입상. 전남 유형문화유산고려시대에 조상한 석불입상으로 지대석 연화대좌 불신, 광배는 조성하지 않았습니다.대좌 위에 불신을 끼워 넣었습니다.통견의 법의, 가슴에서 U자로 내려오든 대의자락은 이른바 우전왕식으로  무릎 아래까지 내려왔습니다.소발 낮은 육계, 평평한 코, 두터운 입술. 용수철 삼도(개인적으로 칭함). 귀는 어깨에 닿지 않았습니다.오른손은 대의자락을 잡고..

담양...대치리 석불. 느티나무

2009년 포스팅을 참조하세요그 이상은 우수마발 사족일 것 같아...https://12977705.tistory.com/8723011오른손에 연봉?그러면 미륵이겠지요.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주형거신광배와 불신 일체,  소발, 육계, 삼도, 법의는 통견, 오른손은 오른쪽 가슴에 연봉우리를 들고, 왼손은 배를 거쳐 오른팔 아래를 받쳤으나 파손이 심하여 알 수 없습니다."라고 옛글에 기술했는데 착의법은 헷갈립니다.입상인지좌상인지. 한 번 파보면 좋을 텐데대치리 은행나무. 천연기념물이 태조가 심었다고 구전되고 있으니, 수령 600년 이상일테고담양 한재초교의 느티나무... 고재종(담양 출신) 어른 다섯의 아름이 넘는 교정의 느티나무,그 그늘 면적은 전교생을 다 들이고도 남는데그 어처구니를 두려워하는 아이는 별로 ..

장성...김인후 난산비. 통곡단

난산(卵山)황룡면 맥호리 105번지산이 계란을 닮은 형국에서 유래되었을까요?난산비(卵山碑)하서 김인후 선생이 제자(?)인 인종(仁宗)이 승하한 7월 1일 난산에 올라 북망 통곡한 곳이 통곡단(통곡단(痛哭壇)이며, 그 사실을 새긴 비가 난산비입니다. 하서 김인후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9D%B8%ED%9B%84난산지비(卵山之碑) 전면. 전남 문화유산자료" 호패형의 일반형 석비로 전면 상단에 전서로 횡서로 ‘난산지비(卵山之碑)’, 첫 줄에 종서로 ‘난산비(卵山碑)’라 제하고, 이어 찬자(윤행임)와 서자(이익회)를 쓰고 비문을 적고 있다. 비문은 비의 제목을 포함하여 모두 31행(전 10행, 좌 5행, 후 10행, 우 6행), 1행 26자이다. 비문은 석재 ..

장성...백양사 성보박물관

소요대사 태능탑에 이어 전시 불교문화유산입니다.불교중앙박물관에서 뵈었던 불상, 불화도 전시되어 있었으며, 1관의 몇몇 점 사진에 담았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233소요태능 탑https://12977705.tistory.com/8728671담양 보리암 목조아미타삼존상.전남유형문화유산. 1630년증명 스님:소요 태능. 금어:나균 뇌형 외아미타대세지관음소조삼존불. 1956년삼존 설명문은 석가. 문수 보현석가보현?제화갈라로 표기문수?미륵으로 표기배면존상을 분명하게 기록했으면.용추사 목조보살좌상. 조선후기백양사 청류암 지장시왕도. 1863청류암 목조아미타불좌상.1688년. 전남 유형문화유산청류암 삼세불도. 1893년청류암 신중도. 조선후기금동관음보살좌상. 일제강점기불중박 ..

장성...백양사 소요대사탑

성보박물관개관되었다는 소식은 오래전에 들었지만 처음 들렸습니다.소요대사탑아주 오래전 뵈었지만 이후 공개되지 않은 박물관 실내로 옮긴 탓에 기억이 가물가물 했습니다.오늘 벡양사를 찾은 것도 소요당 승탑을 뵙기 위한 목적이었습니다. 소요당 태능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8903소요대사탑. 보물지대석, 기단석, 탑신부, 상륜부로 구성된 범종형 탑입니다.기단부저석. 중석, 갑석이 일석팔각 중석 각면에는 게. 거북이 두꺼비 등 다양한 동무상, 화문을 새겼습니다.갑석 위에는 복련, 간엽으로 장식하였며 1단 탑심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거북화문두꺼비?탑신부. 상륜부하대상하 돋을대로 구획.탑신위패형 액 속에 당호 소요당(逍遙堂)을 새겼습니다. 상부에는 연곽 4곳이 있으며, 9..

담양...성도리 석불입상

성도리 석불입상주변 환경은 크게 변하지 않았습니다. 성도리사지석불 주변에서는 기와. 도자조각 등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예전에는  석탑 옥개석이 1점 있었으나 현재는 소재불명입니다. 2009년 글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005저수지 둑방길 저 건너편에 석불입상이 있습니다.2009년 길을 잘 못 들어 마을 모정에서부터 길 안내를 해주었던 어르신이 생각났습니다.좌측으로 둑방을 지나 대나무 숲 속으로 난 길 끝에 석불이 계십니다.사진에 보이는 곳은 통행이 어렵지 않았으나, 왕래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듯 대나무가 길을 막고 있었습니다.2009년 길을 안내해 주셨던 어르신잘 계시는지성도리석불입상. 향토문화유산고개는 앞으로 약간 숙였으며 무릎 이하는 땅속에 묻혀 있고 광배를 ..

담양...봉안리 은행나무. 언곡사지 삼층석탑

봉안리 은행나무역시 2009년 이후 첫걸음입니다.언곡사지 삼층석탑의 랜드마크 같습니다. 마을 뒤편 산 아래에 사지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수령 500년 이상.마을 네 방위 있는 느티나무와 더불어 비보책으로 조성되었으며, 마을 당산나무입니다. 주민들은 매년 정월보름 당산제를 모시며, 올해도 제를 봉안하고 금줄을 둘렀습니다. 8.15와 한국전쟁 때 크게 울었다고 합니다.언곡사지 삼층석탑언곡사에서 진입하여 민묘를 지나 대나무 숲 사이로 들어가면 됩니다. 예전에는 연등이 걸려 있어 쉽게 찾았는데, 오늘은 연등이 없어 조금 헷갈렸습니다. 예전에 비해 주변이 말끔하게 정리되어 있었습니다. 언곡사지백제 성왕 6년(528) 경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나 고증할 길이 없으며 절 이름 역시 각종 지리지에 등장하지 않아 전해지는..

담양...오룡리 석불입상

예전에 비해 주변정리가 되어 있었습니다코와 왼손은 보수한 것 같습니다.불신과 광배가  일석입니다.배례석은 고인돌 덮개돌 같습니다.일반적인 시무외인, 여원인 수인과 다르게  좌우가 바뀌었습니다.천개본래 고인돌의 덮개돌?성혈이 남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소발발제선이 뚜렷합니다. 반개한 눈콧등은 높였습니다두툼한 입술백제고토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습니다. 삼도가 있습니다.통견?군의자락, 우전왕식(?) 대의자락은 보일 듯 말 듯우측면좌측면오룡리석불입상. 전남 유형문화유산고려 후기에 조성된 불상으로 전합니다. 2009년 포스팅입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004 2025.02.25

담양...연동사지 석조지장보살입상.삼층석탑

연동사에서 노천법당으로 향하는 길. 연등이 먼저 마중을 합니다.마이산 탑사가 떠오릅니다.연등이 주인공이 아닐진대지장보살. 삼층석탑 2009년 포스팅. 지금 읽어니 오류도 여럿 보이지만 그냥 가져왔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3009지장보살입상이른바 석주형입니다.어깨를 움츠린 듯합니다.민머리. 긴 귀. 반달눈썹. 반개한 눈. 다소 뭉툭한 코. 작은 입술. 삼도는 보일 듯 말 듯아미타 수인이 마치 시무외인 여원인 느낌입니다.통견. 오른 손목에 걸쳐 길게 뻗은 대의자락이 눈에 들어옵니다.승각기 매듭인지 군의 매듭인지...U자형 대의 자락이겠지요?군의는 드러나지 않고, 예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두 발은 선각으로 표현했습니다..그냥왠지 정감이 갑니다.삼층석탑흩어진 부재들을 ..

성주...창천 보살행 회화나무

창천리 회화나무. 가천면 창천리 1258-15수령 700년 이상. 수고(樹高) 16m, 둘레 426㎝, 수간(樹間) 18m로 마을 수호신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동제洞祭전국의 대부분 동제처럼 음기가 가장 강한 매년 정월 보름날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올린다고 합니다.금줄과 소지로 미루어 금년에도 올렸음을 알 수 있습니다. 동제 연원"연원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진 바는 없다. 현재 보살행 회화나무에 올리기 전에는 용두산 소나무 군락지에서 제의를 올렸다. 용두산은 용머리, 용몸뚱이, 용꼬리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사를 올리는 곳은 소나무 군락지이다. 마을에 전해지는 이야기에 의하면 제관 부부가 제사를 올릴 때 용두산으로 올라가는 호랑이가 앉아서 제사를 지내는 것을 지켜보고, 제를 마치면 돼지머..

경주...피막곡사지 석탑부재

피막곡사지 주변 정리가 되었으며, 특히 흙에 묻혀있던 탑신석 사천왕상이 뚜렷하게 나투셨다는 소식에 달려왔습니다.  여러 번 다녀왔는데 2014년 포스팅만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216피막곡 사지천군동피막곡사지는 관련 문헌이 없어 사명과 연혁은 확인되지 않습니다.사지에는 탑신석 2기. 옥개석 1. 기단갑석 1. 탑신석 2기 부재와 부재 편이 있습니다.탑신석1우주 모각, 사천왕상이 새겨진 탑신석이 초층 탑신석이면 이 부재 2층 탑신석으로 추정됩니다.탑신석 1. 지대석 3. 옥개석 1. 기단갑석 1옥개석4단 각형 층급받침. 풍탁공기단갑석2단 굄 조출탑신석우주 조출, 상면 원형 사리공. 사천왕상 부조. 초층탑신석으로 추정됩니다.아무 생각 없이 촬영하여 북방 다문천왕만..

경주...구강서원. 석탑 옥개석

구강서원.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649-3양월리의 형국이 거북을 닮아 서원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1692년(숙종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제현(李齊賢)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1917년 지방유림에 의하여 복원되었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묘우(廟宇), 신문(神門), 8칸의 적취당(覿醉堂), 외문, 3칸의 경각(經閣), 협문(挾門), 3칸의 고자실(庫子室), 2칸의 전사청(典祀廳), 3칸의 고사(庫舍), 대문 등이 있다."(네이버) 이제현(李齊賢)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4587..

서울...청룡사 가사도. 비로자나삼신괘불도

대웅전 불단 아래는 대웅전 불화입니다빛에 반사되어 불화 몇 점은 국가유산청 사진을 가져왔습니다..지장시왕도. 유형문화유산"1868년 정기비구니(正基比丘尼)의 발원으로 현왕도, 칠성도 등과 함께 조성되어 극락전에 봉안되었다고 전해지는 것으로, 금어 응륜(金魚 應嗧)에 의해 제작되었다 .이 작품은 화면의 중앙, 커다란 반원형의 광배 안에 지장보살과 무독귀왕, 도명존자 등 지장보살삼존을 배치하고 그 좌우로 시왕, 그리고 지장삼존의 아래쪽에 사자, 판관 등을 배치한 특이한 구도를 보여준다. 또한 1867년에 경선이 조성한 서울 보문사 지장시왕도와 동일한 초본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광배의 내부를 금색으로 칠한 점을 비롯하여 인물의 상호에 보이는 적극적인 음영법 등 19세기 말~20세기 전반에 서울・경기 지역..

서울...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대웅전 불단개운사는 2014년 인연을 지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499목조아미타여래좌상고려후기에 조성된 여래상으로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첫 인연 이래 2023년 불교중앙박물관 전시에서도 뵈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8157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선후기한국의 사찰문화재에는 조선후기 아미타여래좌상으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왜 약사여래불?신중도. 서울시 유형문화유산. 1870년사진과 친하지도 않지만 유리관 속에  들어 있어 사진 찍기가 아주 힘듭니다.문화유산청 사진화기에 조성연대는 없지만 양식적 특징과 조성화원으로 미루어 볼 때 함께 봉안되어 있는 지장시왕도(1870년)와 동시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천부중과 천룡팔부를 한 폭에..

서울...보타사 마애보살좌상.금동보살좌상

보타사 마애보살좌상.고려말~조선전기에 조성된 마애보살상으로 전합니다. 오류도 있지만 2014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5002014년에는 대웅전 뒤편에 있었으나, 지금은 대웅전을 옮겼습니다.대웅전을 이건하여 우리 곁으로 나투시어 돌계단까지 드러났습니다.(동호회 세종아빠 님 사진) 우리나라 통돌 계단https://cafe.daum.net/moonhawje/MebK/105신중탱 대신에 모셔진 마애신중패 (중앙) 나무금강회상 불보살(우측) 도리회상성현중(좌측) 옹호회상영기등중보타사 마애보살좌상은 서울 옥천사 마애보살좌상과 유사성이 많으며, 거의 동시대 작품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보도각(옥천사) 마애보살좌상(2024년)https://12977705.tisto..

서울...고려대학교 오층석탑

경기도 남양주 와부면 원당초교에서 1986년 옮겨온 고려시대에 조성된 오층석탑입니다.이층기단의 오층석탑지대석, 상륜부는 망실되었고 옥개석, 탑신석도 훼손이 심합니다.안내문 오류를 찾아보세요.기단부하층기단저석, 중석이 일석이며, 중석 각 면에는 2기 안상이 있고,. 약간의 물매가 있는 갑석 상면에는 2단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상층기단중석에는 후보 한 부재가 보이고, 평박한 갑석 하면에는 부연이 생략되었고, 상면에는 2단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탑신부탑신석에는 희미하지만 우주 흔적이 있으며 2층 탑신석은 후보 하였습니다.훼손이 심한 옥개석 상면에는 낮은 1단 각형 받침이 있으며, 절수구가 있고 층급받침은 미처 확인하지 못했습니다.낙수면 물매는 급하지 않고 전각의 반전도 완만합니다.2014년 답사기를 다시 한번 ..

서울...고려대학교 삼층석탑

삼층석탑고려시대에 조성된 이층기단의 삼층석탑으로, 지대석과 상륜부는 망실되었습니다.아쉽게도 원래 위치를 표기하지 않았습니다.하층기단저석,중석,갑석이 한 돌이며, 약간의 물매가 있는 갑석 상면에는 각형 2단 중석 괴임 조출상층기단중석에는 우주 모각, 갑석 하면의 부연이 상면에는 2단 각석 괴임이 있습니다.탑신부전층 탑신석에는 우주 모각, 초층탑신석은 후보 느낌입니다.옥개석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전각 반전이 있으며, 내림마루가 돌출되었습니다.(개인적으로 이런 유형의 석탑을 백제계열 석탑 특징으로 분류합니다). 전각에는 풍탁공이 남아 있습니다. 옥개석 내림마루가 돌출된 석탑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40상면에는 2단 각형 받침이 있으며, 위 받침이 높습니다.상륜부는 망..

서울..고려대학교 모사리 삼층석탑

2025년 1월 동호회 첫 정기답사개인적으로는 두서너번 답사했던 고려대학교 야외박물관을 찾았습니다. 평일에는 박물관 옥상도 둘러보기를 권합니다.모사리 삼층석탑2층기단의 삼층석탑으로 고려 중기 이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합니다. 석탑은 1962년 충남 예산군 덕산면 모사리에서 옮겨온 탑이라고 합니다. 아쉽게도 모사리사지에 대한 자료는 문화재청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지, 사지총람 어디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2014년 글로 대신합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498안내문의 오류(?)이겠지요?기단부국내 유일의 암괴형 통돌 하층기단으로 각 면에는 안상이 있으며 그 속에 화문을 장식하였습니다. 상면에는 2단 상층기단 중석 받침을 조출하였습니다.상층기단중석은 1 매석으로 탱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