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대구시 227

대구...상화 기념관. 이장가문화관

대곡역에서 삼필봉 산행길에 들렸습니다.달서구 명천로 43 상화는 익히 아실 테고. 이장가(李庄家)이장록에 의하면 이상화의 할아버지 이동진이 일찍 부모님을 여의고 매우 가난하였으나 자수성가하였다고 합니다. 큰 부자가 된 이동진은 친지들에게 토지와 재산을 나누어주게 됩니다. 이동진 선생이 이런 나눔을 실천하는 것을 ‘이장(李庄)’이라고 부른 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이장가와 우현서로https://www.yeongnam.com/web/view.php?key=20170309.010310818150001이상화 4형제는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백부 이일우 선생의 보살핌으로 살았습니다.소남 이일우 선생은 계몽운동가이며 우현서루를 설립하였습니다.이상화 부모(이일우. 김신자)이상화이상화 시인의 친필이상백이상오남재. 이장..

대구...간송미술관 특별전(서예. 도자. 불교)

지난 9월 13일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 전(08.21~12.01)에 다녀왔습니다. 많은 전시품은 서울 간송, 대구 미술관 특별전에서 보았던 작품이었습니다. 사진과는 별로 친하지 않지만 작품을 소개하니 관람 기회가 되면 사전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9월 13일무엇에 홀린 듯 삼존불감과. 계미명삼존불입상을 놓쳐 오늘 다시 들렸습니다  난맹첩(蘭盟帖).김정희(1786~1856)1830~1840년대. 종이에 먹김정희의 유일한 묵란화첩으로 16폭 묵란화와 7편 글이 상하 2권에 실려있다. 묵란은 추사체라는 독특한 글씨 못지않게 김정희의 예술적 지향과 성취를 구체적으로 담고 있는 분야다.적설만산(積雪滿山)짧은 잎의 춘란이 무리 지어 자란 모습을 그렸다.세외선향(世外仙香)영지와 난초를 함께 그렸다.국향군자(國香君子)..

대구...간송박물관 특별전(삼청첩. 동국정운. 미인도)

지난 9월 13일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 전(08.21~12.01)에 다녀왔습니다. 많은 전시품은 서울 간송, 대구 미술관 특별전에서 보았던 작품이었습니다. 사진과는 별로 친하지 않지만 작품을 소개하니 관람 기회가 되면 사전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대구 간송 미술관 개관기념 국보. 보물전 전시명입니다.여세동보는 서울 간송미술관 보화각 멄돌에 새겨진 위창 오세창의 글귀로 '세상 함께 보배 삼아'라는 의미입니다. 삼청첩. 이정(1554~1626)1594년. 비단에 금니. 보물삼청첩(三淸帖)은 왕실 출신 화가 탄은 이정의 시화첩이다. 수록된 20점의 그림들은 먹으로 검게 물들인 비단 위에 금가루를 아교로 갠 금니를 써서 그렸다. 20폭 중 대나무가 20점이다.풍죽(風竹)형란(荊蘭)가시나무와 난초소인小人을 의미하는..

대구...간송박물관 특별전(긍재전신첩. 혜원전신첩)

지난 9월 13일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 전(08.21~12.01)에 다녀왔습니다. 많은 전시품은 서울 간송, 대구 미술관 특별전에서 보았던 작품이었습니다. 사진과는 별로 친하지 않지만 작품을 소개하니 관람 기회가 되면 사전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긍재전신첩(兢齋傳神帖). 보물. 김득신(1754~1822)김홍도, 신윤복과 함께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알려진 김득신의 화첩이다. 김득신은 서민의 풍속을 해학적으로 담아낸 이 화첩에서 뛰어난 관찰력과 개성적 화풍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경지를 드러냈다. 간략화된 배경에 인물들을 배치하고 굵은 선으로 주름진 의복을 표현하여 김홍도 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순간적인 동작을 포착하여 심리를 절묘하게 묘사한 것은 김득신만의 개성이다.주중가효(舟中佳肴)배안의 좋은 안주고기잡이..

대구...간송박물관 특별전(해악전신첩.경교명승첩)

지난 9월 13일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 전(08.21~12.01)에 다녀왔습니다. 많은 전시품은 서울 간송, 대구 미술관 특별전에서 보았던 작품이었습니다. 사진과는 별로 친하지 않지만 작품을 소개하니 관람 기회가 되면 사전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해악전신첩(海嶽傳神帖)보물. 정선(1676~1759). 1747년겸재정선이 72세에 그린 화첩이다. 금강산을 중심으로 강원도와 동해안 일대를 그린 21폭 그림과 41편 시문이 총 76면에 걸쳐 실려있다. 정선은 같은 이름의 화첩을 30대에 제작한 적이 있었다. 아쉽게도 전하지 않는다. 70대 노화가가 그린 그림은 한층 원숙하고 세련된 모습을 보여준다.해산정(海山亭). 해악전신첩해산정은 해금강의 명승지인 고성에 있는 정자다. 오른쪽 약간 높은 위치에 해산정을 두고..

대구...간송미술관 특별전(고사인물도)

지난 9월 13일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 전(08.21~12.01)에 다녀왔습니다. 많은 전시품은 서울 간송, 대구 미술관 특별전에서 보았던 작품이었습니다. 사진과는 별로 친하지 않지만 작품을 소개하니 관람 기회가 되면 사전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김홍도 고사인물도. 보물역사 속 인물의 교훈적 일화를 그린 김홍도의 고사인물도이다 등장하는 인물은 후한대 현자 엄광을 비롯해 서예의 성인으로 추앙받는 왕희지, 시인 도연명과 임포, 그리고 성리학을 완성한 주희 등으로 모두 조선 선비들이 사표師表로 삼았던 인물들이다. 이 작품은 본래 8폭 병풍으로 제작되었다. 병풍은 여러 폭에 다양한 인물들의 일화를 담을 수 있고, 수직으로 확장된 공간에 산수풍경을 담아 그림 보는 맛을 더해준다 이에 더해 김홍도가 말년에 구사한 ..

대구...국립대구박물관 '한국의 신발' 展

나막신. 아산 갈매리. 삼국시대나막신. 경산 임당동. 삼극시대나막신. 익산미륵사지. 삼국시대나막신. 부산 가동. 삼국시대짚신 조각. 경산 임당동. 삼국시대나막신. 중국 신장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군종이신발. 중국 신장 투루판 아스타나 고분군 모자. 가죽신.  중국신장가죽신 바닥은 소가죽, 다른 부분은 오소리 가죽옻칠 신발. 낙랑 채협총풍속도. 기산 김준근. 1890년갓신 깁고, 목혜 파고신발 만드는 도구나막신. 사슴 가죽신(녹피혜). 가죽신조선탐라순력도. 서귀포점. 1702년목동이 발레를 착용한 모습이 보입니다.발레는 가죽으로 만든 제주도의 전통 복식이다. 주로 말 생산과 관리를 담당하든 목동인 테우리가 착용했다.(위) 짚신 모양으로 만든 가죽신. 20세기(아래) 가죽 발레조선 적삼(어린이용 윗옷). 안동..

대구...대구 향교 석탑부재, 석불대좌, 광배

대구 향교옛글(2013년)이 있습니다.https://12977705.tistory.com/8724081 오늘은 연구산 거북바위 답사 후 모임 장소로 가면서 향교 석탑부재를 찾았습니다.석탑 옥개석(1)2013년 글에는 옥개석 2기가 대웅전 주초로 활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4단 층급 받침. 뒤집힌 상태입니다옥개석(2)2단 각형 탑신 받침2024년 4월 18일명륜당에서 예전에 알지 못했던 석탑 탑신석 1기를 찾았습니다.탑신석우주 모각, 통돌이며 초층 탑신석으로 추정됩니다.그리고 석불대좌로 추정되는 부재와 중앙에 홈이 있는 석조부재가 있었으나, 광배로 추정되는 부재는 장애물이 있어 사진에 담지 못했습니다.팔각대좌저석,중석, 갑석 일체형각호각 3단 굄, 내림마루, 중석에는 안상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대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