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창녕군 77

창녕...창녕여고 병설유치원 석탑

삼층석탑 예전에는 창녕여고 생활관이었으나 현재는 병설 창녕유치원이 자리합니다. 본래 위치도 전하지않으며, 옥개석 2개를 제외하면 후보물이지만 그나마 2층으로 복원하였습니다. 2009년 글로 대신합니다. https://blog.daum.net/12977705/8722806 기단부 본래 부재가 아닌 것 같습니다 옥개석 층급 받침은 전층 4단, 낙수면 물매는 급하며, 탑신 굄은 아래 옥개석은 2단 위 옥개석은 1단입니다 창녕 읍내 석탑 답사 기회가 되면, 술정리 동서 삼층석탑, 만옥정 공원의 퇴촌리 삼층석탑과 더불어 답사 동선에 포함시키면 좋을 것입니다. 2021.02.16

창녕...남창교 비

창녕읍 교상 마을 남창교를 기준으로 형성된 마을임을 짐작 가능하며, 창녕군청 홈페이지에 실린 교상리, 교하리 마을 소개에도 그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화왕산 자하곡에서 흘러내리는 창녕천과 종로가 만나는 곳에 있는 다리를 남창교라 하는데 남창교를 경계로 하여 다리 위, 아래를 나누어 위 마을은 교상리이고 아래 마을은 교하리이다. 또 다리 위쪽 중 남창천 북쪽은 교상리이고, 남쪽은 말흘리이다. 교상리는 과거 창녕현의 관가(官家)가 밀집된 마을이었으나 한일 합방 이후 많이 훼손되어 지금은 옛 모습이 사라져 버렸다." 화왕산 자하곡 우리가 익히 아는 송현동 석불좌상, 고분군, 석조아미타불을 모신 도성암 등산로 옆으로 흐르는 계곡을 일컫는 것 같습니다. 남창교. 창녕천에 가설된 다리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예전에는 ..

창녕...창녕 석빙고

오늘 다음 카페 변경으로 인하여 배꼽으로 바뀐 석빙고 사진을 찍기 위해 들렸습니다. 창녕 석빙고 보물 제310호. 1742년 축조 화왕산에서 창녕 읍내를 흐르는 개울과 직각되게 남북으로 길게 축조되었습니다. 남쪽에 입구를 내고 경사를 내어 북쪽에 배수공으로 물이 개울로 흘러들어 가게 되어 있습니다. 내부는 들어갈 수 육안으로 확인 불가합니다. "빙실 밑바닥은 평평한 장방형으로 장방형의 막음벽은 작은 석재로 수직으로 올렸고, 홍예를 지탱하여 주는 양쪽 벽도 그러한 형식으로 구축되었다. 내부는 측벽에서 홍예 4개를 틀었고, 홍예와 홍예 사이에는 장대석을 걸쳐서 천장을 삼았으며, 이곳에 배기공을 설치하여 외부에 덮은 봉토를 관통하고 있다. 석빙고 입구 옆에 ‘石氷庫碑’가 있는데 이 비문에 의하면, 현감 신후서..

창녕...창녕 사직단

복원된 사직단으로 다른 사직단과 다른 모습입니다. 담장을 목축과 토축으로 쌓았고, 동, 서 출입문이 맞보고 있지 않으며, 예감, 신실터가 복원되어 있습니다. 창녕 사직단 "사직단은 토지의 신 사(社)와 곡식의 신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시대 창녕현의 사직단에 관한 기록은 1530년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처음 등장하며, 이후 『여지도서(輿地圖書)』(1757~1765), 『경상도읍지(慶尙道邑誌)』(1832), 『조선후기지방지도(朝鮮後期地方地圖)』(1872), 『교남지(嶠南誌)』(일제강점기) 등의 문헌에 꾸준히 보이고 있다. 모든 기록에 사직단은 현의 서쪽 1리에 위치한다고 하였는데, 실제로 현존하는 사직단은 위치나 방향 등에서 기록의 내용과 일치한다. 창녕 사직단은..

창녕...석불사 석조보살 입상

석불사 절집 이름도 석불에서 유래했을 것 같습니다. 2007년에는 지정 명칭이 석불입상이었던 것 같은데, 석조보살입상으로 존명을 바로 잡았습니다. 불신과 광배를 일석으로 새겼습니다. 주형 거신광배에는 특별한 문양이 없으며, 보관 중앙에는 화불이 있는 것 같지만 분명하지 않습니다 상호는 마모되어 뚜렷하지 않으며, 귀는 길어 어깨에 닿았으며, 법의는 통견, 대의자락이 타원형을 이루며, 발목까지 흘러 내렷습니다. 양팔에 걸친 옷자락은 하늘하늘거리는 듯 합니다. 삼도를 표현하였고, 어깨는 당당하며, 두발로 불신과 일체형입니다. 수인은 합장인입니다. 나말려초에 봉안된 보살좌상으로 전합니다. 옛 글(2007년) https://cafe.daum.net/_c21_/bbs_nsread?grpid=dRVf&fldid=Dj..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