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부여군

부여...무량사 승탑원(부도전)

임병기(선과) 2024. 12. 23. 08:16
300x250
300x250

사하촌에서 하룻밤을 묵고 일찍 승탑원을 찾았습니다.
 
무량사 승탑원
2열로 9기 부도가 있습니다.  여기에는 8각 원당형 1기, 구형 3기, 석종형 4기, 석탑형(?) 1기로 김시습탑을 비롯하여 조선후기에서 일제강점기에 조성되었습니다. 또한 근처에 옥개석 2개를 갖춘 능허당 처영 스님의 부도와 부도비가 있습니다.

석탑형 승탑
승탑원에 있지만 승탑 여부도 의문입니다.

최소 2기 이상 부재 조합입니다.
위 옥개석 2기는 2단 층급받침, 모서리 반전 급격, 절수구를 갖추었고, 부여 현내리 석탑형 부도, 경기도 안성 지방 석탑에 보이는 유형입니다.
 

경기도 안성 공원 석탑

아래 2기 옥개석 5단 층급받침
맨 아래 부재는 옥개석 아래 석탑 탑신석이 일석으로 고려시대에 등장하는 유형입니다.
 
옥개석과 같은 층 탑신석이 일석인 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88

4층 옥개석에는 찰주공이 있습니다.
석탑형 승탑이라 하더라도 2기 부재 조합으로 보입니다.

계영탑(桂影塔). 1642년 추정
자연석 기단에 올린 종형 부도, 하단에 1단 받침, 상단에는 2단 받침, 별석으로 상륜을 올렸습니다.
탑신 중앙에 비신을 양각하고 주인공을 새겼습니다.

淸虛 崇禎十O年
號桂影 諱太守
嫡孫 壬午 五月 日
 
서산대사의 적손 계영 스님 탑
숭정 연호 10년 대(代)에 임오는 1642년입니다.

편구형 승탑
탑주가 전하지 않습니다.
팔각 지대석, 팔각하대석 상단석은 복련으로 장식, 팔각 중대석, 앙련이 조식된 팔각 중대석, 탑신은 편구형입니다.
옥개는 2중의 팔각지붕으로 상륜부와 일석입니다.

옥개석, 상륜부

상. 중. 하 기단부

취죽당 탑(翠竹堂 塔)
자연석 위에 길쭉한 탑신의 종형 부도입니다.
탑신과 연화보주가 일석입니다.

翠竹堂 妙安塔

취죽당 묘안 스님.
여러 자료에 해남 대흥사 천불전 불상을 조성한 스님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오류로 추정됩니다.
무량사 승탑원에 있는 풍계 스님이 그 주인공 같습니다.

매월당 김시습 탑
1493년 무량사에서 입적한 매월당 탑입니다.
통일신라 이후 조선 초기까지 유행했던 팔각원당형으로 기단부, 탑신부가 팔각입니다.
팔각 옥개석 모서리에 귀꽃. 상부에 복련을 새겼습니다. 위에 복발과, 보개, 보주를 올렸습니다.

오세김시습지묘(五歲金時習之墓) 
다섯 살 때 세종 임금 앞에서 한시를 써 내려간  김시습에게 세종이 내린 별호가 오세(五歲)입니다.
시습(時習)은 집현전 학사 최치운이 논어의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에서 가져왔다고 합니다.

기단부
2중 팔각 기단. 하대석 복련, 중대석 운룡문, 상대석 앙련 조식

중대석의 용과 여의주. 구름문

상륜부
복발, 보개, 보주

김시습 탑(부도)
봉안되었던 사리는 오래전 폭풍으로 도괴되었을 때 부여박물관으로 옮겨 갔습니다. 이후 2017년 무량사로 이운하였으며
2020년 새롭게 부도전을 조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승탑원 김시습 부도는 사리가 없는 부도가 되었습니다.

2020년 조성된 김시습 부도(탑)

매월당김선생비 梅月堂金先生碑

비명(碑銘). 1929년

김시습(1435~1493) 영정
https://ko.wikipedia.org/wiki/%EA%B9%80%EC%8B%9C%EC%8A%B5

표월당대사지탑(標月堂大師師一 之塔). 1762년

凌虛嫡孫
標月堂大師師一之塔
上之三十九年 壬午 四月日 建
 
門人 贊洽 海浩......
 
능허당 탑 건립이 1706년 正月입니다
재위 기간 39년은 영조이며 임오년은 1762년입니다.
1762년은 영조 38년에 해당되지만 음력과 양력의 해석 차이 같습니다.

상륜부

측면에서 보면 길쭉한 기둥 같습니다.

풍계탑(楓溪搭)
자연판석 위에 원주형의 종형 탑신을 세우고 3단 받침 위에 일석으로 보주를 조성하였습니다.

상륜부

楓溪搭

풍계당
경주 석굴암에서 조성하여 해남 대륜사 천불전에 봉안된  천불상을 조각한 스님이라고 전합니다.

(한국의 고건축. 무량사)

원구형 승탑. 탑주가 전하지 않습니다.
지대석, 기단, 탑신, 옥개를 갖추고 있으며, 지대석은 자연석, 하대석 하단석에는 안상 조식, 하대석 상단석에는 복련 조식, 팔각 중대석, 앙련을 새긴 상대석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원구형 탑신 하단부에는 앙연, 상단에는 복련을 장식하였습니다. 4단 층급받침을 갖춘 옥개석은 팔각입니다..

하대석 하단석의 안상

상중하대석

원구형 탑신

팔각 옥개석

승탑 주인공이 전하지 않습니다.

청신사 강귀성 선생 영골지탑
무량사 주지 박우진 외, 뒷면에 조성시기를 촬영하지 않았지만, 자료에는 불기 2988년(1961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능허당대사영탑(凌虛堂大師靈塔). 사진 출처(국가유산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기단석, 탑신석, 옥개석으로 구성
방형 기단석, 탑신석은 길쭉하게 조성한 팔각이며, 중앙에 음각을 구획하여 연화문을 조식, 그 위에도 연화문과 구름문을 장식했습니다. 2중의 사모 지붕 위에 절병통 형식의 보주를 올렸습니다. 옥개석 받침에는 연화문과 안상 조식, 옥개석 낙수면 물매는 급하며, 내림 마루가 높습니다. 

 逍遙白蓮嫡詞 凌虛當大師靈塔 諱處英 字妙光
서산대사의 제자인 소요당 백련의 법제자 
능허당 처영 스님 탑
 
능허당(凌虛堂) 처영(處英) 스님은 뇌묵당(雷默堂) 처영 스님과 동명이인(同名異人)
능허당 처영은 17C 중반에서 18C 초반의 스님이며, 뇌묵당 처영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승군으로 활동한 스님입니다.

 一人 六行 一常 尙勳 取一
康熙四十五年 正月 日立
 
위는 비를 세운 주체 같습니다.
강희 45년은 1706년입니다.
 
능허당 승탑
사진을 찍지 않았던 2005년 이전에 뵈었습니다. 이후 2014년에도 뵈었지만 사진이 없습니다. 2017년 단체 답사 때는 건너뛰었기 때문에 오늘 답사 주목적이 능허당 처영 승탑 사진 촬영이었으나 무엇에 홀린 듯 또 놓쳤습니다. 나이 탓이라기보다는 인연, 인연이라 여기렵니다.

승탑원

양식, 조성시기보다는 탑주(塔主)의 생애와 행장에 관심이 많으나, 성의, 노력 부진, 자료의 한계 등으로 원하는 결과를 대부분 이루지 못합니다.  저는 답사를 즐기는 사람이지 연구자, 전공자가 아니라고 스스로 위로하지만 답답한 마음은 지울 수 없습니다.

 

2024.11.07

 

*참고 문헌. 사진

-풍계당 탑. 학국의 고건측. 무량사 편(구글)

-승탑 명문. 국가유산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자료집

-능허당 탑 사진 국가유산청. 한국의 사찰문화재

-능허당 탑비 사진. 동호회 여름날(홍하일)

-김시습 승탑 사진(2020년 조성). 동호회 무애(김승도)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