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남도/부여군

부여...대재각(부산 각서석)

by 임병기(선과) 2020. 11. 4.
728x90
728x90

 

대재각(大哉閣)

백마강을 사이에 두고 부소산성 건너 부산자락 강가에 자리한 작은 전각에 큰 대(大)자를 붙힌 정자이며, 대재는 '상서((尙書)‘의 대재왕언(大哉王言, 크도다 왕의 말씀이여)에서 따와 대재각(大哉閣)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합니다. 정자에는 힘이 느껴지는 우암 송시열이 쓴 글씨가 새겨진 바위가 있으며 이름하여 부산 각서석(浮山刻書石)이라고 합니다.

 

 

부산 각서석

효종대왕 사 백강 이상국 비사 (孝宗大王 賜 白江 李相國 批辭)

효종이 영의정 백강 이경여가 올린 상소에 대한 답

 

지통재심 일모도원 (至痛在心 日暮途遠) 

지극한 아픔은 마음에 있고, 날은 저무는데 갈 길은 머네

 

1650년 영의정 이경여가 올린 상소에 대하여 효종이 내린 답 '성이지통재심 유일모도원의(誠以至痛在心 有日暮途遠意)’에서 취하여 후에 송시열이 이경여의 아들 민서에게 ‘至痛在心 日暮途遠’ 8자를 써주었는데, 손자 이이명이 숙종 26년(1700)에 대재각(大哉閣)을 짖고 바위에 새겼다고 합니다.

 

북벌파인 효종이 청나라의 압력으로 사임하고 고향으로 낙향하는 백강 이경여 선생에게 내린 글로 안타까운 마을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효종실록(1,650년 12월 30일), 이경여의 면직을 허락하다

"영의정 이경여가 상소하여 면직을 구하자, 답하기를,

"경의 소장을 살펴보니, 내 마음이 멍해져 할 말을 모르겠다. 국사의 어렵고 근심스러움이 이런 지극한 경지에 이르렀는데, 장차 큰 냇물을 건너려고 하면서 배와 노를 잃을 줄 어찌 생각이나 했겠는가. 근심과 기쁨이 남들에게서 말미암으니 어찌 분개를 이길 수 있겠는가. 한밤중에 잠을 못 이루고 혀만 끌끌 찼을 뿐이다. 상소한 말은 마땅히 묘당으로 하여금 의논해 처치하도록 하겠다." 하였다. 그 뒤에 비국이 의논해 아뢴 것에 따라 비로소 체직을 허락하였다."

 

백강 이경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43557

 

 

숙종 실록(1,707년 8월 8일)에는 글을 새긴 내력에 관한 기사가 실려있습니다.

 

우의정 이이명(李頤命)이 16차례나 정고(呈告)하였는데, 이에 이르러 심수현(沈壽賢)의 상소로 인하여 상소하여 전날 논박을 당한 일의 전말(顚末)을 변명하였다. 그 상소에 이르기를, "엎드려 수찬 심수현의 소사(疏辭)를 보건대, 전의 일을 제기하여 신을 분의(分義)와 사체(事體)로써 꾸짖고, ‘곧장 구함(構陷)·무욕(誣辱)의 죄과로 몰아넣었다.’는 것으로써 신을 허물하였으니, 신은 두려움을 견딜 수가 없습니다.

신을 장소(章疏)는 인구(引咎)함이 아님이 없었으니, 어찌 반 토막의 말이라도 배척하는 말이 있어 죄를 얽어 무욕하였겠습니까? 일이 이잠(李潛)의 상소와는 조리가 같지 아니하니 아울러 일컫고 혼동(混同)하여 거론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신으로 하여금 입을 다물고 한 마디 말도 하지 않게 한다면 바야흐로 짓밟아 유린했다는 배척을 면할 수 있을 것이니, 상정(常情)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가 아닙니다. 또 주연(胄筵)에서의 거조(擧措)를 가지고 말을 하니, 이에 감히 정실(情實)을 궁구하여 말하겠습니다.

 

신이 지난 여름에 성조(聖祖)의 비사(批辭)를 써 주시기를 청했던 것은, 대개 신이 근래 동궁(東宮)의 빈료(賓僚)들이 친필(親筆)을 청하여 얻는 것을 많이 보았기에 망령되게도 여러 사람들을 따라 앙청(仰請)하여 장거(藏挙)107) 의 영광으로 삼고자 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일찍이 송(宋)나라 사람들의 글을 보았더니, 송나라 재상의 아들이 황제에게 선조 비석의 편액을 청한 경우가 많았고, 동궁의 관료들은 심지어 그 재실(齋室)의 이름을 써줄 것을 청하기까지 하였으니, 양만리(楊萬里)의 ‘성재발(誠齋跋)’ 같은 데서 볼 수 있습니다. 신은 선왕(先王)의 대훈(大訓)은 사가(私家)의 비액(碑額)이나 재명(齋名)에 비할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이로 인하여 동궁께 진달하기를, ‘감히 보한(寶翰)을 청하오니, 은혜로 허락하심을 입는다면 다행이겠습니다.

 

신의 할아비 이경여(李敬輿)는 효묘(孝廟)께 어수 지계(魚水之契)가 있어 일찍이 지극히 원통함이 마음에 있다는 하교가 있었으며, 또 「대인 선생(大人先生)」이라고 일컬으셨으니, 단지 신의 집안 자손만이 영광으로 느낄 뿐만이 아닙니다. 이는 황분 제전(皇墳帝典)108) 과 함께 같이 천지에 빛나는 것이니, 저하(邸下)께서도 또한 이 의리를 일찍 아시지 않으면 안됩니다. 등본(謄本)을 올리고자 하오니 써서 내려주시기를 바라옵니다.’ 하자, 동궁께서 즉시 올리라고 명하시므로 신이 소매 속에서 꺼내어 올렸습니다. 대개 우리 효묘께서 비록 큰 뜻을 품으시기는 하였지만, 밀물(密勿)한 유위(猷爲)109) 외에는 일찍이 문자로써 아랫사람에게 조유(詔諭)하신 적이 없었고, 말년에 와서야 이 하교가 신의 할아비에게 비로소 미쳤던 것입니다.

 

고(故) 문정공(文正公) 신(臣) 송시열(宋時烈)이 일찍이 신의 할아비의 묘지명(墓誌銘)에 이르기를, ‘「지극히 원통함이 마음에 있다.」는 하교를 유독 공(公)에게만 명백하게 말씀하셨으니, 어찌 성문(聖門)110) 의 3천 명 제자 가운데 유독 단목씨(端木氏)만이 다른 사람이 듣지 못했던 것을 들었던 경우와 같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던 것입니다.

 

또 일찍이 ‘지극히 원통함이 마음에 있는데, 해는 저물고 갈 길은 멀다.[至痛在心日暮途遠]’란 여덟 글자를 크게 쓰고 그 아래에 쓰기를, ‘위는 우리 효종 대왕께서 백강(白江) 이상국(李相國)에게 내린 비사(批辭)인데, 원래의 비사에서는 상국을 대인 선생이라고 일컬었다.’ 고 하였으니, 백강은 곧 신의 할아비의 호입니다. 〈이것을〉 신의 집안으로 보내 오랫동안 간직하도록 하였는데, 송시열은 이 의리가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더욱 잊혀지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하여 신의 집안 자손으로 하여금 더욱 그 의리를 잊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었습니다.

 

그 뜻을 의탁한 것이 감개(感慨)하고 쓴 글씨가 기건(奇健)하여 신은 일찍이 오랫동안 전할 계획을 세웠고, 또 일찍이 들으니 중국 사람들은 무릇 조칙(詔勅)을 얻으면 반드시 금석(金石)에 새겨 문려(門閭)에 세워 둔다고 하였습니다.

 

또 들으니 가평(加平) 조종현(朝宗縣)의 사람으로서 의리를 좋아하는 자가 이 여덟 글자를 산벽(山壁)에다 새겼다고 하였는데, 대개 그 지명에 이 의리가 있음을 감격하였던 것입니다.

 

신이 이에 온 집안과 계획하여 송시열의 글씨를 모탑(模榻)하여 신의 할아비가 일찍이 거처하던 부여현(扶餘縣) 백마강(白馬江) 위의 서실(書室) 동쪽 바위에다 새겼습니다. 그런데 신의 어리석은 뜻으로는 ‘성조(聖祖)의 의리는 우주를 버틸 수 있고 군신(君臣)의 제우(際遇)가 또한 고금에 크게 뛰어나니, 단지 사가(私家)의 영총(榮寵)일 뿐만이 아니다. 천추(千秋)의 지사(志士)로 하여금 당일의 의리에 느낌을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다.’고 여겼고, 또 생각하기에 여덟 글자를 비록 돌에다 새기기는 하였지만, 전문(全文)을 오랫동안 전하는 것만 같지 못하였으므로, 매번 당세(當世)의 명필을 구해 다시 돌에다 새기고자 하였습니다. 신의 이 하교(下敎)에 대한 감격과 영광이 본래 지성(至誠)에서 나왔음이 이와 같았으므로, 주연(胄筵)에서 글씨를 청하며 이에 그 일을 언급하였던 것인데, 스스로 그것이 마침내 참월(僭越)로 돌아감은 깨닫지 못하였습니다.

 

신은 또한 일찍이 이 비사로써 전하를 위하여 연석(筵席)에서 외웠고, 또 장차(章箚)에 써 넣기도 하였으니, 엎드려 생각하건대, 성명(聖明)께서도 또한 기억하고 계실 것입니다. 도 신의 생부(生父) 대사헌(大司憲) 신(臣) 이민적(李敏迪)이 일찍이 효묘 때 책문(策問)에 대답하여 성조의 ‘동심(動心)’과 ‘인성(忍性)’을 논하면서 이르기를, ‘십년을 이역(異域)에서 보내셨으니, 만리(萬里)나 되는 사막이로다."(중략)

 

하니, 답하기를, "글씨를 청한 위절(委折)을 지금 비로소 상세히 밝혔으니, 유신의 소어(疏語)를 깊이 혐의할 필요가 없다. 안심하고 사직하지 말라." 하였다.

 

 

지통재심 일모도원 (至痛在心 日暮途遠) 

 

경기도 가평 조종암에도 송시열의 글씨가 있습니다.

http://blog.daum.net/12977705/8726862?category=5133

 

 

효종대왕 사 백강 이상국 비사 (孝宗大王 賜 白江 李相國 批辭)

 

 

신 송시열 00000

원 00 상국 이 대인선생

 

까막눈이라 전체를 확인 할 수 없지만

왕조실록을 참조하면 송시열의 글씨이며, 효종이 백강선생을 대인선생이라고 칭했다는 부연 설명 같습니다.

 

 

 

 

 

대재각

여러 차례 부여 답사 때에도 인지 못했던 곳으로, 가평 조종암 답사기 준비 중에 알고 찾았습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부산서원 근처에 주차 후 마을 안길, 백마강 변, 부산을 잇는 둘레길을 통하여 잠시 발품을 팔면 백마강 풍광이 눈에 들어 옵니다. 기회가 되면 효종과 우암 그리고 백강 선생의 북벌에 대한 염원을 기리며 발걸음 하길 바랍니다.

 

아울러, 여유가 있으면 진변리의 석조비로자나불좌상도 뵙길 권합니다.

http://blog.daum.net/12977705/8724594?category=5169

 

2020.10.08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