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대웅전 목조삼세불. 나한전 부처님과 나한상을 뵙지 못 했습니다. 상세 글은 아래 옛글로 대신합니다.
목조삼세불좌상 2013년 도유형문화재로 지정 제가 상주사 답사 후 5년이 지나 지정되었습니다.
중앙 석가여래, 왼쪽 약사여래, 오른쪽에 아미타여래 17세기 초반의 불상으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삼존불 설명은 문화재청 홈페이지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석가여래 "나발의 머리 위에 육계가 표시되었고 얼굴 형태가 원만하며 양 미간, 콧날, 입술이 정제되어 있으며, 미간의 백호는 수정이며 양쪽 귀는 짧은 편이나 목에 삼도가 돌려 있어 인자하면서도 근엄한 인상이다. 법의는 양쪽 어깨에 걸친 통견인데 오른쪽은 법의가 바깥쪽으로 펼쳐져 팔이 안쪽으로 노출되고 있고, 오른쪽 팔 밖으로부터 배꼽 앞을 거쳐 큼직한 원호를 그리고 길게 늘어져 양쪽 무릎을 덮고 있다. 가슴에는 군의와 군의대가 보이는데 별다른 장식은 없고 사선으로 한겹 접혀 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오른쪽 무릎 위에 놓아 촉지인을 취하고 있으며 왼손은 결가부좌한 오른쪽 발바닥 위에 놓아 상장하여 엄지와 중지를 잡고 있으며, 하면은 널찍한 목판으로 막음하였다."
아미타여래좌상 "나발의 머리 위에 육계가 표시되었고 얼굴 형태가 원만하며 양 미간, 콧날, 입술이 정제되어 있다. 이마의 백호는 수정이며 양쪽 귀는 짧은 편이나 목에 둘러진 삼도가 잘 어울려 인자하면서도 근엄한 인상이다. 법의는 양쪽 어깨에 걸친 통견으로 길게 흘러 배꼽 앞을 거쳐 큼직한 원호를 그리고 양쪽 팔에 걸친 옷은 길게 늘어져 양쪽 무릎을 덮고 있다. 가슴에는 군의와 군의대가 사선으로 한겹 졉혀 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어깨 높이까지 들어 외장(外掌)하여 엄지와 중지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결가부좌한 오른쪽 발꿈치에 놓고 상장하여 엄지와 중지를 잡고 있다." "나발의 머리 위에 육계가 표시되었고 얼굴 형태가 원만하며 양 미간, 콧날, 입술이 정제되어 있다. 이마의 백호는 수정이며 양쪽 귀는 짧은 편이나 목에 둘러진 삼도가 잘 어울려 인자하면서도 근엄한 인상이다. 법의는 양쪽 어깨에 걸친 통견으로 길게 흘러 배꼽 앞을 거쳐 큼직한 원호를 그리고 양쪽 팔에 걸친 옷은 길게 늘어져 양쪽 무릎을 덮고 있다. 가슴에는 군의와 군의대가 사선으로 한겹 졉혀 있다. 수인은 오른손을 앞에 놓아 상장하여 엄지와 중지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어깨 쪽에 수평으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잡고 약병을 받들고 있다."
보궁형 닫집 후불도는 아미타도이며, 세존응화이천구백사십구년 임술년世尊應化 二千九百四十九年 壬戌 (1922년) 봉안되었습니다.
석조부재 2008년에는 옹기도 올려 놓았었는데... 뒤집한 석탑 옥개석(추정) 인물상이 새겨진 장방형 부재 방형 부재 석탑 옥개석 후보물 석재 불상
석탑 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하고 2단 층급 받침 크기와 층급받침으로 미루어 최상층 옥개석으로 추정 됩니다.
방형 간주석 두 면에 인물상을 새겼으며, 한 면에는 명문이 남아 있습니다. 옛글에는 신사4년 4월 25일 화사 덕인 申巳年四 月二十五日 化士德仁로 기술하였지만(한국전통사찰정보에서 발췌?) 신사申巳년은 육십갑자에 없습습니다. 따라서 신사辛巳년으로 추정되며 서기 1761년,1821년,1881년,1941년에 해당됩니다.
이 석조부재는 옥개석 2개는 확실하지만 인물상이 새겨진 부재와 위의 방형 부재는 정확한 용도를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불을 밝히는 관솔을 올린 노주석의 간주와 상대석으로 추정할 뿐 입니다.
나한전 석조삼존불과 16나한 나한에 어린 전설(아래 옛글 참조)로 미루어 1834년 이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석가여래도 후불벽화는 대정오년일월(大正午年一月)년 서기 1916년 작품입니다.
수령 300년이 넘은 배롱나무 두 번의 짧은 만남 언제 다시 만날 수 있을지...
2019.08.17 |
아래는
2008년 글
군산시 서수면 취동리 상주사. 창건에 관하여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606년(진평왕 28)에 혜공대사가 창건했다고 한다. 그 뒤 고려시대인 1362년(공민왕 11)에 나옹 대사가 중수했다고 한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641년(인조 19)에 취계대사가 3차 중수했고 1762년(영조 30)에 학봉선사가 4차 중수했다. 그러나 이러한 절의 연혁을 증명할 만한 중수기 등의 기록이나 유물 등은 현재 전혀 남아있지 않다.
특히 창건 무렵인 신라 진평왕 때의 이 지역은 백제 무왕 7년에 해당하는데, 백제지역에 신라의 혜공대사가 와서 창건했다는 점은 신빙성이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삼국유사』등에서 보이듯 신라의 혜공대사는 신비한 능력을 가지고 있던 탁월한 고승이었기에 아마도 후대의 언젠가 절의 창건을 혜공대사에 붙인 것이 아닌가 한다...전통사찰정보
상주사란 나라님이 이절에 행차한 일이 있어 나라의 기둥이 되는 절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전해오는 바에 의하면 절의 이름은 본래 상주사(上住寺)였는데 고 려말 공민왕이 이 절에 들러 나라의 안녕을 비는 기도를 했던 것이 인연이 되어 절 이름을 바꿨다는 것이다.
즉 그동안 윗사람이 머문 절이라는 의미에서‘나라의 기둥’이 되는 절로 바꾼 것이다. 결국‘머무를 주’자를 ‘기둥 주’자로 바꾸어 상주사(上柱寺)라 하게 되었다고 한다.
사랑초님은 큰길에서부터 내내 길이, 분위기가 너무 좋다며 흥얼거린다. 하루종일 운전해주어 내가 고마워 해야 할텐데 이런 길을 알려주어 너무 좋다고 말씀하시어 어쩔줄 모르겠더라. 전남지방 사찰 처럼 상주사에도 사악한 중생을 검문하려는 듯 벅수가 눈을 부아린다.
참 정겹고 포근한 중정이다. 좁은 듯 하며 넓고, 넓은듯 하며 아늑한 마치 둥지 같은 분위기다. 조붓조붓한 전각, 절집 전체를 품고 있는 배롱나무와 느티나무(?) 그늘아래 머리를 눕히고 스치듯 지나가는 바람을 따라 성불사의 밤 이든 송학사든 좋아하는 노래를 흥얼거리고 싶다. 이런 분위기라면 고음에 무리가, 저음에 차질이 생기고 음정이 널뛰기가 되더라도 프리마돈나가 부러울 까닭이 있을까?
도 유형문화재인 대웅전 내외부를 살펴보려고 했지만 법회중이라 다음에 인연을 지어야 했다. 석가여래 아미타 약사여래를 봉안한 대웅전은 3*3칸 다포식 팔작지붕이다. 대웅전은 공포나 내부의 천장 보 등의 조각이 빼어나게 아름답다고 한다.
공포의 쇠서 윗머리에 조각한 용머리 장식, 공포의 사이사이 화반에 그려진 여래좌상, 내부 천장 보에 조각하여 붙인 게ㆍ물고기ㆍ연봉 조각, 천장의 네 귀에 달린 연등 모양의 조각, 금방이라도 날아갈 듯 생동감 있게 조각된 여의주를 입에 문 용 모양의 전패목 등 어떤 것 하나도 놓칠 수 없을 만큼 그 섬세한 수법이 인상적이라고 한다.
나한전 내부에는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미륵보살과 제화갈라보살을 봉안하여 삼세불을 모셨다.나한전은 예부터 영험이 많기로 소문나 있었으며, 여기에 모셔진 16나한상은 그에 얽힌 일화도 간직하고 있다.
1834년에 상주사 주지와 임피 현감 민치록의 꿈에 갓을 쓰고 흰 옷을 입은 세 사람이 세 차례나 계속하여 나타나, '지금 나포 앞바다에 떠 있는 배에 존상이 있으니 그 존상을 가져다가 높은 절에 모시면 나라가 태평해질 것'이라고 하였다. 알아보니 과연 나포 앞바다에 주인 없는 빈 배가 있고 그 안에 꿈에서 들은 바와 같은 존상이 있어서 이를 모셔와 봉안한 것이 바로 나한전의 나한상이라고 한다.
느티나무 아래 법종각 앞에 묘한 노주석이 보인다. 노주석 위에 석탑 부재와 독을 올려 놓아 엉망진창 된 추악한 몰골이다.
노주석은 지대석의 방형 간주에는 인물상(?)을 새기고 마치 책상을 들고 벌서는 특이한 형태이다. 나머지 면에 선각된 3행, 13자의 명문은 다음과 같다. 申巳年四 月二十五日 化士德仁
강화 정수사 나부상, 범어사 원통전 인물상 처럼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한자락 없을까?
참말로 궁금타!!
사랑초님에게 물을려고 찾아도 보이지 않더니 장독대 옆에 계시네.
세월이 이따금 나에게 묻는다... 류시화
2008.07.06 |
'전라북도 > 군산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산...취성산 불주사 (0) | 2019.09.18 |
---|---|
군산...오성산 일광사 (0) | 2019.09.17 |
군산...염불사 소조여래좌상. 석조나한상.청동여래입상 (0) | 2019.09.17 |
군산...운심사 부도 (0) | 2019.09.16 |
군산... 탑동 삼층석탑 (0) |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