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대구시

대구...서봉사 목조지장보살좌상.지장시왕도.괘불도

임병기(선과) 2019. 5. 20. 08:31
300x250
300x250

 

 

 

초파일

아미타괘불도가 뵙고 싶어 찾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줄을 서서 참배하고 있어 근접하여 뵙지 못하였으며, 화기도 쉽게 촬영할 수 없었습니다

또한,지장탱화도 아직까지 수리가 끝나지 않아 인연을 미루어야 했습니다.


 

명부전 목조지장보살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지장보살상의 대좌에서 발견된 조성기록을 통해, 조각승 승일을 비롯한 9명의 조각승들이 1665년 3월에 시작하여 5월에 완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불상들은 원 봉안처 경상북도 상주 용흥사로부터 이안된 불상들로, 전체 29구가 완비되어 있다. "

(위키백과 발췌)


 

  

조각승 승호(최선일.2010년)

"승호가 제작한 불상은 개별적으로 조사되었지만, 그의 활동과 불상 양식에 대한 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각승 승호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 1640년에 수화승 청허와 경남 거창 연수사 목조아미타불좌상(현재 거창 포교원 봉안)을 제작한 것이다. 그는 1655년에 수화승 도우와 경북 칠곡 송림사 배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제작하고, 1657년에 칠곡 송림사 대웅전 목조석가불좌상과 1668년에 경북 경주 기림사 대웅전 기와 제작에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그후 승호는 수화승으로 1678년에 경북 청도 화악산 천주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과 석조지장보살좌상(현재 청도 덕사 봉안)을, 1684년에 부산 기장 장안사 석조아 미타삼존불좌상을, 1688년에 경북 군위 인각사 석조석가삼존불과 16나한상 등을 만들고, 1704년에 경북 영천 수도사 노사나불괘불도 조성에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1707년에 수일, 두심 등과 전남 장흥 보림사 신법당신법당(新法堂)불상 개금과 불화 개조(改造)에 참여하였다. 그와 관련된 마지막 문헌은 1719년 경주 기림사 중수·도금발원문에 승호영가(勝浩靈駕)라는 문구를 통해 1717년부터 1719년 사이에 열반에 들었음을 알 수 있다.


승호가 제작한 석조불상의 높이와 무릎 너비는 1:0.62-1:0.80으로, 조선 후기에 목조불상의 신체비례와 유사하다. 승호는 주로 응진전과 지장전에 불상을 제작하였는데, 이는 중소도시 사찰의 부속 전각이 1670~1980년대에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높이와 무릎 너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이에 비하여 무릎 너비가 넓어지고, 신체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난다.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대의 처리는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끝자락이 U자형이나 V자형인데, 수연과 수일이 조성한 불상은 펼쳐지거나 U자형으로 처리되어 차이가 있다. 특히,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하반신에 걸친 옷자락은 복부에서 수직으로 흘러내린 끝부분이 옷깃 같이 접혀 있다.

 

조각승 승호의 계보는 道祐(道雨, -1633-1664-) → 勝浩(勝湖, -1640-1719경-), 尙倫(-1657-1688-), 呂岑(-1678-1688-) → 守日(守-, -1675-1730-), 守衍(-1681-1709-), 守宗(-1684-1685-), 法宗(-1684-1730-) 등으로 이어졌다. 특히, 조선후기 제작된 석조불좌상은 영남의 승호와 호남의 충옥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이 활발하게 제작하였다. 조선후기 제작연대를 알 수 없는 무기년명 불상 가운데 양산 신흥사 대광전, 울주 석남사 대웅전, 대구 동화사 영산전, 부산 육주사(통도사 성보박물관 봉안), 달성 용연사 영산전, 달성 북지장사 대웅전(석조보살좌상), 청도 대비사 대웅전, 창원 성주사 영산전, 고성옥천사 대웅전 등의 석조불좌상은 전체적인 인상이나 대의 처리 등에서 승호와 그 계보 조각승이 1680년부터 1720년 사이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위에 언급된 승호의 작품은 대부분 블로그에 실려 있습니다.



시왕


(지장시왕도...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지장시왕도

"1741년(영조 17)에 조성된 불화이다. 18세기에 직지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세관(世冠)을 수화승(首畫僧)으로 삼아 삼옥(三玉)·월륜(月輪)·서징(瑞澄)·순간(舜侃)·존혜(尊惠)·우평(宇平)·응잠(應岑)이 동참화승으로 참여해 조성하였다. 불화는 상축과 화면을 잇는 부분이 일부 분리되어 있고 화면 곳곳에 가로로 꺽인 부분과 안료의 박락, 얼룩 및 변색이 있다. 그러나 비교적 원형이 잘 보존된 편이며 화기가 잘 남아 있어 조성 배경을 살필 수 있다. 화기에 의하면 이 지장시왕도는 1741년 5월에 유명회(幽冥會: 유명은 저승, 유명회는 지장보살의 설법도를 의미함) 불화로 조성해 남장사의 무량수전에 봉안하였다고 한다."(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 발췌)

 

현재 복원 중입니다.



아미타 괘불 .1960년

화기에 의하면 불기 2987년 경자년에 조성


증명 비구. 고송 古松(1906~2003)

경북 영천 출생인 고송스님은 1920년 팔공산 파계사에서 상운스님을 은사로 출가, 1923년 용성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으며, 조계종 감찰원장, 파계사 주지를 역임했으며 파계사 조실을 맡아왔다. 최고령 조계종 명예원로의원인 스님은 19세에 통도사 선방에서 정진을 시작으로 25세가 되던 1930년부터 15년동안 금강산 마하연과 유점사, 신계사를 거쳐 묘향산 보현사에서 선지식들과 수행정진했다. 망월사 30년 결사에도 동참했으며 일제 강점기 때 불교잡지를 만들던 만해스님을 돕기도 했다.

 

회주.학봉 鶴峯


편수 片手

퇴운 일섭 退耘 日燮


일섭 스님(1900~1975).

하지만, 처음에는 일섭스님은 금용으로 널리 알려져 있어, 같은 분인 줄 몰랐습니다.

즉, 법호는 퇴운退耘이며, 금용金蓉은 화호이었습니다.

 


금어 金魚

일월창영 壹月昌英

춘호 준주 春湖俊柱.금용 일섭의 제자

 

 

공식적으로 확인하지 못 했지만

괘불도를 전시하는 전각을 세운다고 하였으며,

지장도는

내년 초파일 즈음에 복원수리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19.05.12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