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300x250
사자산 신흥사 529년(백제 성왕 7)에 진감(眞鑑)국사 혜소(慧昭, 774~850)스님이 창건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이후의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300여 명의 스님이 머물렀던 대찰이었다고 한다. 조선후기 영허(靈虛, 1816~1874)스님과 월영(月影) 스님이 중창했다고 전한다. 일제강점기 때는 운흥사로 불렀다.
대웅전 정면 3칸, 측면 3칸의 다포계 맞배지붕이다. 정면은 겹처마이며. 후면은 홑처마이다. 어칸은 4분합 빗살문, 양협칸은 3분합의 빗살문으로 기둥에는 배흘림이 뚜렷하다·
목조삼존불 조선후기의 목조삼존불로 전하나, 발원문,조성기 등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아미타탱.1922년
대웅전내에 명부전을 두었다. 목조지장보살좌상. 조선후기로 전한다.
목조석가여래 나한전을 대웅전 내에 모셨다. 석가여래,나한상은 조선후기에 조성되었다고 한다.
신중도.1916년
산신각
영허당靈虛堂(1816~1874)부도
기단부 하대석과, 상대석이 별석으로 복련과 앙련을 조식하였다.
탑신 상부에 복련을 새기고연봉형 보주를 올렸다.
월영당탑 月影堂 부도 영허당 부도 이후의 부도로 보인다.
기단부 방형대좌에 복련을 조식하고 2단 괴임을 새겼다.
탑신에 비해 팔각 옥개석이 둔중하다 옥개석 하단에 앙련이 표현된 부도는 처음 보는 것 같다. 내림마루 모서리에 고사리(?)문양을 새겼으며,위에 괴임과 보주를 올렸다.
2016.10.20 |
300x250
300x250
'전라북도 > 임실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실...용오산 죽림암 (0) | 2017.07.22 |
---|---|
임실...도통암 마애여래좌상 (2) | 2017.07.21 |
임실...성수산 상이암 (0) | 2016.11.06 |
임실...덕계리 선각마애여래입상 (0) | 2016.09.03 |
임실...용정리 석불 (0) | 2013.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