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선에서 바라본 염불암
동화사 마애불 답사기는 여러번 올려 문화재청과 전통사찰정보로 대신한다.
거대한 화강암(花崗岩)의 서쪽면에 위치한 이 불상(佛像)은 높이 4m의 선각(線刻)으로 된 여래좌상이다. 천상세계(天上世界)에 있음을 나타내는 운문(雲紋) 위의 앙련연화좌(仰蓮蓮華座) 위에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있고 머리는 소발(素髮)에 육계(肉계)는 작은 편이다.
두 눈은 선각으로 가늘게 뜨고 있으며 코와 입은 두툼하게 나타내고 입가에는 약간의 미소를 띄고 있다. 얼굴의 둔중함과 기형적인 조각수법 등으로 이례적(異例的)인 보살상이며 깊게 팬 옷주름이 양무릎을 덮어 좌우 연화좌의 선각과 잘 어울리는 조각수법은 희귀한 예라 할 수 있다.
또한 미간(眉間)은 뚜렷하지 못하여 남쪽 불상과는 다른 인상을 주고 있다. 연화좌의 높이에 비해 양무릎이 넓어 균형은 잡히지 않고 있으나 안정감을 보이고 있고, 특이하게도 반나형(半裸形)의 형식화된 선각이라도 연화좌의 정교한 수법과 도식화된 조각수법이 주목되는 작품이다.
보살상은 높이가 4.5m이며 법의는 하부로 길게 흘러내려 양무릎이 노출되지 않고 있다. 부채꼴의 보관(寶冠)을 쓰고 두 볼과 턱은 퉁퉁하여 둔중감을 나타낸다. 입과 코 사이의 인중이 붙어 있는 듯하여 기형적인 인상을 주고 있다. 오른손은 복부(腹部)에 평행으로 들어 엄지와 약지로 보상화(寶相化)를 잡았는데 꽃잎은 그 위의 보관까지 광벽(光璧)에 뚜렷이 조각했다.
보살좌상은 4.5m에 달하는데 보살좌상의 법의가 눈길을 끈다. 대개의 보살상들은 천의와 군의를 몸에 걸치는데 반해 이곳의 보살상은 법의를 우견편단으로 걸치고 있기 때문이다.
얼굴의 둔중함과 기형적인 조각수법 등으로 이례적(異例的)인 보살상이며 깊게 팬 옷주름이 양무릎을 덮어 좌우 연화좌의 선각과 잘 어울리는 조각수법은 희귀한 예라 할 수 있다
동화사에 딸린 암자인 염불암 안마당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청석탑이란 벼루를 만들던 점판암을 이용해 만든 탑인데, 이 탑은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바닥돌 이외에는 모두 이 재질의 돌이 쓰였다. 탑은 3단의 바닥돌 위에 쌓아 놓았는데, 세울 당시에는 기단(基壇)과 탑신부(塔身部)의 몸돌들이 있었을 것이나 지금은 10개의 지붕돌만이 포개진 상태이다.
지붕돌은 파손이 심하여 곳곳에 작은 돌을 괴어 놓았는데 그 모습이 안쓰럽다. 지붕돌은 밑면에 2단씩의 받침을 두었으며, 윗면에 느린 경사가 흐른다. 또한 두께가 얇고, 네 귀퉁이에서 곡선을 그리듯 한껏 들려 있어 경쾌한 멋을 이끌어낸다. 지붕돌의 비례는 그리 아름답지 않으나, 넓다란 바닥돌 위에 세워 놓은 작은 규모의 탑으로서 안정감이 느껴진다. 청석탑이 널리 유행하던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측된다.
높직한 절벽에 새겨진 이 마애불상은 하늘에서 막 내려오는 듯 나는 구름을 탄 개성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부피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교적 풍만한 모습이며, 이목구비(耳目口鼻)도 뚜렷한 편이다. 안정된 비례, 양감(量感)있는 체구, 다소 굴곡있는 신체표현,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두 손, 조밀한 통견(通肩)의 불의(佛衣) 등은 무척 세련된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서 8세기 불상의 면모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화려한 연꽃대좌나 광배(光背)의 번잡한 불꽃무늬, 밀집의 옷주름이나 신체형태에 나타난 약간의 형식화(形式化) 등에서 9세기 이후의 통일신라(統一新羅) 하대(下代)의 양식적(樣式的) 특징도 엿보이고 있는 것이다. 어쨌든 이 불상은 오른쪽 발을 쑥 내민 유희좌적(遊戱坐的)인 대담한 자세, 활활 타오르는 듯한 불꽃무늬, 힘차게 비상(飛翔)하고 있는 구름 등의 표현에서 활기차고 생동감 넘치는 뛰어난 불상으로 당대(當代)를 대표하고 있다.
2009.11.21 |
'대구광역시 > 대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공산 순환도로변 석탑 (0) | 2010.01.19 |
---|---|
대구...삼성암지. 신무동마애여래좌상.원효암 마애불.용수동 (0) | 2010.01.15 |
대구...동봉마애약여래입상. 팔공산약사여래좌상 (0) | 2010.01.10 |
팔공산 자락의 마애불 (0) | 2010.01.07 |
대구...읍내리 마애불상군 (0) | 2009.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