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울주군

[스크랩] 울산 / 천전리 암각화, 반구대

임병기(선과) 2008. 6. 6. 13:13
300x250
300x250

병도 깊은 병이다.

 

어디를 가다가도 불현듯 들리고프면 방향을 꺽는다.

울산을 다녀오다 언양에서 내려 잠시 바라보고 왔다.

 

가끔씩 전생을 그려본다.

내가 무얼 했던 놈인지...

이 곳  암각화는 내 작품이 아닐까?

 

천전리 암각화

 

암각화는 고인돌과 더불어 청동기 시대의 유산이다.

계급 형성과 무관하게 나약한 인간은 대자연의 힘을 거슬릴 능력이 없었기에 의지처가 필요했다.

 

생명 보존, 중족의 번성을 위해서는 풍요와 다산을 최고의 가치로 인식하여

性을 상징하는 문양과, 하늘에 제사를 모시는 의식과 관련된 문양을 바위면에 새겼다.

 

천전리 암각화는 선사시대부터 신라시대에 이르기 까지 여러 사람이 다양한 문양으로

그들의 생활 모습을 새겨 놓았다고 한다.

 

대곡천

 

청동기 시대부터 유목 생활을 청산하고 정착 생활을 하게 되지만 경작과 수확이 용이하고

물이 풍부한 곳을 택해 공동체를 형성했을 것이다.

 

아마 대곡천과 멀지 않은 곳에 그들의 보금자리가 있었겠지...


암각화 세부(1)

 

마름모꼴 무늬다.

물결문양과 더불어 풍요로움을 상징한다.

암각화 세부(2)

 

동심원은 태양을 상징한다. 

농경사회에서 하늘과 물보다 소중한 대상은 없었을 것이다.

 
암각화 세부 (3)

 

물고기, 사슴,사람얼굴

그리고

세월이 흐른 후 신라 시대 작품으로 추정하는 그림, 글씨


반구대

 

건널 수 없으면 어때?

때로는 멀리서 바라보는 맛이 그윽한데, 애잔한 눈동자를 보낼 수 있고...

 

사람, 사슴, 양, 맷돼지,들소, 호랑이

여러 종류의 고래, 포경 도구

.

.

.

입구 거북 모습 구릉 바위에

포은,회재,한강 선생도 흥에 겨워 일필휘지로 휘날렸을 것이다.


공룡알 유적지

 

바위에 글,그림을 새긴 옛님들도 스쳐지났으리라....

 

언제쯤 머무름을 즐길 날이 올까?

죽순 향 가득한 대숲  속에서...

 

2006.06.12 

출처 : 저 산길 끝에는 옛님의 숨결
글쓴이 : 선과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