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예산군

예산...대술면 행정복지센터 석탑 부재

임병기(선과) 2024. 12. 13. 12:47
300x250
300x250

대술면 행정복지센터 정원

석탑 기단중석 1매, 옥개석 2매, 기단 갑석 1매, 탑신석 1매가 있습니다.

기단 중석

우주, 탱주가 있으며, 우주보다 크게 모각된 탱주를 기준으로 한쪽에 신장(?)상을 새겼습니다.

이런 유형은 처음 접한 것 같습니다.

 

참고로 인제 갑둔리 삼층석탑 기단 중석의 한쪽 면은 안상을 새기지 않았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8485

 

강릉 관음리사지 석불 대좌로 추정되는 부재에도 한쪽면을 비워 둔 사례가 있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8437

다른 쪽 우주를 함께 모각했습니다.

신장상

신장상은 대좌 위에 서서  오른손으로 창(?)을 잡고 있으며 두광이 있습니다.

본래부터 각 면에 한 구만 조성하여 신장 4분만 새길 목적이었는지 아니면 반대편에는 사천왕상을 새기려고 했을까요?

옥개석(1)

탑신 받침 생략. 절수구 없이 3단 층급받침(하부에 손을 넣어 확인하였습니다)

옥개석(2)

낙수면 물매가 깊지 않습니다.

기단갑석

아래로부터 호호각 3단 받침. 중앙 호각이 큽니다.

탑신석

옥개석과 갑석 크기로 추정하면 초층 탑신석으로 추정됩니다.

한돌이며, 우주를 모각하였고, 상부에 사리공이 있습니다.

사리공

어떤 부재일까요?

위 석탑부재는 아닐 것 같습니다.

상층기단 중석에 신장상을 새기고 하층기단 중석에 석불을 새기지 않았을 것입니다.

석탑부재

분명히 절터에서 옮겨왔을 텐데

예산군 문화유산분포지도, 국가 문화유산청에서 발간한 사지 총람, 한국의 사지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잊히기 전에 탐문하여 본래 있었던 사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부재는 고려 중기로 추정되지만 어떠한 근거도 없습니다.

 

2024,11.06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