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115

부산...부산시민공원 석불. 표시석

부산 시민공원 캠프 하야리아가 철수하고 시민공원이 자리 잡았습니다. 석불과 표시석은 군부대 문화재 자료 검색 중에 우연하게 인지 후 찾았습니다. 석조 비로자나 삼존 중앙 비로자나 좌상을 본존으로 보살 입상을 좌우 협시불로 모셨습니다. 사진상으로는 고불로 생각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조성된 전형적인 88야불형의 불상으로 광배와 일석이며, 두광을 표현하였습니다. 안내문에는 이곳에 1,930년 부산 경마장이었으며, 말 주인과 기수가 위령, 공양제를 올려 병사한 말의 영령을 위로하고, 말들의 건강을 염원하며 제를 올렸던 불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안내문 반가부좌 비로자나불보다는 유희좌처럼 느껴집니다. 안내문에 의하면 마두 관음보살도 함께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로자나불 광배와 일석으로 연화 좌위에 모신..

부산...사자암 석조보살좌상

범어사 사자암 석조보살좌상 몇 년 전 찾아왔으나 개금불사 회향을 앞두고 개방하지 않아 발길을 돌린 적이 있었습니다. 석조보살좌상 조성 발원문을 통해 1904년(광무 8) 조각승 병혁(柄赫)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가운데가 솟은 삼각형 모습의 낮은 보관을 썼으며 보계가 높고 보발이 어깨 위까지 길게 늘어졌습니다. 방형 상호, 백호가 있으며, 코는 높지 않습니다. 선정인 수인, 이중착의법의 법의. 완천과 팔찌를 착용하였으며, 무릎이 높아 안정감이 있습니다. 보관까지 하나의 돌로 제작되었다고 합니다. 조각승 병혁(柄赫) "20세기 전반기에 불화를 그렸던 화승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 사자암 불상을 통해 불교 조각에도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불화로는 1904년 수화승 상휴와 경상남도 양산 통도사 ..

부산...범어사 부도전

범어사 부도전 오늘은 부도전 아래에 위치한 담해당, 송산당 부도를 찾기 위해 순례하였습니다. 범어사 부도전 범어사 부도전 http://blog.daum.net/12977705/8726283 담해당 덕기. 송산당 무근 종사 범어사 부도전 아래에 위치 담해당 덕기 대선사 방광탑 湛海堂德基大禪師 放光塔 (사진 출처:범어사 성보박물관) 담해당 덕기 湛海堂德基 (1,860~1,933) "울산 출신으로 속성은 이씨이며, 휘는 덕기, 당호는 담해(湛海)이다. 18세에 출가하여 우봉 대사(友鳳大師)의 수법 제자(受法弟子)이며 태고(太古) 보우(普愚)의 19세손으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두 차례에 걸쳐 범어사 주지를 역임하였습니다 범어사에 소장된 불화의 화기에 의하면, 1905년 팔상전 아미타 후불탱(八相殿阿彌陀..

부산...범어사 성보 박물관 불화

범어사 성보박물관 실내는 처음으로 들렸습니다. 불화를 비롯 볼품없는 사진을 올리니 답사 기회가 되면 참조하십시오. 지국천왕 同治八年己巳. 고종 6년(1869) 다문천왕 同治八年己巳. 고종 6년(1869) 범어사 신중도 금어, 민규(玟奎). 1891년 한국전쟁 때 미국으로 반출, 2019년 환수. 범어사 청풍당 아미타 극락 회상도 철종 11년(1860) 범어사 아미타 극락 회상도 철종 11년(1860) 청풍당 극락 회상도와 동년, 동일 금어 작품으로 추정 범어사 지장시왕도 1,941년 범어서 26 보살도 1,887년 마하사 영산회상도 1,906년 장안사 응진전 영산회상도 1,882년 범어사 관음전 백의관음보살도 1,882년 금어 연 金魚輦 480일, 24개 분야, 무형문화재 및 장인들이 설계, 제작 2,0..

부산...인성암 석조보살좌상

인성암 울산 서생에 있는 절집입니다. 2,017년(?) 석조보살을 뵙기 위해 찾아갔어나 글로 형언하기 싫은 일을 접했었며, 대웅전 중정의 물 위에 서있는 단칸 범종각만 떠오릅니다. 인성암 석조보살좌상 보관을 쓰고 있으며, 한가닥 보발이 어깨까지 흘러내렸습니다. 고개를 숙였으며, 방형 상호, 백호를 새겼고, 삼도를 표현하였습니다. 통견의 법의, 승각기는 수평으로 매듭지었으며, 군의는 무릎까지 부채꼴을 그리며 흘러내렸습니다. 수인은 항마촉지인이며, 일석으로 추정되는 손가락을 길게 표현하였습니다. 복장 유물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조선후기 불상으로 전하며, 울산광역시 문화재 자료 18호입니다. 2020.11.24

부산...장유암 석조여래좌상

김해 장유사 석조여래좌상 범어사 성보박물관에 계십니다. 2,013년 장유사를 들렸으나 불상은 뵙지 못했습니다. 글에는 오류가 있지만 그대로 가져왔습니다. http://blog.daum.net/12977705/8724102?category=5239 나발, 중간계주, 정상 계주를 표현하였습니다. 고개를 약간 숙인 조선후기 석불좌상으로 방형의 상호, 이마에는 백호가 있으며, 이목구비가 뚜렷합니다. 삼도가 보이며, 통견의 법의, 승각기는 수평으로 매듭지었습니다 이 불상에서는 가징 특이점은 별조로 끼운 듯 보이는 손입니다. 일반적인 항마촉지인의 오른손, 왼손이 서로 바뀌어 변형된 항마촉지 수인입니다. 비지정 문화재이며, 일견 경주 불석으로 추정되지만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측면 배면 2020.11.24

부산...범어사 원효암

2019년 5월 마지막으로 다녀온 글 말미에 다시 오겠다고 크로징하였던 기억이 떠오릅니다. 맞습니다. 당시에 놓쳤던 부도 1기를 뵈려고 달넘새님과 겨울 초입의 산길을 걸었습니다. 새로 인연 지은 부도를 제외하고는 옛글로 대신합니다. 원효암 http://blog.daum.net/12977705/8726284?category=5228 부도전 20세기 초반, 일제강점기 부도 입니다. 동 삼층석탑 서 삼층석탑 원효암 부도(1)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서 삼층탑 옆 승탑입니다. 원효암 부도(2) 오늘 인연 지은 님입니다. 서 삼층탑을 등지고 12시 방향 구릉 위에 자리하며, 하절기에는 숲으로 가려질 것 같습니다. 방형 지대석 복련을 새긴 하대석과 앙련을 새긴 상대석은 별 석입니다. 상대석 하부, 하대석 상부에 각..

부산...가덕도 외양포 일본군 포진지

가덕도 외양포 200년 초, 배를 타고 입도한 기억이 남아 있는데, 오늘은 마을에 있는 일본군 포진지를 답사하기 위해 부산 신항에서 차량으로 들어왔습니다. "외양포(外洋浦)는 본래 가덕도의 대항(大項) 바깥쪽 목[항:項]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외항포(外項浦)가 >올바른 표기이나, 공식 명칭은외양포 외양포로 바뀐 연유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 외양포는 예부터 나룻배가 닿던 포구였다. 해안 절벽 위에 형성된 두 곳의 패총지가 발견되어 오랜 거주 역사를 알게 한다. 일제 강점기 때는 일본 해군과 육군이 주둔하기도 하였는데, ‘헌병 새미’라고 하여 일제 강점기 일본 헌병들이 마셨다는 샘이 있고, 그 주변에 땅굴포 포대의 원형이 남아 있어 전략적 요충지였음을 알 수 있다. 인근에 두통포[큰 두통포..

부산...가덕도 눌차 항월마을 벅수

항월 마을 벅수 가덕도 동북쪽에 자리한 눌차도는 나지막하게 누워있는 모양이라서 붙여진 이름이다. 눌訥은 눌어붙다 라는 뜻이고 차次는 누우려고 하는 형세를 보이는 모습이라 한다. 산 정상에는 임진왜란 때 왜군 제6군으로 출정한 왜장 고바야카와 다카가게小早川隆景 가 축성한 눌차왜성이 남아 있다. "눌차 항월마을은 종패양식으로 유명한 곳이다 굴의 포자가 이곳 앞바다에서 왕성하게 활동하기 때문이다 통영 굴은 이곳에서 착란한 종패를 배로 싣고 가 통영 앞바다에서 양식하여 전국 최고의 굴 생산지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최근엔 이곳 정거마을이 벽화마을로 유명세를 얻기도 했다. 이곳 목넘어 마을 옛 해변 가에는 바다에서 용이 올라와 산으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있는 반석 위에 세워진 한 쌍의 돌장승을 볼 수 있다 원래는 통..

부산...명월산 흥국사

흥국사 오래전부터 극락전에 봉안된 사왕석을 뵙고 싶었으나 이제 인연 지었습니다. 1706년(숙종 32)에 증원(證元)이 찬한 「명월산 흥국사 사적 비문(明月山興國寺事蹟碑文)」에 의하면, 수로왕(首露王)이 48년에 고교(高橋) 밑에서 왕후 허씨(許氏)를 친히 맞아 들여 환궁하였는데, 이때 허씨는 입고 온 비단 바지를 벗어 이 산의 산신령에게 폐백을 올렸다. 왕은 허씨의 아름다움을 달에 비유하여 산의 이름을 명월산이라 하고, 명월사를 지어 새 왕조의 태평성대(太平聖代)를 기원하는 한편, 부인과 세자를 위하여 진국사(鎭國寺)와 흥국사(興國寺를 창건하였다. 그 이후 사적은 전하지 얺으며 1617년(광해군 9) 대웅전과 승당(僧堂)·요사채 등을 중건하였다. 1706년 승려 일원(一元)·일혜(一惠)·상진(尙眞)·응..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