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부산시

부산...명월산 흥국사

임병기(선과) 2020. 8. 28. 07:48
300x250
300x250

흥국사

오래전부터 극락전에 봉안된 사왕석을 뵙고 싶었으나 이제 인연 지었습니다.

 

1706년(숙종 32)에 증원(證元)이 찬한 「명월산 흥국사 사적 비문(明月山興國寺事蹟碑文)」에 의하면, 수로왕(首露王)이 48년에 고교(高橋) 밑에서 왕후 허씨(許氏)를 친히 맞아 들여 환궁하였는데, 이때 허씨는 입고 온 비단 바지를 벗어 이 산의 산신령에게 폐백을 올렸다. 왕은 허씨의 아름다움을 달에 비유하여 산의 이름을 명월산이라 하고, 명월사를 지어 새 왕조의 태평성대(太平聖代)를 기원하는 한편, 부인과 세자를 위하여 진국사(鎭國寺)와 흥국사(興國寺를 창건하였다.

 

그 이후 사적은 전하지 얺으며 1617년(광해군 9) 대웅전과 승당(僧堂)·요사채 등을 중건하였다. 1706년 승려 일원(一元)·일혜(一惠)·상진(尙眞)·응준(應俊) 등이 중수하였는데, 그때 담 밑에서 건강 원년(建康 元年, 144) 3월에 장유화상(長遊和尙)이 서역에서 들어와 불도를 전하니 왕이 중신숭불(重信崇佛)하였다는 명기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조선 후기부터는 한동안 폐사로 남아 있었는데, 김원두(金元斗)가 옛터를 되찾아 방치되어 있던 유적을 수습하였고, 1942년 승려 우담(雨潭)이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명 사왕석(蛇王石)이라고도 하는 이 석탑 면석은 명월사 옛터에서 1956년 흥국사 칠성각을 건립할 때 화강암으로 만든 석제품 조각 한 점과 함께 발견되었다. 폭 74㎝, 높이 52㎝, 두께 15㎝ 정도의 크기인데 중앙에 좌불(坐佛)을 양각하고, 그 좌우에 코브라 형상의 뱀이 불상을 옹호하듯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을 새겨 놓았다. 우리나라의 불교 조각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인도 불교의 남방 전래설을 증명하는 유물이라고 사찰 측에서는 보고 있다.(부산역사문화대전)

 

대웅전 불단

 

극락전.허왕후전

 

 

 

수로왕.허왕후

 

사왕석(蛇王石)

1,956년 칠성각 중수 중에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뱀인 줄 사전에 인지 못했으면 천의로 생각했을 것입니다.

 

여래와 뱀

팔부중의 마후라가가 스쳐가지만 양쪽에 2마리의 뱀이 있어 다르고, 

소발과 육계가 마치 보관처럼 보여 여래로 판단하기에도 애매합니다.

 

석탑 부재

석탑 부재라고 본 까닭은 향 좌측에 우주가 분명하여, 석탑 초층 탑신 또는 상층기단 중석 각면에 2구씩 조성한 여래상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정설은 아닌 듯합니다.

 

 

지물(?)

약합처럼 보이는데...

 

 

 

 

 

 

 

 

 

사왕석

"인도 야요디아에서 볼 수 있는 ‘무칠리디아’라는 사왕(蛇王)과 같고, 사왕이 열반 속에 잠겨 있는 불타를 보호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 자료도 많이 보입니다.

그래서,남방 불교 전래의 단서로 추정하는 설도 있는 듯합니다

 

 

신중도

佛紀 二千九百七十五年 九月日

1,948년

 

삼성각

 

칠성도

 

독성도

世尊應化二千九百七十一年甲申十一月 日

1,944년

 

산신도

世尊應化二千九百七十一年甲申 十一月日

1,944년

 

미륵전

 

미륵

지사동 신명마을과 지사마을 사이에 있었다고 합니다.

남녀근석으로 풍어, 풍농 기원의 대상으로 추정됩니다.

 

비석군

 

명월사 사적비(金海明月寺事蹟碑) 1,708년

 

 

가락국 태조왕 영후 유허비(駕洛國太祖王迎后遺墟碑).

1.956년

 

사적비를 새로 세운 듯합니다.

 

흥국사중건공로자기념비(興國寺重建功勞者紀念碑)

1,956년

 

수로왕과 허왕후

그리고

사왕석은 인도 아유타국과 가락국의 교류의 근거로 볼 수 있을까요?

 

2020.08.13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