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층석탑
2기 이상 석탑 부재의 조합으로 원래 위치은 확인되지 않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탑입니다.
복원 전에는 아래의 석탑 옥개석이 초층 옥개석. 탑신석이 초층 탑신석, 기단석이 맨 아래에 위치하여 4층 탑처럼 쌓여 있었습니다.
옛 부재
초층 탑신석, 기단부, 상륜부는 후보입니다.
지대석. 기단부
엇물림 결구
부연이 깊습니다
탑신부
3층 탑신석과 옥개석은 1석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88
1~2층 옥개석 상면 받침과 3층 옥개석 받침이 다릅니다.
복원된 상륜부
우리나라 여러 곳의 후보 된 상륜부와 동일합니다, 즉 특정 업체, 특정 인물이 조성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원 소재지를 알 수 없어 아쉬움이 큽니다.
위 3층 석탑을 복원하고 남은 부재입니다.
복원 전에는 기단~초층 옥개석으로 활용되었습니다.
탑신석. 4매 판석이며 본래 석탑부재 여부 불확실합니다.
옥개석. 2단 층급받침, 상면 1단 받침
받침석은 석탑부재가 아닙니다
오층석탑
제가 일제강점기 석탑으로 분류한 유형입니다.
'중석 갑석이 생략된 기단부(받침).. 단일 탑신석과 옥개석.탑신석 우주 생략. 옥개석 상면 탑신 받침 생략. 높은 우동. 추녀 상하 반전. 음각 추녀. 부연 생략. 5층 옥개석의 매우 급한 물매, 5층 옥개석과 보주 일석 등등'
그런데
비슷한 유형의 경기여고에 있는 제중원 석탑, 서울 법륜사 석탑은 다수 연구자들이 조선후기 양식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층 옥개석과 보주 일석
일제강점기 석탑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262
2025.03.14
이화여고 석탑은 송봉주 박사(선주거사)가 오래전부터 각종 문헌과 논문을 검색하여 답사하고 디테일을 기록하여 소장 중인 귀중한 자료의 하나입니다. 저도 지금까지 인식하지 못했으며 2026년 함께 출간 준비 중인 "한국의 석탑"서울 경기 인천 강원편에 실릴 예정입니다. 더불어 규격 등의 상세 내역은 서술하지 않았습니다.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이화여고 석등 外 (0) | 2025.04.06 |
---|---|
서울...청룡사 가사도. 비로자나삼신괘불도 (0) | 2025.03.04 |
서울...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0) | 2025.03.03 |
서울...보타사 마애보살좌상.금동보살좌상 (0) | 2025.03.02 |
서울...고려대학교 오층석탑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