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김천시

김천...백마산 고방사

임병기(선과) 2021. 12. 26. 17:53
728x90

고방사

아주 오랜만에 찾아 들었습니다.

기억마져 아득한...

 

오늘 부도 명문 촬영 목적으로 순례하였습니다

 

고방사(2010년)

https://blog.daum.net/12977705/8723300

 

일주문

옛 진입로에 위치하며, 바로 뒤편에 부도전이 있습니다

 

갑오 하 심산 윤종식(甲午夏 深山 尹鍾植)

2014년?

 

옹호문(擁護門), 사천왕문(四天王門)

숭정 기원후 재기미 십이월OO

 

서방광목천. 북방 다문천

 

동방 지국천. 남방 증장천

 

보광명전 중정

 

불대좌형 삼층석탑

근자에 조성하였지만 불대좌형은 흔치 않습니다

 

목조아이타삼존(1670년)

 

臺座墨書

康熙九年庚戌四月日慶尙道開寧縣南西 乞水山敲芳寺造緣 極樂敎主 阿彌陀佛 觀世音菩薩 大勢至菩薩 安于 緣化秩 證明 玄戒 持殿 妙演 畵員 勝日 性照 自圭 ○○ 思遠 士能 冶匠朴天 供養主 雪行 妙希 思益 雪訔 龍O 別座坦悅 化主思運 惟鑑 性湖 O金化主許福伊

 

승일이 수화승으로 참여한 불상입입니다.

"金泉 高方寺 보광명전에 봉안되어 있는 <木造阿彌陀三尊佛坐像 >은 1670년에 제작된 승일의 말기 작품이지만, 여전히 1650년대 후반 이후의 Ⅲ기 불상과 동일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승일의 가장 오랜 동료이자 제자인 性照가 차조각승으로서 참여하 였고, 1665년 송림사 三藏像 발원문에 마지막 조각승으로 기록 되었던 自圭가 3위 조각승으로 참여하였다. 高方寺 불상은 좌우 로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하고 있는데, 둘 다 바깥쪽 팔 을 높이 들고 있으며, 본존불은 오른손을 발 위에 낮게 둔 시무 외인을 짓고 있다. 좌우의 협시상은 팔을 들어 외곽으로 나갈 시 선을 차단해주며 중앙의 본존은 팔을 낮게 해 좌우 대칭의 중심 을 이루도록 하는 승일 작품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는 것이다. 본존의 얼굴은 1657년의 김천 북고사 불상처럼 상하로 약간 긴 형태이고 턱 끝이 부드럽게 튀어나왔으며 양쪽 뺨과 턱에는 양 감이 나타나 있다. 귀 상단 삼각와 부분에 ‘y’형의 강한 양각선이 표현되어 있는 점도 1650년대 불상들과 같다. 오른쪽 어깨에 걸쳐진 대의는 비스듬히 흘러 내렸고, 두 다리 사이의 옷주름은 폭 넓고 곡선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옷주름을 중심에 두고 좌우로 무릎까지 양각선이 뻗친 전형적인 형태이다. "(송은석. 2010년. 조각승 승일과 승일파의 조상활동에서 발췌)

 

아미타여래

 

대세지 보살

 

관음보살

 

아미타후불도

 

국가지정 보물이며 지정명칭은 아미타설법여래도입니다.

 

畵記

太淸 康熙二十七年戊辰六月日開寧 白馬山高訪寺留傳施主后錄陂隥 施主金世南兩主 波幀施主應春兩主 波幀施主李世奉兩主 絡纓施主柳氏單身 香袋施主李命萬單身 烏金施主馬礼奉兩主 黃金施主 姜壬生兩主 施主李宗業兩 主 寺內 呂祐比丘 呂淳比丘 後排施主天機比丘 哲訓比丘 緣化 證明崇憲比丘 持殿尙學 比丘 畵員敏圓比丘 竹䕺 比丘 竟粲比丘 覺林比丘 供養主廣心比丘 諟說比丘 贊眞比丘 助緣宗一比丘 別座道宗比丘 道宣比丘 大功德主 各各隨喜比丘與緣化比丘等 願以此 功德普及於一切我等與衆生 當生 」 極樂國同見無 量壽皆共成佛 道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1688년에 조성된 고방사의 후불화로서, 민원敏圓을 수화승으로 하여 죽총竹䕺, 경찬竟粲, 각림覺林 등 총 4명의 화승이 그렸다. 수화승 민원은 17세기 후반에 활약한 화승으로 알려져 있으나 현전하는 작품은 이 작품이 유일하여 작품의 가치를 한 층 높여준다. 보조화원 각림은 1656년에 조각승 무염과 더불어 완주 송광사 소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오백나한상을 조성하였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화면에 아미타불과 8대보살, 용왕과 용녀, 10대제자 중 6제자, 사천왕, 팔부중 일부 등을 배치한 간단한 구성을 보여준다. 본존의 키형 광배를 비롯하여 높은 육계표현, 천공 바탕에 표현된 花紋, 채운의 끝부분에 흰색을 칠해 강조하는 기법, 불보살을 제외한 존상 얼굴에 바림을 이용한 음영법 등 17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이 잘 드러나 있다.(사진 및 설명문.문화재청)

 

아미타도 뒷면

 

맷돌

 

부도전

조선후기 부도 2기, 근자에 모신 부도 1기

 

강희 삼년(康熙三年)명 부도

탑신을 제외하고는 팔각으로 조성된 부도입니다.

여러 자료에 팔각원당형 부도라고 기록되어 있지만, 부도 유형은 탑신이 기준입니다.

아쉽게도 조성 시기만 새겨져 있고, 부도 주인공 당호는 알 수 없습니다.

 

기단부

팔각지대석과 복련이 조식된 하대석이 일석

팔각 중대석

팔각 상대석

 

강희3년3월4일(康熙三年三月四日)

1664년

 

탑신석

옥개석 하부

이단 받침과 굷게 표현된 추녀

 

옥개석 

낙수면 물매가 급합니다.

연화보주는 옥개석과 일석입니다.

 

낙서당 부도

 

낙서당 대사(樂西堂大師之塔)

강희오십칠년오월일(熙五十七年五月日)
1718년

 

상륜부

탑신 상부에 앙련을 새겼으며, 일석으로 연화보주를 표현하였습니다

 

정광당

 

고방사 불교문화재 순례시에는 먼저 참배를 하고 스님의 허락을 받은 후 촬영하시면 됩니다.

 

2021.12.09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