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신무동 7사지 부인사 주차장 입구에서 동화산 방향 100미터 우측 도로변 소나무 부근(네비 신무동 66) 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오래전 답사를 하였으나 수풀이 우거져 있고, 경작지 때문에 먼발치에서 바라보고 발길을 돌렸었습니다. 문화재청 발간. 한국의 사지 발췌 "신무동사지7은 사명 및 연혁을 알 수 없는 곳이며, 일찍이 부인사지와 함께 조사되었다. 1960년 정영호의 조사보고에는 부인사 동쪽 약 300m 거리에 ‘金堂址 혹 은 極樂殿址’라 전칭되는 두 건물지가 있고 이곳에 석등 대석이 노출되어 있다고 하였다. 1964년 발표된 진홍섭의 조사보고에는 석등재 이외에 석탑 기단석 일부 와 옥개석 2매가 추가 보고되어 있다. 또한 부근에 방 치 또는 일부 매몰되어 있던 석불좌상 4구와 대좌 2기를 ‘傳稱 金堂址’에 옮겨두었다고 하였다. 이밖에도 비석편 1점과 용두가 조각된 석재편이 발견되어 경북대학교박물 관으로 옮겨졌다고 한다. 한편 1986년에는 부인사 일원 에 대한 전면 지표조사가 실시되었으며, 본 사지에 대해 서도 다시 조명되었다. 이 자료에는 ‘逸名寺址’라고 보고 되어 있는데, 조사 당시 사역 내에는 나말여초기의 초석, 불대석, 석등, 석탑 등이 산재하였고 석축도 곳곳에 남아 있었다고 한다." 위의 글을 발췌한 까닭? 고인이 되셨지만 불교미술 분야에서 큰 족적을 남긴 정영호님. 진홍섭님이 발굴을 했었던 사지었으며, 또 하나는 아직까지도 많은 자료에 일명사지逸名寺址를 사용하고 있으며 문화재지정명칭으로 등재되어 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서입니다. 일명사지逸名寺址 거의 모든 사람은 일명사(逸名寺)를 사찰 명칭으로 인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일명逸名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는(이름이 전하지 않는) 절의 일본식 표기인데도, 우리나라 많은 폐사지를 일명사지逸名寺址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혈기왕성했던 시절 관계기관에 여러번 건의 했지만 이제는 지쳤습니다. 부인사 석등 신무동 7사지에서 옮겨 온 석등입니다. 문화재청 홈페이지 글 여전히 일명암이 암자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니 신문, 잡지, 답사기,한국학중앙연구원 등등 모든 자료에 확인 없이 그대로 배껴 쓰고 있는 실정입니다. 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부인사일명암지석등 (夫人寺逸名庵址石燈) "부인사 절마당에 놓여 있는 석등으로, 이 절에서 200m 가량 떨어진 일명암이라는 암자터에 쓰러져 있던 것을, 이 곳으로 옮겨 복원해 놓은 것이다. 팔공산 부인사 http://cafe.daum.net/moonhawje/DjZP/2206 본론으로 들어 와서. 신무동 7사지 몇단의 축대로 구획되어 있지만 석탑지 외에는 구분이 모호하며, 그 뒤편이 금당지로 추정됩니다. 3단 축대 사진에 맨위가 석탑지 사지 측면 축대 하단 축대 고맥이돌과, 불대좌편이 유존 고맥이 불대좌? 정영호.진홍섭 선생이 불대좌로 판단한 부재 같습니다. 방형 대좌로 큰 안상이 조식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석불 방형대좌 http://cafe.daum.net/moonhawje/MebK/250 개인적으로는 석탑 상층기단 중석 느낌도 없지 않습니다. 석탑재 탑신석?. 짤린 중석? 장대석 건물지 축대 원형주초.고맥이돌 석탑지 하층기단 저석,중석이 일석인 부재 3매 상층기단 갑석 1매 하층기단 갑석 1매 지대석(?) 1매 가 흩어져 있습니다. 석탑지 석탑지 하층기단 저석.중석이 일석이며, 탱주 1,우주를 모각했습니다 하층기단 상층기단 갑석 .... 치석재 상층기단 갑석편도 아니며. 아래 하층기단 과 비교해도 다른 부재입니다. 그렇다고 층급받침이 없어 옥개석도 아닙니다. 개인적으로는 물매가 있는 지대석(지복석) 부재이거나 건물 고기단 갑석 같은 느낌도 듭니다. 상층기단 갑석 부연을 표현 낙수면 물매가 있고, 내림마루 표현, 긱호 이단 굄 조출 하층기단 갑석 탑지 아래에 2매 부재가 있습니다. 2단 굄 등 상층기단 갑석과 동일 합니다. 부인사 암자터로 추정되지만 석탑의 규모, 1960년, 1964년 발굴보고서의 석불 4분, 부인사에 있는 팔각 석등 등으로 판단하면 사세가 결코 녹녹한 절은 아니었던 듯 합니다. 더불어 유존하는 석조물로 판단하여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추측 됩니다. 부인사 답사 기회가 있으면, 꼭 들려보기를 권합니다. 2020.02.20 |
'대구광역시 > 대구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팔공산 원당봉산(願堂封山)표석 (0) | 2020.02.27 |
---|---|
대구...팔공산 거연천석(居然泉石 )바위각자 (0) | 2020.02.26 |
대구...숭정처사 유허비(崇禎處士遺墟碑) (0) | 2020.02.24 |
대구...신숭겸 장군 유적지 (0) | 2020.02.18 |
대구...옻골 백불암 고택 (0) | 2020.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