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인왕산 마애 제석할머니상

임병기(선과) 2018. 3. 13. 07:30
300x250
300x250

 

 

 

국사당에서 선바위 반대 능선을 잠시 오르면 이른다.

 

 

전각은 없지만 예전에는 기도터 이었을 것이다.

 

 

제석할머니

민간 도는 무속의 대상으로 조성한 마애여래좌상이지만 민초들은 제석할머니로 모신다고 한다.

 

소발의 머리에 솟은 작은 육계가 마치 고깔처럼 보여 제석으로 표현한 듯 보인다.

정연하지 못한 치석술로 미루어 전문조각가의 작품은 아닌 듯 하다.

조성시기는 근대로 추정된다.

 

혹,선바위 반대편에 있는 마애여래좌상의 반대 개념으로 할머니라고 칭하지는 않았는지?

 

 

 

 

가는 손가락은 보이지만

하반신은 시멘트 제단에 가리워져 있다.

 

 

아래의 내용으로 미루어 무속신앙의 기도터에 모셨던 제석으로 추정된다.

국사당이 이 곳으로 옮겨 온 이후 운영되던 굿당이었으나 새마을 운동 시절 미신타파 정책의 일환으로 철거되지 않았을까?

 

제석帝釋

삼불(三佛)제석’으로 불리기도 한다. 한국 무(巫)의 신령으로서의 제석은 단군신화(檀君神話)에 나오는 환인(桓因)제석을 기원으로 한다.

환인은 한자로 표기되기 이전에 하느님·수릿님이나 한님·한인 등으로 불렸을 것으로 보이고, 그 한자 표기는 불교의 석가제환인다라(釋迦提桓因陀羅) 또는 제석환인(帝釋桓因 : Sakra-Devanam Indra)에서 온 것이다. 제석은 원래 인드라(Indra)라는 인도 신령의 중국 역어(譯語)이다.

 

인드라는 리그베다(Rig-Veda) 찬가에 흔히 등장하는 천상신인데, 수미산(須彌山) 정상의 희견성(喜見城)에 있으면서 33천(天)을 통괄하고 아수라(阿修羅)라는 마신(魔神)과 싸워 인류를 보호할 뿐 아니라 우주의 동서남북을 1개월씩 순회하면서 큰 거울로 그곳 인간의 선악을 살피는 것으로 믿어진다.

 

한민족은 고조선 이래, 특히 고대사회에서 각 나라별로 봄·가을에 크게 모여 천제(天祭)를 올렸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예의 무천(舞天) 등이 그런 것들이다. 여기서는 한민족의 천신을 비롯하여 여러 신령이 모셔졌다.

 

삼국시대 중엽 중국으로부터 유교·불교·도교가 들어와 수용되면서 이 천제의 전통은 분화와 변모를 겪게 된다. 유교의 영향으로 종래의 천제는 국가의 제례로 편입되고 의례형식은 유례화(儒禮化)하였다.

 

천신신앙은 이로써 국가제례로서 유례화한 것과 무당에 의해 주재되는 민간의 천신 신앙으로 분화하였다. 불교가 융성한 통일신라시대를 거치면서 천신은 제석이라는 불교적 명칭으로 불리게 된다.

 

고려의 승려 일연(一然)이 ≪삼국유사 三國遺事≫에서 단군의 할아버지인 한민족의 천신을 환인제석이라 표기한 것은 그러한 배경을 갖는다. 한편 고려시대에도 민간에서 무당이 개인신당에 제석신을 모시고 굿을 벌였음은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 東國李相國集≫ 노무편(老巫篇)이 증언한다.

 

조선시대에 들어오면 천신신앙의 전통은 단절된다. 유신들은 유교의 예(禮)에 의거하여 중국의 천자만 천제를 지낼 수 있고 그 제후국인 조선의 왕은 종묘와 사직에 제사할 뿐이라고 주장하여 임금의 천제 거행을 저지하였기 때문이다.그러나 천신으로서의 제석에 대한 신앙은 조선왕조의 지속된 억누름에도 불구하고 끈질기게 지속되어온 굿과 무(巫)의 신도인 단골집안의 이른바 가신(家神)신앙 속에서 줄기차게 보존되어 왔다. 굿에서의 제석거리와 각 집안에서 모시던 제석신앙이 그것이다.

 

일제의 탄압과 광복 이후의 서양의 합리주의 내지 기독교적 가치관의 횡행 및 급격한 산업화를 거치면서도 굿은 그 질긴 생명력을 잃지 않았기에 제석거리는 여전히 굿에서 놀아진다. 반면 단골집안의 제석신앙은 주거환경의 변화와 미신타파운동에 밀려 1970∼1980년대를 거치면서 거의 소멸되고 말았다.굿의 제석거리가 아직 놀아지고는 있으나 그 신격을 제대로 이해하는 이는 드물고 그저 굿의 한 거리로서 적당히 놀아지고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1996년 말 제석의 바른 인식과 전통 제석굿을 보존하기 위하여 전통제석굿보존회가 서울에서 결성되고 전통제석굿발표회를 여는 등 제석신앙의 복원운동이 일각에서 일고 있다.

 

조선시대에 불사(佛師) 또는 도교식으로 천존(天尊)이라고도 불려졌던 제석은 굿판에서 부정과 청배(請陪 : 신령을 불러 모시는 일)의 준비과장을 마치면 제일 먼저 모셔진다. 무당은 가사·장삼을 입고 허리에 홍띠를 매고 고깔을 쓴다. 황해도 지역의 제석거리에서는 거기다 백팔염주를 목에 걸고 바랑을 걸머지고 육환장을 짚고 손에는 바라를 들고서 논다.

 

그리고 제석 청배에 들어가는데, 그 끝판쯤에서 다양한 제석의 종류를 일일이 든다. 업제석·복제석·천궁제석·천존제석·일월제석·용신제석·고깔제석·업영제석·삼신제석·나옹제석·넌출제석·부군제석·도당제석·몸주제석·전안제석·후대제석 등이 그것이다. 이것은 제석의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성격과 면모 및 발현처를 말해 준다.

 

전국 각 지역의 굿에서 중반이나 후반에 적당히 편성되어 놀아지는 제석굿에는 어김없이 제석본풀이가 구송된다. 그것은 여주인공의 이름에 따라 ‘당금애기’·‘서장애기’·‘제석님네 따님애기’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천신으로서의 제석이 당금애기로 상징된 지모신(地母神)과 결합하여 삼신(三神)을 낳았다는 것이 그 줄거리이다.

 

가신신앙으로서의 제석신앙도 제석본풀이와 마찬가지로 전국에 걸쳐 분포한다. 그 명칭·형태·신앙관념 등은 지방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보인다.서울 지역의 단골가정은 제석신을 흰 항아리에 쌀을 담은 형태로 다락에 올려놓고 모신다. 이 신령이 집안사람의 수명을 보호한다고 믿는다. 햅쌀을 백지에 싸서 항아리에 넣고 안방에 모시고는 ‘불사’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경기도에서는 방 안 다락이나 부엌 한 귀퉁이에 쌀 또는 조를 담은 조그만 단지를 모시고 여러 헝겊조각을 단지에다 늘여놓고는 ‘세존’이라 칭하기도 한다. 안방의 벽에 주머니를 만들어 쌀 3되 가량 넣어놓고 ‘제석주머니’라 부르는 예도 있다. 칠월칠석날 아침 그 쌀을 꺼내 밥을 짓고 미역국과 함께 차려 간단한 의례를 지낸 다음 가족들과 먹는다. 그 뒤 시월 추수한 햅쌀을 잘 말려 그 빈 주머니에 다시 채운다.

 

남쪽지방에서는 일제시대까지만 해도 아예 대청이나 곳간에 큰항아리를 두고 햇곡식을 넣어서 이것을 제석단지·세존단지·천왕독이라 불렀다.가신신앙의 제석신앙과 굿의 제석거리에서의 제석신의 신격은 대개 일치한다. 제석은 산신(産神)·수명신·생산신으로서 신앙되면서 인간 생존에서 가장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기능을 지닌 것으로 믿어져 왔다. 그러나 천신으로서의 제석에 대한 신앙이 약화되고 혼란스러워지면서 제석의 기능도 변화하게 된다. 그 점은 굿에서보다 가신신앙에서 더 심한데, 가신신앙에서는 제석을 지역에 따라 부귀영화의 신령이나 조상을 위하는 신령으로 믿는 경향을 보인다.

 

출처...Daum백과 제석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선바위

선을 음으로 읽으면 남근석을 연상시킨다

그렇다면 제석할머니상은 기자신앙의 기도처로 주목 받았을 것 같다.

 

2018.02.24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