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남원시

남원...귀정사 부도

임병기(선과) 2017. 10. 11. 08:49
728x90

 

 

 

귀정사

"사적은 전하지 않으나 창건에 대해서는 신라 법흥왕(514~540) 때 현도국사 창건 설, 백제 무령왕 15년(515) 현오국사 창건 설, 고구려 안원왕 15년(545)에 초창되었다는 설이 있다. 특히 무령왕  재위시에는 만행사로 창건되었으나 임금이 3일간 머물며 국정을 돌보아 귀정사歸政寺로 개칭되었다고 한다(다른 자료에는 고려말 이성계가 왜구를 무찌르고 이곳에서 3일간 머물면서 국사를 논의하여 귀정사로 절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신라 경덕왕 22년(763)에 김대성이, 고려 목종 5년(1002)에 대은선사가, 조선 세조 14년(1468)에 낙은선사가 중수하였으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폐허로 있다가 조선 현종 5년(1664)에 설제대사, 순조 4년(1804)에 현일대사에 의해 크게 중창되었다고 전한다.


동문선東文選의 만덕산원묘국사비명德山白蓮社圓妙國師碑銘에 의하면 원묘국사(1168~1245)가 1198년 이후에 귀정사에 머물렀고, 이규보(1168~1241)의 동국이상국전집에는 귀정사 주지의 법회가 기록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오건일(1645~1703)의 문집과 18~19세기의 지리지 및 고지도 등에서 확인되는데, 법등이 지속적으로 이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용성지龍城誌에 의하면 귀정사는 만행산에 위치하며, 전각인 법당과 정루, 시왕전, 향족전, 선당, 만월당, 승당, 상실, 연화당, 명월당, 문수전,삼광전 등과 암자인 남암과 대은암, 영당 등이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규장각에 소장된 중관대사 유고의 판본은 학소거사
가 1912년 귀정사의 장판고에 보관된 유고의 목판에 자신의 서문을 추가로 판각하여 함께 인쇄한 것으로 20세기 전반에도 귀정사가 운영되었음을 추정되는 자료이다. 


근래 자료에 의하면 한국전쟁 당시 빨치산 토벌을 위해 1951년 음력 10월 15일에 귀정사와 사하촌인 대상리를 포함한 인근 지역을 소각하면서 사찰이 폐사되었다. 당시 법당과 시왕전, 요사채, 객실, 화장실 등의 전각이 있었으며, 법당의 많은 부처님이 다른 곳으로 이동되었다고 한다. 이후 1958년 정동스님에 의해 대웅전,승당, 산신각, 요사채 등이 재건되었다고 한다"...문화재청/한국의 사지에서 발췌 정리

 

 

근세까지 향화를 피웠던 절집.

하지만 그 영화를 뒤로 하고 적막강산이다.

 

 

수조

옛시절을 기억하고 있겠지.

 

 

귀정사 부도

사찰 입구 우측에 위치한 조선후기 석종형 부도

2 기 모두 귀정사지의 다른 곳에서 이건하였다고 한다.

  

 

낙서당樂西堂 부도

탑신과 보주가 일석이다.

하부가 묻혀 있으며, 보주는 파손된 상태이다.

 

  

 

중관당中觀堂 부도

하부는 묻혀 있으며 탑신과 보주는 별석이다.

보주는 2단괴임 위에 연주문을 두르고 보주를 올렸다.

한국의 사지 자료에는  2008년 조사 때는상륜부가  없었다고 한다.

따라서, 탑신에 비해 균형이 맞지 않은 것으로 보아 본디 부재가 아닐 가능성도 있겠다.


17세기에 입적한 스님의 부도인데  탑신은 더 늦은 시대 유형 느낌이다.

당호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중관中觀(海眼,1567~?)

"성은 오씨(吳氏). 호는 중관(中觀). 전라남도 무안(務安) 출신.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신동이라 불렸다. 처음에 처영(處英)을 은사로 하여 득도하였으나 뒤에 휴정(休靜)의 문하에서 참학(參學)하여 심인(心印)을 받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그 해에 영남지방에서 의승을 일으켰고, 전공을 세워 총섭(摠攝)이 되었다. 전란 후 지리산 화엄사에 있으면서 대화엄종주(大華嚴宗主)로서 법화(法化)를 폈다. 만년에는 지리산 귀정사(歸正寺) 소은암(小隱庵)의 옛터에 대은암(大隱庵)을 중창하고 그 곳에서 참선수도에 정진하였다.


자세한 행장은 전하여지지 않으나 1636년(인조 14)에 화엄사의 사적을 쓴 것으로 보아 70세 이후에 그 곳에서 입적한 것으로 추정된다. 법을 이은 제자로 청간(淸侃)·정환(正還)·설매(雪梅) 등이 있다. 저서로는 『중관대사유고(中觀大師遺稿)』 1책, 『죽미기(竹迷記)』 1책, 『화엄사사적(華嚴寺事蹟)』 1책, 『금산사사적(金山寺事蹟)』 1책 등이 있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17.09.30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