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서울특별시

서울...재동 백송

임병기(선과) 2016. 12. 1. 08:23
300x250
300x250

 

 

재동 백송.헌법재판소 후원에 위치


재동齋洞은 계유정란에서 유래된 지명이라고 한다.

1453년 10월 10일 수양대군이 계유정란을 일으켜 김종서, 황보인 등을 무참히 살해할 이곳에는 시체가 뒹굴었고 골목은 핏빛으로 물들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이 집에 있던 회灰를 가지고 나와 길에 덮을 정도였다. 재를 덮은 이 마을은 잿골(회동, 灰洞)이라 불렸고, 이것을 한자명으로 재동齋洞이라 표기하였다고 한다.


또한 이곳은 연암 박지원의 손자 박규수의 집터라고 알려져 있으니 조선 전기,후기 역사적 현장의 중심이며 백송은 그 현장을 지켜보았을 것이다.


 

천연기념물 제8호. 수령 600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밑에서 두 갈래로 갈라졌으며, 1979년 외과수술을 받았다. 조선시대에 중국을 내왕한 우리 사신이 가져 온 것으로 추정한다.


백송은 중국 중부와 북서부를 원래의 자람 터로 하는 나무다. 원산지에서도 자연 상태로 만나기가 어려운 희귀수종이다. 특별한 모습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퍼져, 주로 가로수나 정원수로 심고 있다. 우리나라의 백송은 오래전 중국을 왕래하던 사신들이 처음 가져다 심기 시작한 것이다.

백송은 만나기도 어렵고 흰 나무껍질 때문에 백의민족이라는 민족의 정서에도 맞아 예부터 귀한 나무의 대표였다. 그래서 웬만한 굵기의 백송은 특별 보호목이 될 정도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남한에 다섯 그루, 북한은 개성에 한 그루의 백송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이들 중 충남 예산의 ‘추사백송’을 제외하면, 자라는 곳은 모두 서울·경기지방이다. 중국 왕래를 할 수 있는 고위 관리가 주로 서울·경기에 살았던 탓일 터다.

백송은 흰 껍질뿐만 아니라 잎의 생김새도 눈길을 끈다. 우리나라의 소나무 종류를 크게 나눌 때 잎이 두 개인 소나무와 곰솔, 그리고 잎이 다섯 개인 잣나무 등이 있다. 반면에 백송은 세 개의 잎을 가진다. 어느 쪽에 들어가야 할지 조금 애매하지만, 잣나무와 같이 잎 속의 관다발이 하나이므로 잣나무 종류에 포함시킨다.

백송은 키 15미터, 지름이 두 아름 정도에 이를 수 있는 큰 나무다. 아래부터 줄기가 갈라지는 경향이 있으며, 수관은 둥글게 발달한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다음해 10월에 익어서 달걀모양의 솔방울이 된다.


 

 

 

 

 

 

우리가 아는 백색은 밝고 정갈하면서 범접하기 어려운 고고함이 배어 있다.

그래서 백송의 흰 껍질은 좋은 일이 일어날 길조를 상징한다.


재동 백송은 구한말 흥선대원군의 집권과정을 지켜본 나무다. 그가 아직 권력의 핵심에 들어가기 전, 안동 김씨의 세도를 종식시키고 왕정복고의 은밀한 계획을 세웠던 곳이 바로 이 백송이 바라다 보이는 조대비의 사가(私家) 사랑채다. 흥선대원군은 불안한 나날을 오직 백송 껍질의 색깔을 보면서 지냈다고 한다. 이 무렵 백송 밑동이 별나게 희어지자 개혁정치가 성공할 것이라고 확신했다는 것이다.


공교롭게 거의 150여 년 뒤인 2004년, 현직 대통령이 쫓겨날 위기에 몰렸을 때도 그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헌법재판소의 백송 껍질이 더 희게 보였다고 한다.


 

백송(白松)은 여러 가지 모습을 가진 소나무 종류 중 하나다. 나무 전체가 하얀 것이 아니라 줄기가 회백색이라서 멀리서 보면 거의 하얗게 보인다. 무엇이든 생김이 독특하면 금세 눈에 띄기 마련인데, 백송도 한 번 보기만 하면 잊어버릴 수 없을 만큼 인상이 남는다. 하얀 얼룩 껍질이 트레이드마크이기 때문이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껍질이 거북이 등처럼 갈라지는 흑갈색의 일반 소나무와는 사뭇 다르다.

백송의 껍질이 처음부터 하얀 것은 아니다. 어릴 때는 거의 푸른빛이었다가 나이를 먹으면 큰 비늘조각으로 벗겨지면서 흰빛이 차츰차츰 섞이기 시작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흰 얼룩무늬가 많아지다가 고목이 되면 거의 하얗게 된다. 사람이 나이를 먹을수록 머리가 점점 백발이 되듯, 백송의 일생은 이렇게 하얀 껍질로 나잇값을 한다. 사람과 다른 것이 있다면 나이를 아무리 먹어도 하얀 껍질이 결코 추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개인적으로는  서울 조계사 백송.고양 송포백송.이천 백사면 백송.예산 추사고택 백송을 답사하였다.


 조계사 백송...2015.09.04

고양 송포 백송...2010.11.03

이천 백사면 백송..2007.03.14

추사고택 백송...시나브로님 사진


2016.11.05

(다음 백과사전에서 발췌하였습니다)

300x250
300x250

'서울특별시 > 서울특별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삼각산 진관사  (0) 2017.06.04
북한산 탐방  (0) 2017.06.01
서울...창경궁 관천대  (0) 2016.12.01
서울...창경궁 풍기대  (1) 2016.11.30
서울...성종 태실.태실비  (0) 2016.1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