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특별자치시/세종특별자치시

세종...영대리 사지 괘불대.부도

임병기(선과) 2016. 4. 14. 08:37
728x90

 

 

 

세종시 금남면 영대리 421

창건, 폐사의 사적이 전하지 않고 청림사지로 구전되는 사지에는 괘불대와 부도.부도비만 남아 있으며, 임도 개설시에 많은 석재가 반출되었다고 한다.

 

한국의 사지에는 문주석으로 표기하였지만 괘불대로 보여진다.

괘불대가 금당 앞에 설치된 석조물임을 고려하면 부도는 사역 외곽의 암자터로 추정되지만 근거는 없다.

 

 

거칠게 치석된 괘불대에 원형 간공 2개를 두었다.

다른 괘불대와 다르게 한쪽에 지주를 올려놓을 수 있는 받침과 일석으로 조성되었다.

 

 

 

 

부도비와 부도

 

 

부도비

 

 

전면에 유명조선국회은당대사지석장비有明朝鮮國悔隱堂大師之石藏碑 명문이 있어 회은당 부도임을 알 수 있으나, 부도비를 석장비石藏碑로 표기한 명문은 처음 접한다.


소설 한편

여기에 있었던 사찰은  꼬장꼬장하고 완고한 사대부 집안의 원찰이었거나, 부도 조성 대시주자의 집안이 꼬장꼬장한 사대부 가문이었을 것이다. 왜냐하면 명이 멸망하고 청나라가 개국되어도 청의 년호를 사용하지 않고 유명有明이라고 표현하였고, 스님의 사리를 돌(石)로 폄하한 명문을 새겼기 때문이다.

 

 

전면

 

 

후면에 “◯◯十一年壬戌三月日立”라는 명문이 있으나, 호 부분이 마모되어 있어 건립시기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옆으로는 제자, 시주자로 보이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다음 블로그 초지일관에서 옮겨 왔다.

 

"산야(山野)에 무수히 존재하는 석비(石碑)에는 그 비석의 주인공이 누구인지 알려주는 글귀가 새겨져 있기 마련인데, 역사적으로 이름을 남긴 인물인 경우에는 대개 직함(職銜)이 이름과 함께 나란히 새겨져 있다. 한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이었으므로, 대부분 한자로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비석의 인물이 조선시대 사람인 경우에는 직함의 서두에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이라는 표현이 들어가 있다. 신라 시대의 인물이면 '유당신라국(有唐新羅國)', 고려 시대 인물이면 '유원고려국(有元高麗國)'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이런 식의 표기는 고위 관직을 지낸 사람의 신도비(神道碑)나 묘갈(墓碣)인 경우에 특히 많은데, 이 '유명(有明)', '유당(有唐)' 등의 단어와 관련하여 풀이가 제각각이다.

어떤 사람은 '명나라에 속한 조선국'이라고도 하고, 어떤 사람은 '명나라의 조선국'이라고도 한다. 또 혹자는 '명나라 시대의 조선국'이라고도 하는데, 과연 어떤 해석이 적절한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한자 '유(有)' 자(字)의 뜻에 착안하여 '명나라의 속국(屬國)인 조선'이라는 식으로 설명한다. '명나라에 있는 조선국'이라는 해석으로, 사대주의(事大主義)의 한 단면이라는 것이다. 국사편찬위(國史編纂委)의 문답 게시판 답변은 '유(有)는 위대하다, 크다라는 의미로 사용되어 대명(大明)이라는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명나라를 높이고자 한 표현이지, 조선이 명의 속국임을 부각하기 위해 쓴 것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전문 서적이나 고문헌 국역본에서는 그와 같은 식으로 '유명(有明)'이나 '유당(有唐)'을 한글로 풀어서 쓴 사례를 찾기 어렵다. 그렇게 풀이할 필요성이 적어서일까, 아니면 그런 식으로 풀이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때문일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그래서 그 연원을 살펴보던 과정에, 유명(有明)의 '유(有)'가 발어사(發語辭)에 불과하다는 내용을 접할 수 있었다. 유 자는 명사 앞에 붙는 접두사의 하나로서, 옛날에는 여러 단어에 사용되었으나 점차 유주(有周), 유당(有唐), 유송(有宋), 유명(有明)과 같이 국명(國名) 앞에만 붙는 발어사가 되었다는 것이다.

발어사는 문장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조사의 하나로, 아무런 뜻이 없다.

그냥 '명조선국(明朝鮮國)'이라고 하면 '밝게 빛나는 조선국'인지 '명나라 조선국'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명(明)'이 '명나라'라는 것을 확실하게 표현하기 위해 '유명(有明)'이라는 단어를 쓴 것이다. 바로 앞 문단에서 언급된 것처럼, 유당(有唐), 유명(有明) 등은 국명을 나타내는 일상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특별히 명나라를 높이거나 조선을 폄훼한 표현은 아니다.

결론하여 말하면, '유명(有明)'은 그냥 '명나라'로 풀이하는 것이 타당하다. '유명조선국'은 '명나라 시대의 조선국[明代朝鮮國]' 정도로 풀이하면 되며, 굳이 '명나라에 속한'이나 '명나라에 있는' 등과 같이 적극적으로 사대주의적 의미를 내포할 필요는 없다.

'조선국(朝鮮國)' 또는 '대조선국(大朝鮮國)'으로 썼으면 되었을 것을 하필 '유명조선국'으로 하였으니, 이것 또한 사대주의적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그러나 황명조선국(皇明朝鮮國), 대명조선국(大明朝鮮國) 등의 표현이 금석문(金石文)에 종종 보이는데, 이렇게 하지 않고 유명조선국이라고 적었던 것이, 그리고 그것이 보편화 되었던 것이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유학(儒學)의 논리에 따르면 천하(天下)에 황제국(皇帝國)은 단 하나이고 나머지는 모두 제후국(諸侯國)이다. 따라서 신라나 조선이 스스로 황제를 칭하지 않는 이상, 국명과 직함을 자세히 기술함에 있어서 황제국의 국명을 제후국 앞에 쓰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다. 마치 지금 '민주주의'가 최선(最善)의 정치 체제이고 다른 것은 상상할 수 없는 것처럼, 적어도 동양의 전재군주제 질서 아래에서는 그렇다. 특히 성리학(性理學)이 통치 이념으로 작동하던 당시 사회라면.

명나라가 망한 후에 '유청조선국(有淸朝鮮國)'이라고 하지 않고 '유명(有明)'을 계속 썼던 것은 오랑캐라고 멸시하던 청나라를 상국(上國)으로 인정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그것이 숭명의리(崇明義理)에 입각한 것이든, 소중화(小中華) 의식의 발로이든, 조선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의 한계라고 말할 수는 있겠지만, '유명조선국'으로 표기한 것을 두고 필요 이상으로 우리 선조들을 답답하게 생각하거나 탄식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 개인적인 생각이다.

하여간, 이러한 해석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이유를 추가해 보면, 조선왕조 때 국왕이 승하하면 그 신위(神位)를 종묘(宗廟)에 모시는데, 위판(位版)에 명나라에서 준 시호(諡號)를 적을 때 그 시호 앞에 '유명증시(有明贈諡)'라는 글자를 썼다. '유명조선국'을 '명나라에 있는'으로 풀이한다면 '유명증시'를 풀이할 길이 없다. '유명증시'의 뜻이 '명나라가 준 시호'이니, '유명(有明)'을 역시 '명나라'라고 하는 것이 합리적이겠다. 첨언하면, 조선 태조 건원릉(健元陵)의 묘비명은 '유명시강헌조선국태조(有明諡康獻朝鮮國太祖)...'이다.

또 중국(中國)의 관직을 얻은 인물인 경우에는 중국 관직과 고려 또는 조선의 관직을 모두 표기하기도 하였는데, '유원자선대부태상예의원사 고려국...' 또는 '유명수군도독 조선국...' 등이 그 일례이다. 이 역시 '원나라의 자선대부 태상예의원사이며, 고려국의 ...'이나 '명나라의 수군도독, 조선국의 ...'으로 풀이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따라서 '유명(有明)을 '명나라에 속한'이나 '명나라에 있는'과 같은 식으로 풀이해야 할 근거가 약하다는 것이 이 글의 결론이다."


 


 

 

회은당부도

 

 

부도비 명문으로 회은당 부도임을 알 수 있다. 

기단부는 매몰된 상태이며, 구형 탑신 상부에 2단 괴임을 두고 보주를 피웠다.

부도비의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 표기를 고려하면 명나라 멸망(1644년) 이후에 조성된 부도일 것이다.

 

 

 

 

영대리 사지

앞서 다녀온 시나브로님 덕분에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지면을 빌려 거듭 고마움을 전한다

 

2016.03.26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