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울주군

울산...반구대 암각화

임병기(선과) 2016. 1. 19. 08:09
300x250
300x250

 

 

반구대

천전리와 더불어 우리나라 암각화유적의 대명사이다.

 

멀리 수도권에서 오신 분들을 위해

답사동선에 포함하였지만 나도 무척 오랫만에 들렸다.

 

진입공간이 넓어지고

해설사분들이 상주하고, 안내 입간판이 서 있어

답사 환경은 좋아졌지만

자꾸만

추억 반추에 익숙해진다.

 

 

암각화 박물관

 

 

공룡발자욱 화석

 

암각화를 새긴 청동기 이전에는 그들이 대곡리의 주인공이었다.

 

 

정몽주유허비

문명의 이기에 노예가 되어 스쳐 지나버렸다.

 

반고서원 유허비는 고려 말기의 충신 포은 정몽주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석으로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 13호로 지정되어 있다. 정몽주는 고려 우왕 때(376년) 중국 명나라를 배척하고 원나라와 친하게 지내려는 친원배명(親元排明) 정책에 반대하다가 울주군 언양으로 유배되었는데, 그 당시 반구대에 올라‘ 중양절감회(重陽節感懷)’라는 시를 짓는 등 많은 자취를 남겼다고 전해진다.

 

반고서원 유허비는 지역 유림들이 정몽주 선생을 기리기 위해 세운 포은대영모비(1885년), 포은실록대비(1890년), 반고서원유허비실기(1901년) 등 3기의 비석이다. 1965년 사연댐 건설로 인해 비석들을 현재 위치로 이전하고 보호각이 세워졌다.

 

 

반구대 암각화

 

1970년 12월 24일 울주지역 불교유적조사를 실시하고 있던 동국대학교 박물관 조사단은 원효대사가 머물었던 것으로 알려진 반고사지(盤皐寺址)를 찾기 위해 반구대 마을을 방문하였다.이때 마을주민 최경환씨의 안내로 천전리 각석을 발견 국내 최초로 암각화가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 이듬해 1971년 12월 25일 문명대, 김정배, 이융조 교수 등이 천전리 각석을 방문하였다가 마을주민 최경환, 손진봉씨의 도움을 받아 사연댐 상류지역의 바위면을 조사하다가 반구대암각화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후 전국에 걸쳐 암각화가 발견되어 현재 약 30여 곳의 유적이 확인되고 있다.

 

암각화는 바위그림 중에서도 특히 새겨진 그림을 지칭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암채화(바위에 채색된 그림) 유적이 발견된 적이 없어 바위그림과 암각화는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암각화는 자연바위에서 뿐만 아니라 고인돌이나 선돌과 같은 거석 유구나 제단시설 등에서도 발견되고 있다.그러나 좀 더 알아보면, 암각화가 단순히 바위에 표현된 모든 그림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바위에 행해지는 민간신앙의 흔적이나 불상, 신상 같이 고등종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을 바위그림이나 암각화라는 용어보다는 마애불, 금석문, 각석, 조각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따라서 암각화는 문자 출현이전, 선사시대에 제작된 바위그림 중에서 새긴 그림을 지칭하는 말로 사용한다고 할 수 있다.

 

 

 

판판한 바위 면에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해 새긴 고래와 같은 바다 동물과 호랑이 사슴 같은 육지동물, 동물 사냥과 고래잡이 그림 등은 선사시대 사냥과 해양어로 모습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동물그림들은 생태적 특징이 매우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어 고래, 거북이, 물개, 물새, 상어, 물고기, 사슴, 멧돼지, 호랑이, 표범, 여우, 늑대 등 약 20여종의 동물들을 구분할 수 있다.

반구대암각화에는 배와 작살, 부구, 그물을 이용하여 고래를 사냥하는 매우 사실적인 포경 장면이 묘사되어있는데 이는 과거 울산 태화강과 울산만 주변에 뛰어난 해양어로 문화를 가진 포경집단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그동안 학자들 마다 다양한 견해가 있어왔지만, 최근의 과학적인 연구 성과에 따르면 반구대암각화는 약 7000년에서 3500년 전 사이 신석기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반구대암각화는 지금까지 지구상의 알려진 가장 오래된 포경유적일 뿐만 아니라 북태평양연안의 독특한 해양어로문화를 대표하는 인류의 문화유산으로 평가되어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다.

 

 

답사는 情 입니다.

 

2016.01.16

 

**암각화 설명 자료는 울산암각화 박물관에서 옮겨 왔습니다.

300x250
300x250

'울산광역시 > 울주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울산...(傳)반고사지 석탑재  (0) 2016.01.21
울산...천전리 각석  (0) 2016.01.20
2016년 첫 답사...울산,울주  (0) 2016.01.18
울산...덕신리사지 석불좌상  (0) 2014.05.22
울산...발리사지 석불좌상  (0) 201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