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김천시

[스크랩] 김천 / 봉산...직지사에 가려진 석불

임병기(선과) 2008. 6. 6. 09:11
300x250
300x250

봉산으로 가는 어느 동리앞에 걸린 현수막이 오늘의 우리 현실을 대변하는 듯하다. "***아들 삼성전자 입사"......

문화재이정표 없는 구국도변의 용화사에 석조보살입상이 모셔져 있다.느낌으로야 영락없는 관음보살이지만 용화사라면 미륵불이 주불이 되어야할텐데, 창건 연대도 오래지 않은 절집에 사연은 없었을까?



덕천리관음보살입상/문화재청


신체에 비해 큰 얼굴은 복스럽고,삼산관, 주형거신광배의 두광 신광은 겹줄로 표시되었고, 다른 불상에서는 볼 수 없는 마치 인왕상 모습의 동자가 보살 좌우에 무엇인가를 들고 서 있다. 관음전 전각에 모셔져 있지만 용화사의 창건 유래는 "금세기 초 이마을의 불교신자 백낙준의 꿈에 ' 미륵불을 비바람으로부터 가려달라'는 계시를 받고 용화사를 지었다고 한다.

 

우리나라 뭇고을의 민중들과 같이 추풍령 초입 이곳 사람들도 분명  미륵불로 알고,모시고 미륵이 주불인 용화사를 창건했는데 왜 관음보살로 칭하고 관음전에 모셨는지? 하지만, 민중의 믿음을 사상이나 교리보다 우선해야한다는 나의 생각은 아직도 변함없다.

 


태화리 석불입상

용화사 보살님의 보살님 답지 않은 말투와, 사람을 피곤하게 하는 눈동자가 참말로 싫어 관음전 전각을 서둘러 나와 촌로들에게 여쭈어도 태화리 부처님의 존재조차 몰라, 포기하고 구성면으로 내쳐 갈려는 순간에 집배원 아저씨를 만나 소재를 파악할 수 있었다.

 

가막사 석탑이 있다는 양지마을 맞은편 음지마을 뒤 전각속에 있는 석불은 마모가 심하며, 육계가 마치 조금전에 본 용화사 석불 좌우의 동자와 흡사하고, 마을 사람들에게는  아들을 얻는데 효험이 있는 석불로 알려져 상처가 더 깊히 났는지도 모르겠다.

 

무슨 영문인지 안내문에는 문수보살로 표기하였는데 기왕이면 설득력 있는 설명이 있었으면...

양지,음지 마을의 동명으로 미루어 풍수의 냄새도 나지만 그건 나만의 유쾌한 상상의 즐거움에 불과하다.

 

2005.11.25

출처 : 저 산길 끝에는 옛님의 숨결
글쓴이 : 선과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