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300x250
오랫만에 오신 장인,장모님을 고령에 모셔드리고 오는 길에 동행했던 마누라가 유가사 가고싶다는 이야기에 길목에 있는 현풍 석빙고를 들리게 되었다.
현풍이라면 잘 모르는 분들이 계시겠지만 현풍 곰탕을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1987년에 처음 현풍곰탕집을 찾았을 때는 가마솥에 장작불로 박소선 할머니가 직접 밥을 지었는데 지금은 2층 집을 올리고 화려하게 변했다.
아마 원조 논쟁에 휘말려 현풍초입의 곰탕집은 "원조 현풍 곰탕(?)집"으로,지금 이야기하는 이집은 "현풍 박소선 할매 곰탕(?)"으로 상호를 변경한 것으로 알고 있다.
뜬금없이 곰탕 이야기를 한 까닭은 석빙고가 왜 경상도 지역(물론 서울,북한도 있다)에서만 보이고 음식문화가 다양한 호남지방에서는 발견되지 않을까? 라는 의구심 때문이다.
비옥한 토양,풍부한 어자원,유배온 사람들에 의해 전파된 전국각지의 음식 등의 이유로 호남지방에 맛갈스런 음식문화가 잉태되었다면 분명 여름철을 위해 석빙고가 존재하지 않았을까?
석빙고가 없어 다양한 젓갈을 만들었을까?
물론,석빙고가 신라시대에 축성되었으며 현존하는 경상도의 석빙고는 조선 영조 때 개보수되어 석빙고를 신라,백제의 문화의 차이로 보는 說,호남지방이 겨울에는 따뜻하고,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덜 덥기에 경상도 보다 조건이 좋지 않다는 說도 있지만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아무튼 석빙고의 특징중의 하나인 전면의 산, 후면의 개울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현풍 석빙고는 입구가 산자락으로 북향이며,우리마누라 말처럼 마치 고분 같다.또한 다른 지역과 달리 한방향으로 바람이 들게하여 한쪽에만 날개벽이 있다.("석빙고 뒤쪽에 위치한 물은 겨울철 얼음을 쉽게 구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뒤쪽에 산이 없는 것은 북서계절풍을 염두에 둔 것이며, 이 북서계절풍은 석빙고를 냉각시키고 얼음을 얼리게 한다.")
다들 아시겠지만 석빙고의 구조를 다음에서 검색하여 가져오니 답사 자료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석빙고 구조탐구]
(1) 유선형 구조
① 유선형 구조는 다른 구조에 비해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뜨거운 대기의영향을 덜 받는다.
② 빙실 내부의 더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빠져 나오게 한다.
이는 Bernoulli의 방정식으로 잘 설명할 수 있다.
P1 + V12 + gy1 = P2 + V22 + gy2
유선형 부분은 공기가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낮아진다. 다라서 빙실안의 밀도차에 의해 더운 공기가 더 잘 빠져 나가게 된다.
③계절풍과 관계가 있다.
앞서의 지도를 보면 온도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북서풍과 남동풍의 방향에 맞춰 기울어져 있다. 이는 바람이 불어 물이 잘 마르고 습기가 잘 바져 나갈 수 있게 한다.
(2) 반지하형 구조
빙실 바닥은 지면에서 1.7m정도 아래에 있고 이 바닥으로는 4개의 계단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석빙고 밖은 온도변화가 큰데 비하여 석빙고 안은 온도차가 거의 나지 않았다.
(3) 장방형 구조
석빙고는 빙고의 길이가 폭의 2배∼4배가 되는 장방형 구조다. 이는 똑같은 얼음을 넣는다고 보았을 때, 단열재와의 접촉면적이 넓고 위 얼음을 녹을 때의 물기에 닿아 습기에 노출되는 가능성도 줄일 수 있어 얼음의 저장에 효율적이다.
(4) 담
계절풍을 이용하여 석빙고 내부의 온도를 최적화한다.
동편담은 겨울철 바람의 방향이 북서풍일 때 석빙고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여름철 더운 남동풍이 불 때 바깥 공기를 막는 방풍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5) 출입구
출입구는 외부로부터 열이 유입되는 경로가 되기 때문에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돌벽, 날개벽, 턱을 만들어 공기 유입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또한 머리 위쪽에 높이 2m 종도의 벽을 만들어 더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6) 봉토
봉토 위에는 잔디가 심어져 있는데 태양열의 복사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봉토의 재료인 흙은 화단에 온도계를 꽂아보는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는 바 우수한 단열재이다.
(7) 홍예구조
천장의 홍예는 모두 4개를 틀었는데, 홍예의 역학적 성질은 압축력이 강하기 때문에 상부에 하중을 주어 압축력을 줌으로써 각각의 홍예석을 긴밀히 물리게 하고 옹벽을 토압으로부터 견디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각 홍예 사이에 환기공을 두어 환기를 돕고 있다.
홍예가 4개인 이유는 요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다. 요철은 공기의 이동을 최소화시킨다. 아치형 천장 사이는 움푹 들어간 빈 공간으로 되어있는데 내부의 더운 공기를 가두어 밖으로 빼내는 일종의 에어포켓이다. 더운 공기는 위로 뜨고 이 더운 공기는 뜨는 순간 에어포켓에 갇혀 꼼짝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에어포켓 위쪽의 환기구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했다.
(8) 환기구
환기구는 주로 여름에 가장 효율적으로 열과 습기가 빠져나가는데 사용했다. 환기구는 위쪽이 좁은 모양이다. 환기구에는 더운 공기가 몰린다. 높은 위치에 있는 공기가 더욱 더운 공기이며 더 빨리 배출해야 하는 공간이다. 유체흐름은 연속방정식(continuty equation)에 따른다.
A1V1dt= A2V2dt
A1V1=A2V2
이 식에 다르면 상단이 좁아지는 구조에서는 상단이 속력이 더 빨라지게 되므로 상단의 더운 공기는 빨리 빠져나갈 수 있다.
(9) 바닥·배수로
바닥은 입구 쪽에서 멀어질수록 밑으로 기울어져 얼음이 부분적으로 녹을 때 발생되는 수분이 바닥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였다.
(10) 구조재료 - 화강암
화강암은 석재의 강도 중에서 압축강도가 가장 크며 인장, 휨, 전단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매우 작다. 그러므로 구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압축력을 받는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석재의 압축강도는 단위용적 중량이 클수록 일반적으로 크며 공극률이 작을수록 또 구성입자가 작을수록 그 결합상태가 좋을수록 크다.) 또한 열저장 능력(축열능력)이 뛰어나다.
(11) 단열재료 - 흙, 잔디
석빙고의 외피 마감재료는 바위와 흙으로 구성되어 있다. 흙은 열차단 성능이 양호하며, 바위는 겨울철 축냉하기에 용이한 재료이다.
2005.08.06
현풍이라면 잘 모르는 분들이 계시겠지만 현풍 곰탕을 먹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1987년에 처음 현풍곰탕집을 찾았을 때는 가마솥에 장작불로 박소선 할머니가 직접 밥을 지었는데 지금은 2층 집을 올리고 화려하게 변했다.
아마 원조 논쟁에 휘말려 현풍초입의 곰탕집은 "원조 현풍 곰탕(?)집"으로,지금 이야기하는 이집은 "현풍 박소선 할매 곰탕(?)"으로 상호를 변경한 것으로 알고 있다.
뜬금없이 곰탕 이야기를 한 까닭은 석빙고가 왜 경상도 지역(물론 서울,북한도 있다)에서만 보이고 음식문화가 다양한 호남지방에서는 발견되지 않을까? 라는 의구심 때문이다.
비옥한 토양,풍부한 어자원,유배온 사람들에 의해 전파된 전국각지의 음식 등의 이유로 호남지방에 맛갈스런 음식문화가 잉태되었다면 분명 여름철을 위해 석빙고가 존재하지 않았을까?
석빙고가 없어 다양한 젓갈을 만들었을까?
물론,석빙고가 신라시대에 축성되었으며 현존하는 경상도의 석빙고는 조선 영조 때 개보수되어 석빙고를 신라,백제의 문화의 차이로 보는 說,호남지방이 겨울에는 따뜻하고,여름에는 상대적으로 덜 덥기에 경상도 보다 조건이 좋지 않다는 說도 있지만 쉽게 수긍이 가지 않는다.
아무튼 석빙고의 특징중의 하나인 전면의 산, 후면의 개울을 가장 뚜렷하게 보여주는 현풍 석빙고는 입구가 산자락으로 북향이며,우리마누라 말처럼 마치 고분 같다.또한 다른 지역과 달리 한방향으로 바람이 들게하여 한쪽에만 날개벽이 있다.("석빙고 뒤쪽에 위치한 물은 겨울철 얼음을 쉽게 구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뒤쪽에 산이 없는 것은 북서계절풍을 염두에 둔 것이며, 이 북서계절풍은 석빙고를 냉각시키고 얼음을 얼리게 한다.")
다들 아시겠지만 석빙고의 구조를 다음에서 검색하여 가져오니 답사 자료료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석빙고 구조탐구]
(1) 유선형 구조
① 유선형 구조는 다른 구조에 비해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뜨거운 대기의영향을 덜 받는다.
② 빙실 내부의 더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빠져 나오게 한다.
이는 Bernoulli의 방정식으로 잘 설명할 수 있다.
P1 + V12 + gy1 = P2 + V22 + gy2
유선형 부분은 공기가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이 낮아진다. 다라서 빙실안의 밀도차에 의해 더운 공기가 더 잘 빠져 나가게 된다.
③계절풍과 관계가 있다.
앞서의 지도를 보면 온도 유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북서풍과 남동풍의 방향에 맞춰 기울어져 있다. 이는 바람이 불어 물이 잘 마르고 습기가 잘 바져 나갈 수 있게 한다.
(2) 반지하형 구조
빙실 바닥은 지면에서 1.7m정도 아래에 있고 이 바닥으로는 4개의 계단을 통하여 내려갈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석빙고 밖은 온도변화가 큰데 비하여 석빙고 안은 온도차가 거의 나지 않았다.
(3) 장방형 구조
석빙고는 빙고의 길이가 폭의 2배∼4배가 되는 장방형 구조다. 이는 똑같은 얼음을 넣는다고 보았을 때, 단열재와의 접촉면적이 넓고 위 얼음을 녹을 때의 물기에 닿아 습기에 노출되는 가능성도 줄일 수 있어 얼음의 저장에 효율적이다.
(4) 담
계절풍을 이용하여 석빙고 내부의 온도를 최적화한다.
동편담은 겨울철 바람의 방향이 북서풍일 때 석빙고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여름철 더운 남동풍이 불 때 바깥 공기를 막는 방풍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5) 출입구
출입구는 외부로부터 열이 유입되는 경로가 되기 때문에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돌벽, 날개벽, 턱을 만들어 공기 유입을 최대한 줄이고 있다. 또한 머리 위쪽에 높이 2m 종도의 벽을 만들어 더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게 했다.
(6) 봉토
봉토 위에는 잔디가 심어져 있는데 태양열의 복사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봉토의 재료인 흙은 화단에 온도계를 꽂아보는 간단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는 바 우수한 단열재이다.
(7) 홍예구조
천장의 홍예는 모두 4개를 틀었는데, 홍예의 역학적 성질은 압축력이 강하기 때문에 상부에 하중을 주어 압축력을 줌으로써 각각의 홍예석을 긴밀히 물리게 하고 옹벽을 토압으로부터 견디게 하는 것이다. 또한 각 홍예 사이에 환기공을 두어 환기를 돕고 있다.
홍예가 4개인 이유는 요철을 이용하기 위해서다. 요철은 공기의 이동을 최소화시킨다. 아치형 천장 사이는 움푹 들어간 빈 공간으로 되어있는데 내부의 더운 공기를 가두어 밖으로 빼내는 일종의 에어포켓이다. 더운 공기는 위로 뜨고 이 더운 공기는 뜨는 순간 에어포켓에 갇혀 꼼짝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에어포켓 위쪽의 환기구를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했다.
(8) 환기구
환기구는 주로 여름에 가장 효율적으로 열과 습기가 빠져나가는데 사용했다. 환기구는 위쪽이 좁은 모양이다. 환기구에는 더운 공기가 몰린다. 높은 위치에 있는 공기가 더욱 더운 공기이며 더 빨리 배출해야 하는 공간이다. 유체흐름은 연속방정식(continuty equation)에 따른다.
A1V1dt= A2V2dt
A1V1=A2V2
이 식에 다르면 상단이 좁아지는 구조에서는 상단이 속력이 더 빨라지게 되므로 상단의 더운 공기는 빨리 빠져나갈 수 있다.
(9) 바닥·배수로
바닥은 입구 쪽에서 멀어질수록 밑으로 기울어져 얼음이 부분적으로 녹을 때 발생되는 수분이 바닥으로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였다.
(10) 구조재료 - 화강암
화강암은 석재의 강도 중에서 압축강도가 가장 크며 인장, 휨, 전단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매우 작다. 그러므로 구조용으로 사용할 경우 압축력을 받는 부분에 많이 사용된다.(석재의 압축강도는 단위용적 중량이 클수록 일반적으로 크며 공극률이 작을수록 또 구성입자가 작을수록 그 결합상태가 좋을수록 크다.) 또한 열저장 능력(축열능력)이 뛰어나다.
(11) 단열재료 - 흙, 잔디
석빙고의 외피 마감재료는 바위와 흙으로 구성되어 있다. 흙은 열차단 성능이 양호하며, 바위는 겨울철 축냉하기에 용이한 재료이다.
2005.08.06
출처 : 저 산길 끝에는 옛님의 숨결
글쓴이 : 선과 원글보기
메모 :
300x250
300x250
'대구광역시 > 달성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대구...인흥마을에서 (0) | 2008.06.06 |
---|---|
대구 현풍 / 비슬산 용봉 석불 (0) | 2008.06.06 |
[스크랩] 대구 가창 / 조길방 가옥...김유정 산골나그네 (0) | 2008.06.06 |
[스크랩] 대구 가창 / 남지장사...28년 전의 추억 (0) | 2008.06.06 |
[스크랩] 대구 가창 / 녹동 서원,모명재...김충선, 두사충을 아시나요? (0) | 2008.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