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안동시

안동...안동대 박물관(실내)

임병기(선과) 2024. 11. 22. 07:38
300x250
300x250

안동대학교 박물관 실외 전시장

석탑. 석등. 비석. 석불. 승탑. 태함 등 다양한 불교문화유적이 전시된 공간으로 여러 번 답사하였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6765

https://12977705.tistory.com/8726766

 

오늘은 세계유산 봉정사 학술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방문하였으며, 안동대 박물관 실내는 처음 들렸습니다.

마침 경북의 불교문화유산 전시회가 오늘부터 열려 전시된 유물이 안동대학교에서 소장하고 있는 유물인지 여부는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석탑 기단중석 부재. 통일신라

2008년에는 야외에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신장상

 

미륵보살상?

범종. 조선시대

용뉴. 천판. 상대

종신

종견의 범자문, 화문

연곽, 연뢰, 보살입상

보살입상

석탑 옥개석

한글 편지. 1692년

안동 광흥사 신민 스님

고운사  불영패佛影牌

불성이 비치는 명경대라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업경대라고 하지 았나요?

고운사. 왕비전하수제년 전패. 조선후기

왕. 왕비. 세자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는 삼전패의 하나

2022년 서울불교중앙박물관 고운사 특별전에서 전시되었었습니다.

봉정사. 환성당 지안 진영. 1766년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스님으로, 서산대사의 법제자인 편양 언기의 법손입니다.

서산대사  ----  편양 언기  ----  풍담 의심  ----  월담 설제  ----  환성 지안  ----  설송 연초 ---응암희유
1520~1604    1581~1644      1592~1665       1632~1704     1664~1729       1676~1750   1734~1767

 

정시한 산중일기(1686년 10월 9일. 대암암)

정시한이 속리산 대암암에서 설제스님과 23세의 지안스님을 뵙고 인물됨을 예측한 글을 옛 답사기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12977705.tistory.com/8726221

송운당 사명대사 진영

사명대사 유정은 익히 들 알 것이고.

한문표기 오기

송운당사명대사진영이 아니라 환성당대선사 지안 진영으로 표기했습니다.

 

여러 유적이 전시되어 있었으나 서책류는 안목이 낮아 살펴보지 않고, 불교 유적만 둘러보았습니다.

 

2024.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