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에 이어...
대구 某산악회 오대산 산행과 선재길 트레킹 팀과 동행
혼자서 성보박물관 2시간, 전나무길 월정사 40분, 승탑원에서 약 1시간 답사
이어 상원사까지 걸어서 상원사 답사(적멸보궁 제외). 4시 일행들과 만날 귀가하려면 잠시 쉴 틈이 없습니다.

월정사 승탑원
강원 문화유산 자료이며 지정 명칭은 월정사 부도군입니다.
조선후기 종형 부도를 비롯하여 근대에 봉안한 승탑이 있습니다.
2012년 답사하였으나 오늘은 각각 사진을 찍을 목적으로 들렸습니다.
스님들의 행장을 쉽게 찾지 못했습니다.
자료를 댓글로 주시면 보완하겠습니다.

승탑(15)
O파당대사탑(O波堂大士塔)
방형 대좌에 복련, 탑신석 하부의 앙련, 상부의 큼직한 복련, 연화 보주와 탑신석 일석

O波大士

탑신석 상부 복련, 연화보주

기단부
방형 위에 부등변 팔각으로 다듬고 복련을 새겼습니다.


승탑(16)
묵암당대선사(默庵堂大禪士)

승탑(17)경월당 희완탑(鏡月堂喜完塔)

경월당 희완대선사부도비

승탑(18)
상운자청대사탑(尙雲自淸大師塔)
3단 기단부. 탑신석 보주 일석. 월정사 승탑원에 가장 많은 유형입니다.

기단부

탑신석 복련, 연주문. 보주 받침.연화보주


승탑(19)
금화당지영탑(金華堂智英塔)
승탑(18)과 동일 유형의 부도. 기단부 2단, 연화보주가 다소 뾰족한 것만 차이가 있습니다.
탑신은 왜 기단 중앙에 두지 않았는지.

탑신석 복련, 연주문. 보주 받침. 연화보주


승탑(20)
선종인허당(禪宗印虛堂大師塔)
방형대좌, 상단의 팔각대좌

상륜부


승탑(21)
남계당대선사탑(南溪堂大禪師塔)
O파당대사탑(O波堂大士塔)과 동일 유형입니다.

2단 기단부
방형, 팔각형

탑신석 복련, 연화보주


승탑(22)
당호미확인

왜 낙서를...

연화보주


비석받침. 승탑 기단

승탑(23)
창운당맹흡지탑(昌雲當孟洽之塔)
세장한 탑신석과 보주 일석입니다.

탑신석 상부 복련, 2단의 받침의 앙련(?)


승탑(24)
간결하며 힘이 느껴집니다.

보주와 보주받침


승탑(25)
환몽당훤인탑(幻夢煊仁塔)
기단이 제짝인지.

幻夢煊仁塔

연주문. 상륜부 받침
왜 비뚤게 새겼는지...


승탑(26)
홍원당 월면탑

승탑(27)
동암당 현우탑

승탑(28)
인허당 택호대선사

승탑(29)
지암당대종사탑


지암대종사사리탑비

승탑(30)
와운당탑

2011년 승탑원에 있었던 부도 배치도 사진을 기준으로 당호를 특정하였으며, 앞으로 누군가가 정확한 당호와 행장을 밝혀주기를 기대합니다.
2024.10.09
'강원도 > 평창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창...오대산 상원사 (0) | 2024.11.08 |
---|---|
평창...월정사 승탑원(1) (0) | 2024.11.04 |
평창...월정사 낭원군 마애각자(회사거리 암각문) (0) | 2024.10.31 |
평창...월정사 팔각구층석탑 (0) | 2024.10.30 |
평창...월정사 성보박물관(불화 외) (0)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