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라호르 님)
보호각 안에 사지에서 발굴된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석조여래좌상, 석조대좌와 광배 2기가 봉인되어 있으며, 전부 국가지정 보물입니다.
물걸리사지
물걸리사지는 사명과 연혁이 명확하게 전하지 않는 곳이다. 다만 ‘洪陽寺’라는 사명이 전해지고 있지만 문헌 근거는 찾을 수 없다. 일제강점기 조사자료인 『朝鮮古蹟寶 物調査資料』에서는 사지가 동창마을 경작지 내에 있고 기와 편이 산재하며, 석탑, 불상 2구가 있다고 보고하였 다. 이후 1967년, 이곳에서 불상 대좌 2점과 광배 1점, 금동불 등이 추가로 발견되면서 간략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조사 당시 광배와 대좌 등은 마을 주민들이 발굴하여 임의 조립한 상태였고, 불상 주위에는 2칸의 불사(대승사)를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지표가 상당히 교란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때 함께 발견된 것으로는 사자가 새 겨진 불상 대좌 하대석, 철불 편 등이 있다. 이후 1979년 에는 사역 정비사업의 일환으로 대승사를 옮긴 후 현 위치에 보호각을 건립하여 불상을 안치하였다.(중략)
이후 사지 일원은 1982년 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정비 당시의 모습으로 보존되어 오다가, 2003년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추진한 ‘강원지역 학술 조사’의 일환으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이 조사를 통해 금당의 규모와 불상의 배치를 확인하였고, 팔각대좌 하대석 일부가 출토되었다. 이 조사 이후 사역은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정비되었으며, 석탑은 2006년 정밀실측을 거쳐 2012년 보수공사가 진행되었다. 2015년에는 2003년 조사되지 않았던 삼층석탑 일원에 대한 발굴조 사가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건물지 5동 등이 추가로 확인되었고, 보물 543호로 지정된 석조대좌의 광배편 일부가 발견되었다.
(문화재청. 한국의 사지. 2016년))
비로자나불좌상(전)
비로자나불좌상(후). 라호르 님 사진
비로자나불 좌상
상호는 훼손이 심하여 뚜렷하지 않습니다.
나발, 높은 육계, 백호공, 귀는 짧고, 삼도 생략, 통견의 법의, 지권인, 항마좌, 다리 사이에는 부채꼴 옷주름이 새겨져 있습니다 한국의 사지에는 육계 아래에 중간계주가 있었던 원형 공이 있다고 했으나 사진으로는 구분하기 쉽지 않습니다.
광배는 결실되었습니다.
일반적인 지권인 수인이 아닌 좌권인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91
대좌
하대석 하단석 결실,
하대석 상단석에는 복엽단판 연화문과 간엽을 새기고 상부에 2단 굄, 팔각 중대석, 앙련을 두 겹으로 새긴 원형 상대석
상대석은 본래부재가 아닌 것으로 추정, 중대석이 낮은 편입니다.
(2017년 물걸리사지 학술대회에 참석했던 휴람님 말씀에 의하면 별석 중대석 받침이 발굴되었다고 합니다.)
하대석 하단석으로 추정되는 부재가 보호각안에 있었습니다.
(2006년에는 석탑 옆 석조부재를 모아 둔 곳에 있었음)
2006년
비로자나불 하대석 하단석으로 추정
나비장이 보입니다.
https://cafe.daum.net/moonhawje/MebK/350
안상에 사자상이 있습니다.
팔각중대석에는 향로와 보살상이 새겨져 있습니다.
향로와 공양상
향로
각면의 보살성과 1기 향로를 고려하면 향로는 정면에 배치되어야 합니다.
현재는 측면에 배치되어 복원 과정에서 방향이 잘 못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양상(우)
공양상(좌)
물걸리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9세기 후반에 조성된 불상으로, 일반적인 지권인 수인과 달리 좌권인 수인이며 항마좌입니다.
하대석 하단석과 중대석 별석굄이 결실되었으며, 상대석은 본래부재가 아니라고 합니다.
보호각 안에 있는 사자상이 새겨진 하대석 하단석과 발굴된 중대석 별석 굄을 제자리에 맞추어 복원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물걸리사지에서 발견된 금동여래입상과 대좌는 국립춘천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2024.05.18
'강원도 > 홍천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천...물걸리사지 석조대좌 및 광배, 석조 대좌 (0) | 2024.07.15 |
---|---|
홍천...물걸리사지 석조여래좌상 (0) | 2024.07.14 |
홍천...물걸리사지 삼층석탑 (0) | 2024.07.11 |
홍천...수타사 삼층석탑 (0) | 2024.07.10 |
홍천...수타사 원통보전 목조관음보살좌상 (0) | 2024.07.09 |